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2060년 대한민국, 2경원 빚진 노인나라 된다(?)

학수고대 조회수 : 882
작성일 : 2012-10-25 17:59:33
미래의 우리나라는 어떻게 될까요? 모두 궁금하게 생각하는 일입니다. 더욱 강하고 부유한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지요. 그런데 기대와 달리 비관적인 전망이 나왔습니다. 저출산과 고령화 여파로 2060년의 국가채무가 국내총생산(GDP)의 2.2배 수준인 2경(京)원이 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6월 26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한 ‘2012~2060년 장기 재정전망 및 분석’ 을 보면 대한민국 재정은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납니다. 2034년부터는 지속가능성을 상실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가채무 규모는 2023년에 1000조원, 2041년에 5000조원, 2051년에는 무려 1경원을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연금 적자 전환과 기금 고갈 시기는 각각 2041년, 2053년으로 기존 전망보다 각각 3년, 7년 일찍 이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즉 48년 뒤면 한국 정부 살림이 그리스, 스페인 같은 재정위기 국가들보다도 부실해진다는 진단입니다.

잠재성장률은 2025년까지 3%대를 유지하다가 2%대로 떨어지고 2040년부터는 1%대, 2055년부터는 1% 미만으로 하락할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재정 총수입보다 총지출이 가파르게 늘면서 관리대상수지는 올해 GDP 대비 1.2% 적자에서 계속 악화됩니다. 특히 2053년 국민연금기금이 고갈된 이후인 2060년엔 적자폭이 13.1%로 커질것으로 전망됐지요.

박종규 예산정책처 경제분석실장은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려면 고령사회에 들어서는 2018년 이전에 비과세감면을 대폭 축소하고 국민연금 보험료율 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래세대가 막대한 국가채무를 지지 않게 하려면 지금부터 대비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보고서는 재정악화의 부담이 고스란히 중년층 이하 젊은 세대일수록 무겁게 돌아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보고서는 “이미 1957년 이후 출생한 사람부터 정부로부터 얻는 편익보다 조세 부담이 더 크다”고 합니다. “현재의 중노년 계층과, 이후 세대간 불균형 문제가 계속 심각해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비관적 전망이 나오는 이유는 우리 사회가 2026년에는 노인인구 비중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기 때문입니다. 인구구조가 노령화될수록 노동투입은 줄고 민간소비나 투자도 위축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 분석엔 복지정책을 더 도입하지 않고 세법도 2060년까지 바꾸지 않는다는 전제가 깔려있지요.

그런데 오늘날 각 정당이 경쟁적으로 제시하는 무상복지 공약은 어떤가요? 경제적 측면에서 깊이 있는 고찰을 거친 현실성 있는 정책일까요? 이들이 내놓은 각종 복지정책을 시행한다면 우리경제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한번 깊이 생각해봐야겠습니다.

IP : 211.196.xxx.189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069 군고구마 팬 갑은 무엇일까요? 11 군고구마 2012/10/28 2,597
    173068 방금 아들이 욕실에서 샤워하고 급히부르네요 3 이놈의 애니.. 2012/10/28 3,321
    173067 요즘 육심원에 빠져서 눈만 감으면 아른아른 30 사십중반에 2012/10/28 14,444
    173066 흑표 흙침대 백화점이랑 대리점 가격 다른가요 2 도움 요청 2012/10/28 7,236
    173065 마음이 허하고 쓸쓸해서 술 먹고 싶어요 5 민들레 2012/10/28 1,881
    173064 이런 스탈의 메모보드가 있을까요? 이런 2012/10/28 939
    173063 머그컵 쓰시는 분~ 5 옆의 폴파바.. 2012/10/28 2,458
    173062 눈밑 지방 해결방법은 정녕 수술밖엔 없나요? 6 궁금 2012/10/28 8,148
    173061 해독쥬스 3일째 먹고 있는데 왜 아무런 변화도 없는 걸까요? 3 해독쥬스 2012/10/28 2,518
    173060 양귀비꿀 가을하늘 2012/10/28 4,755
    173059 가위표를 꼽표라고 부르는게 6 사투리였나봐.. 2012/10/28 1,973
    173058 남편과의 반나절데이트 뭐할까요? 13 반나절 2012/10/28 3,306
    173057 유진 위로 오빠는 어떻게 되었죠? 1 메이퀸 2012/10/28 2,067
    173056 올해 3분기 현대차,기아차 실적보니 순이익이 10 ... 2012/10/28 2,115
    173055 비염때문에 작두콩 드셔보신분 계세요? 1 비염 2012/10/28 2,797
    173054 그만두는 직장동료에게 어떤 선물이 좋을까요? 3 선물? 2012/10/28 1,452
    173053 바퀴 달린 라탄 바구니 1 .. 2012/10/28 1,310
    173052 혈압이 갑자기 높아졌는데..조언부탁 5 혈압어쩌누 2012/10/28 1,753
    173051 아기들 모기물려서 붓는것도 면역력 때문인가요? 12 .. 2012/10/28 3,423
    173050 겨울 이불 문의. 우리집 윗풍.. 2012/10/28 1,298
    173049 미싱 넘 재미있어요 2 미싱 2012/10/28 1,709
    173048 반찬칸이 나눠져 있는 스텐도시락 있을까요? 8 질문요.. 2012/10/28 2,714
    173047 눈밑 지방 재배치 수술하고 왔어요 10 .. 2012/10/28 5,818
    173046 일주일만 따라해보세요 6 살림 2012/10/28 2,936
    173045 지하철로 다니기편한 대형교회는 없나요? 12 믿음 2012/10/28 2,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