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2060년 대한민국, 2경원 빚진 노인나라 된다(?)

학수고대 조회수 : 882
작성일 : 2012-10-25 17:59:33
미래의 우리나라는 어떻게 될까요? 모두 궁금하게 생각하는 일입니다. 더욱 강하고 부유한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지요. 그런데 기대와 달리 비관적인 전망이 나왔습니다. 저출산과 고령화 여파로 2060년의 국가채무가 국내총생산(GDP)의 2.2배 수준인 2경(京)원이 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6월 26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한 ‘2012~2060년 장기 재정전망 및 분석’ 을 보면 대한민국 재정은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납니다. 2034년부터는 지속가능성을 상실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가채무 규모는 2023년에 1000조원, 2041년에 5000조원, 2051년에는 무려 1경원을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연금 적자 전환과 기금 고갈 시기는 각각 2041년, 2053년으로 기존 전망보다 각각 3년, 7년 일찍 이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즉 48년 뒤면 한국 정부 살림이 그리스, 스페인 같은 재정위기 국가들보다도 부실해진다는 진단입니다.

잠재성장률은 2025년까지 3%대를 유지하다가 2%대로 떨어지고 2040년부터는 1%대, 2055년부터는 1% 미만으로 하락할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재정 총수입보다 총지출이 가파르게 늘면서 관리대상수지는 올해 GDP 대비 1.2% 적자에서 계속 악화됩니다. 특히 2053년 국민연금기금이 고갈된 이후인 2060년엔 적자폭이 13.1%로 커질것으로 전망됐지요.

박종규 예산정책처 경제분석실장은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려면 고령사회에 들어서는 2018년 이전에 비과세감면을 대폭 축소하고 국민연금 보험료율 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래세대가 막대한 국가채무를 지지 않게 하려면 지금부터 대비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보고서는 재정악화의 부담이 고스란히 중년층 이하 젊은 세대일수록 무겁게 돌아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보고서는 “이미 1957년 이후 출생한 사람부터 정부로부터 얻는 편익보다 조세 부담이 더 크다”고 합니다. “현재의 중노년 계층과, 이후 세대간 불균형 문제가 계속 심각해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비관적 전망이 나오는 이유는 우리 사회가 2026년에는 노인인구 비중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기 때문입니다. 인구구조가 노령화될수록 노동투입은 줄고 민간소비나 투자도 위축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 분석엔 복지정책을 더 도입하지 않고 세법도 2060년까지 바꾸지 않는다는 전제가 깔려있지요.

그런데 오늘날 각 정당이 경쟁적으로 제시하는 무상복지 공약은 어떤가요? 경제적 측면에서 깊이 있는 고찰을 거친 현실성 있는 정책일까요? 이들이 내놓은 각종 복지정책을 시행한다면 우리경제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한번 깊이 생각해봐야겠습니다.

IP : 211.196.xxx.189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627 신용카드 질문 좀요 1 ... 2012/10/30 787
    173626 아들이 꼭 가지고 싶다는 남편 57 딸 둘맘 2012/10/30 13,705
    173625 소고기무국 2시간째 끓이고 있는데 고기가 아직도 질겨요... 3 고기질겨 2012/10/30 2,977
    173624 5살 열이 39인데 손발이 아주 차요 16 급질 2012/10/30 24,911
    173623 초등저학년이나 유치원생 아이 자랑하는거 좀 거북해요 9 ooo 2012/10/30 2,164
    173622 지금 일어나서 보일러 돌렸어요. 8 ... 2012/10/30 1,712
    173621 12월 출산인데~ 간병인을 써야할까요 1 ㅜㅠ 2012/10/30 1,338
    173620 발바닥이 자꾸 갈라져서 미치겠어요!! 18 도와주소서 2012/10/30 9,736
    173619 결혼기념일에 밥사주는 딸...자랑글 6 ... 2012/10/30 1,498
    173618 까놓은 밤을 샀는데 어떻게 삶나요? 5 밤 먹기 힘.. 2012/10/30 1,618
    173617 남편한테 속상한 일 시부모님께 말씀 드리나요? 5 궁금이 2012/10/30 1,169
    173616 고학년 아이...게임기 좀 골라주세요 1 멀 사주까... 2012/10/30 695
    173615 갑상선암도 전이가 잘 되나요? 4 궁금 2012/10/30 2,995
    173614 아픈 사람 있으면 잔치 안하는 이유를 아시는 분.. 7 아픈사람 2012/10/30 4,171
    173613 이밤에 꼬들빼기 김치먹고싶네요 파는곳좀 5 ㅜㅜ 2012/10/30 1,191
    173612 음식이 나를 먹는 기분 천고인비 2012/10/30 947
    173611 초6 엄마 생일선물 뭐 가지고 싶냐네요? 4 적당한거 2012/10/30 1,127
    173610 넘어지고 머리 꽝 찌고 해도 괜찮죠? 얘들 2012/10/30 753
    173609 회사동료랑 썸싱(?) 글올린 분 글 지우셨나요?? 4 궁금하네요 2012/10/30 2,637
    173608 주부인데 취업을 위해 이런 자격증취득 어떨까요? 2 자격증 2012/10/30 2,771
    173607 시누들 땜에 괴로와요. 9 .. 2012/10/30 3,736
    173606 전업님들...쓰레기 누가 버리나요? 30 대박.. 2012/10/30 4,482
    173605 가방 한번만 더 봐주세요 40대초 7 가방사기힘들.. 2012/10/30 2,445
    173604 ... 1 감사^^ 2012/10/30 1,604
    173603 케이월 새노래 넘 좋아요^^ 5 ., 2012/10/30 1,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