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경제민주화 공부-요게 핵심

학수고대 조회수 : 829
작성일 : 2012-10-24 17:08:09
지금 우리나라는 경제민주화 논의가 한창이다. 헌법에 나와 있기는 규정을 두고 벌이는 논쟁이다. 어째서 헌법규정에 비추어 이러한 논의가 진행되어야할까?

많은 사람들은 법이라고 하면 판검사들이 관여하는 형법이나 민법을 주로 생각한다. 하지만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법은 헌법이다. 헌법은 한 국가의 가장 근본적인 원칙들을 규정하기 때문이다. 형법이나 민법을 포함한 모든 법률의 근거는 헌법이다.



지금 논란이 되는 경제관련 헌법규정들(제119조-127조)은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까? 추상적이고 불확정적인 개념들이 있기에 단순한 원칙에 불과할까? 아니면 법적 구속력을 가진 실효규정일까? 한번 자세히 살펴보자.

일반적인 규정인 119조은 ‘대한민국의 경제 질서는 개인과 기업의 경제상의 자유와 창의를 존중함을 기본으로 한다.’는 시장자율이라는 원칙규정 1항과, ‘국가는 균형 있는 국민경제의 성장 및 안정과 적정한 소득의 분배를 유지하고, 시장의 지배와 경제력의 남용을 방지하며, 경제주체간의 조화를 통한 경제의 민주화를 위하여 경제에 관한 규제와 조정을 할 수 있다.’라는 2항이 있다. 이 가운데 2항을 경제민주화규정이라 하며 지금 정치권에서 더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제민주화 규정만으로는 모든 정책의 타당성을 인정받을 수 없다. 더욱 근본적인 헌법 제37조 제2항이 정하는 기준이 있다. 목적이 정당하고 수단도 이에 맞추어 정당한 경우에만 기본권의 제한이 허용되기 때문이다.

목적이 정당하다고 하여 모든 수단을 정당화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우리 속담 중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을 태운다.’라는 말이 있다. 무엇이든지 과하면 모자라는 것만 못하다.


(사진출처: 조세일보)


경제민주화 목적의 정당성은 시대적 상황에 있다. 빈부격차 확대, 대기업의 골목상권 진출로 인한 자영업자의 어려움, 그리고 대기업의 단가후려치기와 하도급의 문제점 등이다. 그러나 목적이 정당하다고 해도 실효성 있는 수단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

현행제도는 경제력집중을 통해 재벌의 독과점적 위치를 보장해 주고 있다는 비판이 많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서 경제민주화의 유형을 수단을 중심으로 분석해보자.


첫째, 사후적 책임 강조형이다. 자유를 원칙적으로 폭넓게 보장해주는 엄격한 책임을 전제로 한다. 강화된 처벌을 통해 대기업이 룰을 어기거나 법적 문제를 일으켰을 때 큰 부담을 지게 만드는 방식이다.

둘째, 좀 더 강력한 방법은 사전적 규제 강화형이다. 미리 엄격한 입법·행정적 규제 즉 출자총액규제와 순환출자의 금지, 기타 논란이 있는 재벌해체여부, 하도급권력남용의 문제를 미리 금지하고 감독하는 방식이다.

세번째로 절충형이 있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방식을 동시에 쓰는 것이다. 가장 강한 형태의 국가개입이므로 극단적 경제위기시에만 가능하다.


현재의 논의는 결국 하나다. 법을 어기는 개별행위에 대해서만 규제할 것인가, 아니면 근본적인 재벌구조개혁을 하여야 하는가의 문제다. 추상적인. 경제민주화논쟁보다는 실질적으로 어떤 수단이 더 국민을 위해 좋은 효과를 가져올 지 면밀히 검토되었으면 한다.

IP : 211.196.xxx.189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617 일산,화정에 도가니 맛있는집 소개시켜주세요(급) 도가니 2012/10/25 940
    171616 제 고민 좀 들어 보시고 조언 좀 주세요 10 아들맘 2012/10/25 1,632
    171615 조기입학 경험담 부탁드려요... 16 봄봄 2012/10/25 3,191
    171614 sbs아침드라마.. 6 .. 2012/10/25 1,347
    171613 집에 수도가 없는데.. 2 새댁임 2012/10/25 1,044
    171612 얼굴이 붉혀지는 상황에서 심장이 벌렁벌렁해지는 분 계신가요? 4 부들부들 2012/10/25 1,364
    171611 남편이카스친구인유부녀와.... 6 .. 2012/10/25 4,427
    171610 10월 25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2/10/25 636
    171609 그런데 왜 미용실에서 머리하기 전에 32 이해가 2012/10/25 13,371
    171608 아이허브 주문직전인데요... 2 ... 2012/10/25 1,499
    171607 역시 돈이 돈을 버는가 봐요 5 ... 2012/10/25 3,569
    171606 요샌 부츠컷바지 안입나요? 32 패숑 2012/10/25 6,635
    171605 제사후 밥비벼먹는것 TV에 나오네요 17 2012/10/25 3,830
    171604 쿠첸 이모델 괜찮을까요? 1 ... 2012/10/25 1,155
    171603 아이 봐주는 비용 어느정도가 적당한가요? 3 ... 2012/10/25 2,049
    171602 집나온 딸아이 친구가 저희집으로 또 왔어요 10 .. 2012/10/25 10,643
    171601 부모님 설득백서-문재인라디오 chiaro.. 2012/10/25 1,362
    171600 인사 드립니다^_^ 2 순정순정 2012/10/25 1,025
    171599 난 위선적인 사람인가? 머리가 복잡합니다... 14 가식녀 2012/10/25 5,460
    171598 66-77은 기본티 어디서 사나요 ㅠㅠ 7 살찐내가죄인.. 2012/10/25 2,709
    171597 죄송요 알리가 아니라 에일리 라는 가수 아세요? 15 maman 2012/10/25 3,438
    171596 나이차이가 좀 나는 남자분을 만나게됐어요 4 2012/10/25 4,652
    171595 이 야밤에 애니팡 초대는 뭐예요? 12 뭐지? 2012/10/25 3,331
    171594 신용불량자도 해외여행갈수있나요,, 4 여행 2012/10/25 3,677
    171593 박근혜 시대가 두렵다 5 샬랄라 2012/10/25 1,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