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30년 전까지만 해도 돌잔치 크게 하는 문화 없었던 것 같은데

... 조회수 : 1,789
작성일 : 2012-10-20 22:44:13
저는 84생인데 저랑 동생 돌잔치는 집에서 제 조부모님만 보시고 했대요
엄마가 상 차리고 돌잡이 하고 사진은 사진관에서 찍어주고
제 친구들도 다 그렇게 했구요. 뭐 아주 잘 사는 부잣집 친구들은 어떨지 모르겠으나 
평범한 가정에선 홀 빌려서 돌잔치 하는 문화 전혀 없었던 것 같아요

요즘은 홀 빌려서 대대적으로 돌잔치 안 하는 경우 드물죠
제 기억으론 최소한 10년 전부터는 이렇게 돌잔치 크게 하는 문화가 자리잡은 것 같은데
정확히 이런 큰 돌잔치가 대중화된 게 언제적부터인지는 모르겠네요

저는 솔직히 부모님들께서 친하지도 않은 사람들 자녀 결혼식 가려고
서울에서 버스 대절해 지방 내려가는 그런 것도 
악습처럼 보이는 사람이거든요
이게 상부상조 품앗이 개념으로 시작한 미풍양속이었는데
저희 부모님은 종교생활 하셔서 그런지 사소한 인맥이 넓어
거짓말 안 보태고 주말 중 결혼식 안 가는 날이 한 달 중 하루이틀도 안 됩니다
돈도 돈이지만 시간상으로도 저게 웬 낭비인가 싶어요
한번 다니기 시작했으니 누군 안 갈 수 없고 해서 멈출 수가 없는 듯...

하물며 인륜지대사인 결혼식도 아니고 돌잔치 문화라도 좀 축소됐으면 오죽 좋으련만
어째 갈수록 더 심해지는 것 같아요
20년 전에는 이렇게 사돈의 팔촌, 직장 타부서 사람들까지 불러서 돌잔치 하는 문화 없었는데 지금은 대중화 된 것 보면
10년쯤 후에는 이제 백일잔치까지 저렇게 돈 발라서 크게 하는 문화가 안 생기리란 보장이 없을 것도 같구요

간혹 82에서 그렇게 돌잔치 싫으면 안 가면 되지 않느냐고 하시는데
그런 분들은 사회생활 안 해보신건지...
저도 내키지 않는 지인들 돌잔치는 안 가고 진심으로 축하해줄 수 있는 절친들 돌잔치만 가는데요
이게 직장 사람일 경우는 반강제죠
타부서라고 해도, 언제 인사 이동으로 내 직속상사가 될지 모르는거고
우리 부서 사람들 다 간다고 하는데 나만 쏙 빠지면 눈칫밥 먹고
참... 인간적으로 돌잔치에 직장 사람은 부르지 말아줬으면...
왜냐면 친구관계처럼 수평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하구조, 이해관계가 얽혀있기때문에 강제성을 띠거든요

안그래도 OECD 국가 중 근무시간 제일 긴 한국인데
주말만큼은 제발 좀 그런 행사에 안 불려다닐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IP : 221.138.xxx.187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2.10.20 10:52 PM (175.118.xxx.102)

    30년까진 모르겠구요,적어도 25년 전에도 홀빌려 부페 먹으며 돌잔치는 했던거 같아요ᆞ제 조카들 크게 부자아니고 은행원 부모 였는데 홀빌려 돌잔치 했고 주변 친척들도 종종 했던거 같아요ᆞ 최근 10 년사이너무 요란해지긴 했구요ᆞ인터넷 에선 이렇게 민폐다 성토하는데 이번달 돌잔치 초대만 두개네요ᆞ 가족끼리해도 충분히 즐겁고 의미있는데 말이죠 ᆞ

  • 2. ..
    '12.10.20 11:03 PM (211.234.xxx.56) - 삭제된댓글

    돌잔치,칠순잔치,결혼식 이런거는 이제 자기들끼리하는문화가 빨리 정착하면 좋겠어요.장례는 좀 찾아가봐야하는게 맞는것같지만 나머지는 허례허식인듯해요

  • 3. ..
    '12.10.20 11:51 PM (222.121.xxx.183)

    80년대 후반 부터 부페에서 하는 돌잔치가 시작됐던거 같네요...

  • 4. 저는
    '12.10.21 12:12 AM (75.92.xxx.228)

    마흔을 바라보는 나이인데, 제 돌잔치 사진보면 사람 진짜 많아요. 홀이나 부페 빌려한 건 아니었고,
    그냥 집에서 한 돌잔치였는데두요. 부모님 두분다 교사였는데두요.

    요즘은 암만해도 애를 많이 낳지 않으니까, 하나만 낳는 집 이런 집에선 귀한 손주손자잖아요. 그러니 그런 문화가 자리잡은 거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667 요즘 지방도 부동산매매 잘안되나요? 2 .. 2012/11/06 1,757
173666 맘마미아 에서도 나왔던 허니허니~~하며 부르는 팝제목이 뭘까요?.. 4 pop 2012/11/06 1,344
173665 중학생 학원가기전 저녁? 간식? 뭐 주세요? 5 나무 2012/11/06 3,284
173664 시어머니......제발. 102 며늘 2012/11/06 19,211
173663 떡볶기 맛있는집 추천좀 해주세요 21 떡볶기홀릭 2012/11/06 4,113
173662 커피 드시고 싶은신 분들 양스타222.. 2012/11/06 1,311
173661 박원순시장 일 정말 7 ... 2012/11/06 1,841
173660 친동생생일에.. 1 둥이엄마 2012/11/06 825
173659 2ne1 노래중에 I love you 앞부분에 사용된 악기는 무.. 2 2ne1 2012/11/06 1,055
173658 아래 연봉 6천 댓글 읽다가요... 정말로 다들 그렇게 아끼면서.. 50 ㅇㅇ 2012/11/06 16,213
173657 풋워머 질렀어요 겨울 2012/11/06 1,356
173656 일리 캡슐 머신 색 좀 골라주세요 10 결정장애 2012/11/06 1,521
173655 휴..오늘 진짜분위기 냉냉했군요.. .. 2012/11/06 1,368
173654 역삼역이나 강남세브란스 근처에 떡집 있나요? 1 기원 2012/11/06 1,368
173653 아이가 핸폰을 분실했는데요?? 2 중2맘 2012/11/06 949
173652 아기스포츠단 보내보신분들 6 jjjjj 2012/11/06 1,212
173651 두피에 레이저 해보신분 있나요? .. 2012/11/06 963
173650 영문법 질문요~ 11 영어 2012/11/06 906
173649 블러셔 어떤거 사용하시나요? 4 화장초보 2012/11/06 1,567
173648 영작 부탁드려요 1 급~~ 2012/11/06 675
173647 대통령 후보 3인 공략 비교 2 추억만이 2012/11/06 920
173646 지금 젤 먹고싶은 메뉴는? 15 배고파 2012/11/06 2,203
173645 나만의 명곡 5 십년된 노래.. 2012/11/06 916
173644 고마운 직장상사 분께 선물하고 싶은데 뭘 하면 좋을까요? 알려주세요 2012/11/06 805
173643 여기 글보면 패딩도 백만원 이상이던데, 저는 야상 7만원짜리도 .. 12 하얀공주 2012/11/06 3,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