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 경우 봐주세요..정말 자존감이 낮은걸까요?

자존감 조회수 : 1,474
작성일 : 2012-10-16 12:15:26

예전에...자존감이 낮은건지 글올린적 있었어요.

기억하실지 모르겠는데

둘째를 낳고 산후도우미 이모님이랑 종합병원에 같이 갔는데,아기 눈검사 하는데 보호자는 밖에 있고 애기만 데리고 들어가서 눈검사를 했어요.

저는 그러러니 했는데...이모님은 왜 애기만 데리고 들어가냐,그 안에서 무슨일이 있는지 어떻게 아냐..면서 항의 비슷하게 하시더라고요.

그런 일련의 상황들을 예를 들면서 제가 자존감이 낮은건가..여쭤봤더니..

대부분의 댓글들이 이 예들만 봐서는 자존감이 낮게 보이진 않는다...이렇게 말씀들 하셔서 저도 맘 편하게 넘어갔었어요 -_-

근데 얼마전 친구들 모임에서 너는 자존감이 왜그리 낮냐..란 소리를 들었는데

그 말이 간간이 생각이 나면서 정말 그런건가....궁금하네요

판단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그말이 나오게 된 배경은...

아이들 얘기를 하게 되었어요

한친구는 우리애가 공부를 뛰어나게 잘하기를 바라지는 않지만,,그래도 안정된 직장을 가지고 안정되게 편하게 살려면 공부를 어느정도는 해야하니...공부를 안 시킬수가 없다..이런 취지의 말을 하였고요

다른 한 친구는 초등 2학년까지는 큰아들에게 공부공부 했는데...3학년되니...아이가 되고 싶은 장래희망이 만화가이고..거기에 소질을 보여서...갈등이 됐었다.

주위에 보여보니 소질이 있다란 말을 들었고..요즘은 그렇게 공부공부 하지 않는다..

자기 좋아하는것에 몰두하는것도 존중해준다...이런 말을 하였어요

각자 자기 아이에게 바라는걸 얘기하다가..

제가 한말은,

나는 우리아이가 공부 잘하기를 기대하지 않는다.

내 어린시절을 돌이켜보니 공부 잘하는게 참 어렵고 그냥 보통정도만 해서 졸업해본들.사는거 다 거기서 거기더라.

월등히 잘하는거 아니라면, 해본들 별 차이 없는데..

그 월등히 잘하는것도 너무 힘들다

그래서 난 우리 애들에게 바라지 않는다.

난 우리 애가 특별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떡잎부터 다르다고..우리애는 너무너무 평범한 애다.

이런 말을 했어요

그리고 또 무슨 말을 했냐면..

우리 사회에서 성공한 사람들 보면...손연재나 김연아 예를 들면서...우리가 어릴때 무지 힘들어했던 일들을

이사람들은 거기에 재미를 붙이고 몰두해서 성공을 했는데..이런 사람들은 1%도 될까말까다..

특별한 재능을 타고 난 사람들,공부든,운동이든,예술성이든,특별한 재능을 타고 태어나지 못한 대다수의 평범한 사람들은 그냥 다들 비슷하게 평범하게..살아간다.

나도,우리애들도 같은 모양일것 같다.

그래서 별로 기대하지 않는다.. 이런 취지의 말을 했어요

(써놓고 보니 굉장히 시니컬 하네요 ㅜㅜ)

제친구가 제 말을 듣더니 니는 자존감이 너무 낮은거 같다면서..

왜 그렇냐고...저를 안타까워하데요 ㅠㅠㅠㅠㅠㅠ

문득 든 생각이...막연하게 제가 자존감이 낮다고..자책은 하고있었지만...막연하게 생각하고고 있었지만.

정말로 제가 자존감이 낮다라는 생각이 문득 들면서

이런 제가 우리 애들을 마찬가지로 자존감 낮게 키우는거 아닌가...싶기도 하고

조금전에는 저 때문에 우리 애들도 모든사람들이 예스라할때 혼자 노라 못하는....용기없는 사람이 되는건 아닐까..이런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82에 오시는 여러분들에게 묻고 싶어요

저 자존감 낮은거 맞나요?

IP : 14.45.xxx.129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0.16 12:20 PM (223.62.xxx.9)

    내 자존감이 높냐 낮냐 질문하시는 것 자체가
    자존감이 높지는 않으신듯.

  • 2. 전반적으로
    '12.10.16 12:33 PM (58.236.xxx.74)

    얌전하고 에너지나 의욕이 없어 보여요.
    친구 두 분은, 설명에 시행착오 거치면서 길 찾아가는 그런 에너지가 느껴지는대요,'
    원글님은 그냥 미리 정해놓은 느낌 ?
    욕심이 없는 것보다 나아가서 우리 아이와 김연아는 다른 부류라고 미리 정해놓으셨어요.
    성숙한 부모는, 공부가 아니라도, 관찰을 통해 사소한 것에서도 내 아이만의 특별함을 발견하잖아요,
    최고로 이쁘게 웃는 아이, 최고로 심부름 잘하는 아이. 등등.
    적어도 '나에게는' 특별한 아이라고 느끼고, 아이나 옆사람도 남 깎아내리지 않으면서 갖는 엄마의 그런 자부심을 느끼고요.
    담백하고 경우 바르긴 한데, 님의 희미한 체념느낌을 파헤쳐 글로 정리해 보세요,
    우리아인 평범하다,는 것도 듣는사람, 듣는 아이가 좀 밝은 느낌 나게 좋은 포장지로 포장해 보시고요.
    희미한 체념이 아름다워보일 때도 있지만 그게 지나치면 상승쪽으로 가려는 옆사람 힘빠지고 떨어지게도 해요.

  • 3. ...
    '12.10.16 12:34 PM (211.177.xxx.32)

    가만히 보면 한국 사람들이 다 그렇지는 않은데 많은 사람들이 기가 세고, 악착 같은 면이 많은 것 같아요.
    머리도 똑똑하구요. 옛날 어머니들 봐도 공부는 못했지만 똑똑하신 분들 많았잖아요.
    그래서 좀 기가 약한 사람이나 근성이 떨어지는 사람들이 밀리는 분위기가 있는것 같아요.
    세상을 좀 심드렁 하달까.. 관조적이랄까.. 아무튼 치열하게 살지 않는 것을 매우 경계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인 것 같아요.
    앞 글 갑, 을 부모 이야기도 그렇구요.
    다들 갑처럼 살면 그게 보통인데 똑같은 베이스라도 치열하고, 근성있게 산 을이 성공한거 잖아요.
    이렇게 똑똑한 머리로 치열하게 살았으니 작은 한국이 이렇게 부강하게 된 건 장점이고 그래서
    그런 한국 사람이라는 것에 자긍심도 느끼지만 한편 매일의 생활을 드센? 치열한? 사람들과
    해야하는 일상은 힘든거죠.

  • 4. ???
    '12.10.16 1:19 PM (122.34.xxx.34)

    님이 자존감이 높은지 낮은지는 모르지만
    지금 하신 이야기랑 자존감이랑은 아무 상관도 없는것 같아요
    제가 생각하는 자존감이라는건 내가 높고 소중해서 내의견이 무조건 중요하고 상대에게 강요한다 이런게 아니라
    그냥 내생각대로 묵묵히 살것 이고 나는 도덕적 윤리적 기반아래 정당하지 않을게 전혀 없으니 누군가 태클을 건대도 상관 없다 개의치 않는다 식의
    나 스스로에 대한 믿음과 애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윗분들이 자존감이라고 하는건 ..요즘 유행어로 근자감 아닌가요 ??
    근거없는 자만감 ???ㅋㅋㅋ
    내 애가 특별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내아이의 보여지는 모습보단 그안의 행복이 중요하다
    이건 좋은 생각이고 충분히 앞으로 밀고 나갈 생각이라고 보여요
    내안의 행복만이 중요해서 나태하게 살것은 아니잖아요
    나름 열심이고 치열하게 살겟지만 늘 행복하려 노력할것 이고 남들의 기준에 떨어져도 그것만이 중요한것은
    아닌것 같다 그렇지 ..뭐 공부 포기 하고 백수로 살겠다는 소리로 받아들이는 사람이
    오히려 인간 삶에 대한 폭넓은 성찰이 모자란 거죠

  • 5. ..
    '12.10.16 1:32 PM (112.202.xxx.68)

    열거하신 사례로 자존감이 높은지, 낮은지 판단할 수는 없을 것 같구요.
    단, 친구의 말을 듣고 자신의 자존감에 대해 고민하고 여기에 물어보신거와
    친구들이 어떻게 스스럼 없이 원글님께 자존감이 없다는 말을 할 수 있는건지
    이 부분에 대해 고민해 보셨음 해요.

    원글님 교육 철학은 나쁘다 생각하진 않습니다.
    최고가 아님 안된다는 부모의 강박관념이 오늘도 아이들을 낭떠러지로 내몰고 있으니까요.

    그런데 염려스러운건 소소한 행복을 최고 가치로 여겨
    평범하더라도 아이가 진정 행복하길 원하시는건지,
    아이의 능력을 미리 예단해 자신이 다치지 않기 위해 욕심을 버리시는건지 궁금합니다.
    만약 전자라면 남들이 뭐라고 말해도 자기 확신이 있기에 고민하지 않을 것 같거든요.

  • 6. 원글이
    '12.10.17 1:06 AM (118.217.xxx.161)

    친구들은 초등학교 동창들로...아주 어릴때모습부터 다 봐온 친구들인지라...그런 얘기 하고 들어오 별로 거부감이 드는 친구는 아니예요.
    그 친구도 제가 안타까워서 그런소리를 했겠죠.
    니가 왜 자존감이 낮냐?이해를 못하겠네?이런 늬앙스이었기도 하고요.-_-;;;
    원글 읽어주시고..답글 달아주신 분들께 감사인사 드립니다.
    한분한분 답글이 소중하네요.
    좀더 고민해보고 답글도 읽고 또 읽고 하겠습니다.
    위의 어느분이 성숙한 부모..라는 표현을 해주셨는데...
    한동안 저에게 화두가 될거 같아요.
    또 감사드립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259 답답해 미치겠어요...(대선이야기 싫으신 분 패스!) ㅜㅜ 2012/10/31 543
171258 이중창 사이에 낀 면 닦는 법이요? 2 깨끗한창 2012/10/31 7,451
171257 이사가겠다고 했다가 일주일만에 뒤집는 세입자는 어떻게... 4 답답한집주인.. 2012/10/31 1,673
171256 어느 후보가 한국사회의 문제점 해결에 더 치열할까?? 1 생각 2012/10/31 402
171255 직업을 놓기가 싫었으면 아이를 포기했어야 한다? 12 2012/10/31 2,572
171254 해외 3박4일 추천해주세요 11 춥네요 2012/10/31 1,308
171253 바디샵 화이트머스트 2종중 어떤게 2 아기분냄새 2012/10/31 1,270
171252 순한 맛 고춧가루는 어디서 구입해야 할까요?? 2 남편이 문제.. 2012/10/31 718
171251 요 며칠 이문세 노래를 듣고있는데...... 7 ㅠ-ㅠ 2012/10/31 1,923
171250 식당들만 음식 재활용하는거 아니예요 14 행복 2012/10/31 6,734
171249 집에서 만드는 요구르트는 불가리스로 해야 하나요? 8 요구르트 2012/10/31 1,726
171248 생명보험사에 청구할 수 있을까요? 3 CT촬영 2012/10/31 697
171247 김장 비용 얼마나 들어요? 3 ... 2012/10/31 1,119
171246 찐호박..냉동보관하면 맛 이상해지나요? 2 살림초보 2012/10/31 1,436
171245 생명보험만 자살해도 나오는건가요? 8 보험 2012/10/31 2,635
171244 엠비씨는 어디까지 가는걸까요? 2 2012/10/31 649
171243 어린이집 견학 한달에 4~5번 가는데 너무 많이 가는것같아요 8 어린이집 2012/10/31 1,513
171242 도우미 아주머니 때문에 속뒤집어지네요 33 맞벌이 2012/10/31 16,974
171241 전세 세입자라면, 어느 집을 더 선호할까요? 10 전세 2012/10/31 1,481
171240 킹사이즈베딩솜은 어디서 구입하시나요? 3 아시는분혹시.. 2012/10/31 650
171239 생협 이용하면서 불편했던 점 13 취업이 필요.. 2012/10/31 1,803
171238 초등학생 몇 학년까지 데려다 주세요? 12 .. 2012/10/31 1,973
171237 스카웃해서 입사한 경우에 이런일이 생긴다면요.. 2 ....? 2012/10/31 987
171236 ebs 아이의 사회성 보신 분 내용 알려주세요. 2 부탁드려요... 2012/10/31 1,171
171235 음료수 마실때 목에서 꿀떡꿀떡 소리가 나요. ㅠㅠ 6 챙피해요 2012/10/31 5,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