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식밥상은 왜 개인접시를 놓지 않을까요?

가을하늘 조회수 : 5,829
작성일 : 2012-10-07 16:46:42

 

 한식밥상이 국과 찌게, 반찬 등을 각자 덜어서 개인접시에 놓고 먹을 수 있게 했으면 좋겠어요.

 지금 한정식 집 가 봐도 걍 공통그릇밖에 없고 남 젓가락 왔다갔다 비위생적이예요.

 또 그 방식이 전통도 아니더라고요.

 어른 된 뒤에 안 거지만, 옛날엔 모두 외상차림이어서 개인당 상을 하나씩 다 받아 먹었고요.

 물론 하인들이나 서민층은 아니었겠지만...

 

 한식밥상 집에서 손님접대할 때도 그렇고,

 한정식집도 그렇고 개인접시 줘서 각자 덜어먹도록 했음 좋겠어요.

 국이나 된장찌게 같은 것도 그렇고요.

 위장 헬리코박터 균도 한국인이 90% 이상 보유하고 있다는데,

 다 이런 식사방식 이 원인인 탓도 클 거예요.

IP : 222.104.xxx.207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0.7 4:48 PM (175.120.xxx.108)

    개인접시 안주는 식당은 없었는데..
    한정식은 말할 것도 없고.. 분식집에서도 달라고 하면 바로 줘요..

  • 2. 한정식
    '12.10.7 4:48 PM (211.246.xxx.51)

    개인접시 다 주는데.. 안주는데가 어디인가요?
    그리고 안주면 달라고 하면 되죠

  • 3. 원글이
    '12.10.7 4:50 PM (222.104.xxx.207)

    상차림 할 때부터 그렇게 나왔으면 좋겠다는 뜻이랍니다.
    개인접시 달라고 해야 주니깐요...

  • 4. ......
    '12.10.7 4:50 PM (175.120.xxx.108)

    다시 읽어보니 반찬도 다 개인접시에 담아서 나오길 바라시는 거 같네요..
    근데 한정식은 대부분 서빙하는 분이 개인접시에 나눠줘서 젓가락 같이 넣을 일은 거의 없었어요..

  • 5. ???
    '12.10.7 4:50 PM (59.10.xxx.139)

    저희집은 개인접시 다 쓰는데..음식점도 요즘은 다 줘요

  • 6. ..
    '12.10.7 4:51 PM (175.117.xxx.95)

    저도 외국처럼 요리 하나에 집게든, 숟가락이 딸려 나오면 좋을 것 같아요.
    이번 명절에 가족들 차례후 같이 식사 하는데 똑같은 음식을 여러 접시에 나눠 담고, 각자 젓가락으로 헤집는게 이제 제 목소리 낼만큼 연차가 흘러 저절로 담에는 부풰식으로 했으면 좋겠다 했네요.
    그럼 설거지 감도 적게 나오고 남은 음식도 위생적이고...

  • 7. 그러니까요
    '12.10.7 4:52 PM (211.246.xxx.51)

    상차림할때 개인접시 다 준다고요
    안주는델 못봤는데 안주는데는 어디인지?

  • 8. .....
    '12.10.7 4:55 PM (124.54.xxx.201)

    윗님들~ 개인접시가 나오긴 하지만, 그거야 찌개나 전골 덜어먹는 개인접시죠.
    소소한 반찬까지 덜어먹는 개인접시가 아니구요.

    진정한 개인접시가 되려면
    내 먹던 젓가락으로 음식을 집어오는게 아니라
    부페처럼 반찬 그릇 자체에 집게가 있어야 해요.

  • 9. 원글이
    '12.10.7 5:01 PM (222.104.xxx.207)

    고급 한정식도 뷔페식 상차림으로 바뀌었음 좋겠어요.
    큰 그릇에 덜어먹을 수 있는 집게 놔 두고
    개인접시 놔 두고, 국이랑 찌게 국물 있는 건 당연히 개인 국그릇에 덜어 먹게 하고,
    그리고 중국집처럼 회전식 테이블이라서 음식들이 빙글빙들 돌아서
    손님들 앞에 공평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그렇게 하는 게 편할 것 같아요.

    한식 상차림 고객편의가 아닌 것 같아요, 글로벌 시대에....

  • 10. 물고기
    '12.10.7 5:03 PM (220.93.xxx.191)

    걘적으로는 외상차림 이거좋으네요.
    하지만,
    집에서 하려니 접시 장난아니게 나오겠네요
    한식은 반찬이 많아서 그런것같아요~!!

  • 11. ..
    '12.10.7 5:05 PM (58.227.xxx.56)

    우리나라 식사법 문제 많은 것 사실입니다.

    한 마디로 야만인 식사법이지요.

    연속극에서 보여주는 가정 상차림을 볼 때마다 느끼는 건데 여러가지 반찬을 쭈~욱 차려놓고

    다 같이 먹고 남으면 분명히 버리지 않고 다 냉장고에 넣어 놨다가 그거 다시 꺼내먹고...

    선진국 선진국 하지만 개선해야할게 너무 많은 아직은 갈길이 먼 우리나라라고 생각함.

    식탁문화는 정말 바뀌어야합니다. 각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드라마에서 보여주는 식탁풍경까지도 ...

    모든 음식은 개인이 각 각 따로 먹는 문화로 변해야...

  • 12. 원글이
    '12.10.7 5:08 PM (222.104.xxx.207)

    집에서 식사할 때나 손님 접대할 때도
    다 같이 이 젓가락, 저 젓가락 휘저어 가며 먹고 남은 건 다시 냉장고로 고고~
    특히 국물있는 찌게 종류는 웩~

    윗분 말씀대로 좀 아닌 것 같아요.

    서양처럼 큰 그릇에 반찬 놔 두고 집게 놔 두고 개인접시나 그릇에 덜어 먹는 문화가 정착했음 좋겠네요.

  • 13. 원글이
    '12.10.7 5:19 PM (222.104.xxx.207)

    저는 한식상차림-양반들은 외상으로 먹었다고 들었어요.
    한 사람당 상이 하나,
    손님이 셋이면 상도 셋 이렇게요.

    저희 외가에서도 그렇게 했다고 들었고요.
    지금처럼 우~같이 먹는 상차림은 전통상차림이 아닐 수도 있어요 .

    다 같이 먹는 밥상-그거야 어느 나라나 하층민들은 그렇게 먹잖아요.

    아님 잘 아시는 분이 댓글 달아 주시면 좋겠네요.

  • 14. 식문화님 동감
    '12.10.7 5:23 PM (175.197.xxx.55)

    저도 윗댓글에 동감입니다.

    여태까지 잘 먹고 산 세월이 얼마인데 "웩"이란 표현도 서슴치 않고 ...

    정말 이건 아니지 싶습니다.

    개선했으면 좋겠다는 이해가 가지만!

  • 15. 일단
    '12.10.7 5:24 PM (14.52.xxx.59)

    한국은 계급사회였기때문에 전통상차림은 계급별로 다양합니다
    일일이 개인상 받는 양반에 잘사는 중인부터
    바가지에 넣고 다 섞어먹는 천민상도 있겠지요
    지금 일반적으로 개인접시 조금 쓰고 찌개 같이 먹는건 아마 60년대 정도의 상차림이 아니었을까 싶어요
    지금 왠만한 집들도 딱 자기식구 아니면 찌개도 다 따로 먹지 않나요???
    원글님 글이 일단 지금 시대하고도 잘 안 맞는것 같아요
    김가네 분식도 개인접시 주는 시대인데요

  • 16. ..
    '12.10.7 5:24 PM (58.227.xxx.56)

    몇 개 위 식문화님.

    우리 식문화는 상당히 비 위생적이라구요..

  • 17. ..
    '12.10.7 6:39 PM (211.106.xxx.243)

    비위생, 웩이라고 하기전에... 원래 각상문화였데요 앙증맞은 작은 상에 각자 먹었지만 전쟁이나 정치적인 문제때문에 찢어지게 가난해져서 그렇게 못하고 살았겠죠 가난이 문화를 바꾼건가.. 그래서 밥상머리에서 숟가락으로 반찬 퍼먹지 말아라, 젓가락 입으로 빨지 말아라고 가르치죠 젖가락질 할때 입에다 안 넣으면 더러울 일은 없죠 겸상일때 찌개먹을땐 아무래도 침이 묻겠지만... 오랜 문화를 가진나라면 어디라도 그렇게 현대인들의 기준으로 약점이 있기 마련이죠 인류가 있던 이래로 세균이라는걸 안지가 얼마나 됬다고..

  • 18. ﹕﹕﹕
    '12.10.7 6:49 PM (180.231.xxx.35)

    우리나라도같이 떠먹는 식문화바뀌어야하는건
    정말맞아요
    너무 더러워요

  • 19.
    '12.10.7 8:52 PM (87.152.xxx.234)

    음식집는 큰 젓가락하고 찌개 각자 떠먹을 수 있게 하는 작은 국자 하나만 더 놓으면 되는데 말이죠;; 저희집은 각자 덜어 먹어요.

  • 20. 음..
    '12.10.8 3:15 PM (210.94.xxx.89)

    집에서 음식 드실때 남은 거 다시 냉장고에 넣으시나요? 그런 건.. 음.. 연세 많으신 할머니들이나 그러시죠.

    처음부터 조금만 덜어내고 남은 거, 젓가락 닿은 거는 모두 버립니다.

    보통.. 이렇게 하시는 거 아닌가요? ㅠㅠ

    웅.. 저는.. 명절에 저희 어머님만 남은 음식 다시 냉장고에 넣고 그러시는 줄 알았어요.

    멘붕.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7438 안철수" 국민의 뜻에 따라 단일화 할것" 29 ㅇㅇ 2012/10/22 2,884
167437 원두커피머신과 파드커피머신(인벤토?) 어느것 살까 어리아포요 .. 2 베리 2012/10/22 1,938
167436 일베란 곳이 얼마나 찌질한곳인가요? 10 ,. 2012/10/22 2,505
167435 김.냉에 이틀넣어두고냉동실에하루넣어둔 소고기 먹어도 되요? 1 핼프 미~ 2012/10/22 782
167434 우리 역사상 외교는 신라김춘추가 최고 20 kshshe.. 2012/10/22 1,826
167433 주말 여행지 추천 2 ... 2012/10/22 1,509
167432 성인여드름 피부과 관리받으면 비용이 어느정도들어요? 2 멍게녀 2012/10/22 31,878
167431 작년에 작은무로 담은 동치미... 어떻게 해서 먹으면 좋을까요?.. 작년동치미 2012/10/22 718
167430 시어버터 화상에 좋네요^^ 5 크랜베리 2012/10/22 2,095
167429 신의폐인님들~~~최영대장의 고백~~~~~~~~~ 5 월화월화 2012/10/22 2,065
167428 분갈이는 어디서 하나요~?? 1 현잉 2012/10/22 1,215
167427 돌아가셨지만, 행복 강의 하시던 최윤희 선생님 4 .... .. 2012/10/22 2,833
167426 후보들간의 투표확실층 ㅇㅇ 2012/10/22 690
167425 백화점에서 구입한 칼 갈아주나요? 1 햇살조아 2012/10/22 748
167424 목련꽃봉우리(신이화) 와 유근피 함께 달여 먹어도 괜찮을까요? 2 ... 2012/10/22 4,660
167423 편도선수술병원 문의요. 5 gks 2012/10/22 2,477
167422 충청도말이 제일 빠른 증거 12 프로의눈 2012/10/22 2,878
167421 고려은단문의 3 은단 2012/10/22 1,328
167420 시댁일에는 묘한 반감부터 드네요 ㅠㅠ 27 일단반감부터.. 2012/10/22 7,877
167419 장윤정 올레 김치 먹어 보신 분 계신가요? 1 김치생각뿐 2012/10/22 1,494
167418 일산에서 도로연수하려고 합니다 1 도로연수 2012/10/22 1,836
167417 결혼전 마련한 비자금 공개여부 고민중. 10 고민중 2012/10/22 3,434
167416 문재인펀드 사이트가 열리지 않아요 13 문재인펀드 2012/10/22 2,205
167415 씽크대 자체제작시 필요한 1 아이디어 필.. 2012/10/22 1,107
167414 딸아이가 내일 소풍가는데 옷을 뭐 입혀 보내야할까요? 5 애엄마 2012/10/22 1,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