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술보다는 커피가 낫겠지요?

어쩌라구.. 조회수 : 1,628
작성일 : 2011-08-23 11:18:08

 

아.. 저 커피 잘 못마셔요. 술은 잘 마셔요.

30개월, 그리고 4개월 된 아이 둘 제가 봐야해요.

큰애는 여러가지 이유로 아직 어린이집에 못 다니고 있어요.

큰애는 지금 남편과 같이 문화센터에 갔고, 작은애는 방에서 자고 있네요.

아이 돌보기 정말 힘들어요. 몸이 피곤한건 그렇다쳐도 저는 마음이 힘드네요.

내가 과연 이 아이들을 잘 키우고 있는걸까, 저 아이들은 (특히 큰애는) 나와 함께 있어서 행복할까.. 그런 고민.

 

 

30개월 된 큰아이를 종종 크게 혼을 내고는 해요. 저도 일관성이 부족한 엄마라 제 성격에 욱해서 버럭버럭하죠.

그러고나면 아이는 저를 무섭게 보고 말을 잘 듣고 저는 또 그런 엄마밖에 될 수 없단 자괴감에 괴롭고 힘빠져요.

둘째 모유 먹이다 이런 저런 이유로 분유 수유로 돌리면서 제일 먼저 찾은게 커피와 술이었어요.

커피는 아침에 한잔, 술은 아이들 다 잠든 후 저녁에 와인 한잔.

 

커피를 잘 못마시는 사람이다 보니 커피 한잔씩 마시면 괜히 기분이 업되어서 아이들 볼 때 좀 더 나았고,

밤에 피곤에 지쳐 잠도 잘 이루지 못할 때 가볍게 알콜 기운에 의지해 자니 푹 자게됐구요.

그런데 요 며칠은 우울한 날씨 때문인지.. 아니면 이제 갓 백일 지난 둘째 돌보다 보니

이 끝없는 육아에 지친건지 애들 낮잠 잘 때 와인 반잔씩 더 따라마셔요.

 

 

커피나 술을 마시면 살짝 기분이 좋아져서 의지하게 되지만

이게 내성이 있는거라 점점 더 많이 점점 더 자주 찾게될거라는거.. 그게 걱정이죠.

오후엔 큰애와 또 어찌 시간을 보내줄지, 코감기 기운이 있어서 미열이 좀 나는데 아플까봐 또 걱정..

행복한 엄마 아래 행복한 아이가 자란다는데 그 점에선 우리집 큰애에게 너무 미안하고.. 노력해야겠고.

 

그런데 날이 갈수록 육아가 몸에 배는게 아니라 왜 이렇게 벅차지요.

아이들이 저를 보고 곱게 웃어줘도 저는 순간순간 외롭고 또 외로워요.

이 시간도 흘러갈테고 그리워질테고 후회할텐데요.

 

외로운 마음에 술을 마실 수는 없고.. 커피 한잔을 더 마실까요.

사실 커피나 술 말고 다른 약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기운내서 아이들을 행복하게 해 줄 수 있는 그런거.

다 제 할 탓인데.. 저 참 부족한 엄마고 부족한 사람이지요..

 

IP : 121.147.xxx.229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1.8.23 11:30 AM (203.244.xxx.254)

    커피 하루에 한 두잔은 괜찮은데요.. 가능한 커피믹스 말고 원두커피 드시구요.
    술은 낮과 밤에 한잔 반잔씩 매일 드시는 건 위험해보입니다. 술의 힘을 빌리고 있다는데서 초기알콜중독이 아닐까 싶기도 하거든요.
    혹시라도 커피를 드시는 것 때문에 밤에 잠이 안 와서 와인을 드시는 거라면 둘다 과감하게 끊으세요.
    처음엔 많이 힘드시겠지만 알콜중독되는 것보다는 낫다고 생각합니다.

    기운 내시구요.. 애들 어디라도 다니면 좀 나아지실 거에요.

  • 2. 땡기는 걸로
    '11.8.23 11:31 AM (219.251.xxx.182)

    님 땡기는 걸로 한두잔씩 드세요
    중독 쬐금 되어도 나중에 애들 키우고 내생활 찾으면 자연히 극복되어요..
    저두 애기들 어릴때 커피와 술로 보내고
    그래도 그런 기호식품을 벗삼아 힘든 시기를 이겨내는 것도 나쁘진 않다구 생각합니다.

    아이들 다 크고 나면 그런때도 있겠지 생각하실거에요..
    세월이 물같이 흐른답니다

    이런 고민하는 님은 좋은 엄마 분명합니다
    힘내시구요

  • 3. 소나기
    '11.8.23 11:35 AM (180.69.xxx.165)

    그맘때 많이 힘드시져...
    아이둘 키우시면 나도 모르게 큰소리두 나구 야단도 치고 많이 그래여.
    엄마맘이 아무래두 몸이 힘들면 그렇게 되는 것 같넹..
    저두 가끔 애들 잘때 술도 한잔 하고 커피두 하루에 한잔씩은 먹게 되네여.
    오늘 하루도 기운내시구 화이팅 하세여..
    절대절대 부족하신 엄마 아닙니다..

  • 4. 먹순
    '11.8.23 12:15 PM (112.151.xxx.58)

    와인은 외국에서 술로 치지도 않더군요.
    육아에 지쳤을때 한잔은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정신적인 스트레스 때문에 저녁마다 술을 마시기 시작한게 벌써 7년이에요. 습관되서 잘 끊기가 힘드네요.

    드시는 대신에 양 조절하시길

  • 5. jk
    '11.8.23 1:18 PM (115.138.xxx.67)

    커피를 드시구요

    술은 정말 상태 안좋을때 아니면 일주일에 한번정도씩 정말 잠 안올때
    일주일에 한번 그리고 와인잔으로 한잔(가득 채우지 말구욧!!!!) 그정도만 드세요.

    혼자서 일주일에 3번 이상 드시는건 안좋음. 같은 양이라도 사람들이 있을때 먹는것과 혼자서 먹는게 엄청나게 다릅니다.

    술은 일주일에 한번정도만 아니면 아예 안드시면 좋구요 정말 잠안올때 가끔씩만 드세요.
    잘못하면 중독됩니다.

  • 6. 저기
    '11.8.23 4:36 PM (58.227.xxx.121)

    와인은 드시지 마세요.
    위에 다른분은 외국에선 술로 안친다고 하시지만, 서양 사람들은 근본적으로 우리랑 체질이 달라요.
    독일에선 맥주도 술로 안친다잖아요. 하지만 우린 아니죠.
    혼자서 술마시는거... 그러다 중독됩니다. 알콜 중독이요.. 그거 끊기 정말정말 힘들어요.
    의존성도 점점 커지고 양도 늘어요. 술 드시지 마세요.
    jk님 말씀처럼 아주아주 힘들때 조금씩만 드시되, 그게 제어가 안된다면 아예 집에 술을 놓지 마세요.
    대신 커피는 원두커피로 하루에 두잔 정도 괜찮으니까 커피 드시고요.

  • 7. 저기
    '11.8.23 4:36 PM (58.227.xxx.121)

    와인은 드시지 마세요.
    위에 다른분은 외국에선 술로 안친다고 하시지만, 서양 사람들은 근본적으로 우리랑 체질이 달라요.
    독일에선 맥주도 술로 안친다잖아요. 하지만 우린 아니죠.
    혼자서 술마시는거... 그러다 중독됩니다. 알콜 중독이요.. 그거 끊기 정말정말 힘들어요.
    의존성도 점점 커지고 양도 늘어요. 술 드시지 마세요.
    jk님 말씀처럼 아주아주 힘들때 조금씩만 드시되, 그게 제어가 안된다면 아예 집에 술을 놓지 마세요.
    대신 커피는 원두커피로 하루에 두잔 정도 괜찮으니까 커피 드시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746 해운대송정비치에서 못 볼꼴을 봤네요. 2 민망 2011/08/23 2,325
6745 코팅팬.. 긁히고 벗겨진 거 쓰면 뭐가 문제인가요? 4 코팅팬 2011/08/23 2,158
6744 중3담임께 상담가는데 빈손으로 가도 될까요? 10 2011/08/23 2,440
6743 디지털케이블hd방송수신기 달아준 거 일년동안 연장해준다는데 어떻.. (주)씨엔앰.. 2011/08/23 1,544
6742 2009년쯤부터 금 사면 좋을거란 이야기 했던 사람인데 옛날 금이야.. 2011/08/23 1,549
6741 영화제목이 생각이 안나는데... 단서도..ㅠㅠ 5 ,. 2011/08/23 1,390
6740 봉천동 귀신 멋모르고 클릭했다가 간떨어질뻔 ㅠㅠ 8 2011/08/23 2,619
6739 딸아이가 이번에 회장이 됐는데요.. 5 휴.. 2011/08/23 1,832
6738 죽염이 소독효과 있는거죠?? 2 죽염 2011/08/23 2,417
6737 아주 똥줄이 타셨나봐요 1 낼은 생까는.. 2011/08/23 1,435
6736 12쥐 삽질벽화. 성지순례 예감대박!! 삼성동 서울의료원사거리근.. 10 참맛 2011/08/23 2,485
6735 주방, 그릇 구경 실컷 할수 있는 블로그좀 추천해주세요 3 ㅇㅇ 2011/08/23 4,534
6734 금을 팔아볼까 하는데.. 8 순금시세 2011/08/23 2,347
6733 저흰 어떻게 해야 할까요? 4 고민 2011/08/23 1,537
6732 노인분들 비행기 타시는 문제 3 연령 제한?.. 2011/08/23 2,179
6731 이사할때 업체는 어느 지역에서 부르나요? 1 희망이 2011/08/23 1,171
6730 찬바람부니 얼굴이 따가워요 화장품 추천 1 얼굴 2011/08/23 1,496
6729 [화보] '기네스 도전' 1인시위 현장 8 참맛 2011/08/23 1,927
6728 강동구 학원 추천요망! 시작하는어미.. 2011/08/23 1,549
6727 지금 3살인데요 중이염을 달고 살아요. 6 이빈인후과 2011/08/23 1,818
6726 제주도 2박3일? 4박5일? 5 여행 2011/08/23 2,200
6725 옆에 공구 페이지 저만 못 들어가는 건가요...? 2 호가나스 2011/08/23 1,208
6724 컴이 느려저서 이거저것 해보려는데 4 조각모음 2011/08/23 1,127
6723 박근혜 지역구인 대구 달성군 무상급식하고 있나요~ 9 대구 사시는.. 2011/08/23 2,008
6722 중1에게 kt에서 기본요금17000원이 가장 저렴한가요? 5 중1맘 2011/08/23 1,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