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결혼 10년차가 넘어도 적응 안되는 시집식구들의 식당예절

임금님귀는당나귀귀 조회수 : 2,578
작성일 : 2012-10-04 10:09:44

명절 지나고, 그냥 답답은 하고.. 하소연 할 때라곤 없어서 몇 자 적어봅니다.

저희 시집은 제사를 안 지냅니다. 종교적인 이유로요..

저흰 편하죠.. 굳이 음식 장만에 크게 신경 안쓰고 그때 그때 먹고 싶은 음식을 해 먹으면 되니까요.. 시아버지 계실때는 그나마 작은 아버지들이라도 오셨는데, 돌아가시고 나서 시어머니께서 제사를 큰 형님댁으로 옮기니, 설에나 오시지, 추석에는 안 오시더라구요.. 그래서 식구라곤 시어머니랑 큰 형님네, 저희 식구, 그리고 장가안 간 시동생이 다예요..

그래서 올 추석엔 음식을 안 차리고, 가족 외식을 하기로 했어요.

시동생이 호텔급 부페를 예약을 했다네요.. 게다가 룸차지를 주고 룸까지 빌렸다고 해요.. 제 생각엔 과하다고 생각했지만, 낌새가 이상해서,,, 물어봤더니, 역시나 소주를 페트병에다가 부어 온다더라구요..

그러니까.. 몇년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씨푸드 프랜차이즈 식당에 간 적이 있어요.

그때 거기에서 소주를 안 판다니..(안파는지, 아니면 소주값이 비싸서 그랬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식당으로 출발하기 전, 큰 동서가 소주를 페트 물병에다가 붓더라구요.. 뭐하냐니까.. 맛있는 안주를 두고 술을 안 먹을 수 없다고.. 형님이 시켰다네요.. 참.. 그때도 어이가 없었어요..  식당에서 물잔을 슬쩍 비워서는 거기다 소주를 따라 붓고 세 형제가 마시더라구요.. 

그래서.. 룸까지 돈을 5만원씩이나 주고 빌린다기에..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 이번에도 소주를 페트병에다 부어서 가져가더군요.. 뭐라고 제가 말은 못하겠어요.. 제가 그런 말 잘 못하는데다, 말 꺼냈다가 저만 이상하게 될 거니까요.. (다들 그게 별로 이상하지 않다는 분위기.. 울 남편은 이해는 하지만, 형제들한테 얘기 꺼냈다가 말도 안통한다고 아예 저한테 그냥 그러려니 하라네요..)

역시나 부페에 도착해서 시동생이 물잔을 몇개 더 달라고 하자, 웨이터분이 눈치를 채셨나봐요.. 왜 필요하시냐고.. 물잔에 인원대로 물을 다 채워드렸는데.. 하니.. 슬쩍 술을 마신다고 했나봐요.. 당연히 금지겠죠.. 가족단위로 식사하는 장소에서 옆좌석에서 술냄새 푹푹 풍기면 누가 좋아하겠어요..  안된다고 , 금지라고 했나봐요.. 어찌됐건.. 거기서 멈췄으면 좋았는데.. 웨이터 가고 나서 물잔을 다른데다 비우더니 결국은 삼형제가 소주를 부어 마시더군요..

저 이게 너무 싫어요.. 창피하기도 하구요.. 공중도덕, 혹은 에티켓에 어긋나는 행동하는거 정말 싫거든요.. 그런데 누구 하나 제지 안해요.. 큰 동서도, 울 시어머니두요..

심지어는.. 이런 장소에.. 울 동서는 항상 비닐팩이나 락앤락통을 넉넉히 준비해 옵니다.. 맘에 드는 음식 싸간다구요.. 이번에도 부페 먹고 나서는.. 울 시어머니한테 먹고 싶은 음식 있으면 한 접시 가져오라고.. 비닐팩 넣어왔다면서.. 음식들 몇가지를 싸 가더군요..

 

시집와서 얼마 안 되었을 때... 한정식집에가서 음식을 먹고는 남은 음식 아기 먹인다고 (동서가 맞벌이거든요.. 그러니 반찬을 자주 안 만들어요...) 락앤락통에 생선이며, 나물이며 싸가지고 가는 걸 보고 좀.. 많이 놀랐어요..

근데 이후로는 음식점에 갈때마다 꼭 그런 걸 챙겨와서 싸간다거나, 맛있으면 한접시 더 달라고해서 그걸 따로 싸가더군요..

 

결혼한지 10년이 넘었지만, 전 아직도 이런거 적응이 안되고, 적응할 생각도 없어요.. 일년에 몇 번씩 같이 식사할때마다 가기 싫습니다.. 그렇지만 어쩔수는 없지요.. 제가 그 사람들의 습관을 고칠 수도 없고, 근데 그걸 눈으로 보고 있으려니 짜증은 나고..

 

사람들은 별로 나쁜 사람들이 아닌데.. 이런 습관이 정말 시집식구들과 마음의 경계를 두게 만듭니다..

 

한번씩 남편한테 얘기하면.. 자기도 알지만 자꾸 어쩌겠냐고만 하고..

 

아.. 그저.. 언젠간 한번 공개적으로 쪽팔림을 당하는 일이 있어서.. 다신 안그랬으면 하네요..

IP : 182.209.xxx.3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0.4 10:12 AM (112.223.xxx.172)

    소주 먹는다고 뭐라 하지 마시고,
    다음부터는 소주 파는 곳으로 가자고 하시는게 현명하죠.

  • 2. 진상
    '12.10.4 10:17 AM (1.231.xxx.151)

    진상 손님들이네요.

    원글님이 저 버릇 뜯어 고치려고 여기 글 남기셨겠어요?
    그냥 저런 하소연 하시는거지??

    저도 싫을듯해요.. 아우 참 저렇게 생각이 없을까나

  • 3. 윗님
    '12.10.4 10:19 AM (182.209.xxx.37)

    그런가요? 음식 싸가는 것도..그냥 남는 음식 포장해달라고 당당히 싸오면 괜찮은데요.. 비닐이나 플라스틱 통에 눈치보면서 바리바리 싸오는거라... 전 좀 그렇더라구요.. 메인음식 싸오는건 괜찮은데 여러 반찬들, 심지어 김치도 입맛에 맞으면 더달라고 싸오는 형편이라....글고 제가 남편하게 우십번도

  • 4. 윗님
    '12.10.4 10:20 AM (182.209.xxx.37)

    수십번도얘기했는데, 편하게 술 마실수 있는 음식점으로 가쟤도, 부페처럼 이것도 먹고, 저것도 먹는 곳을 선호하세요...ㅠㅠ.

  • 5. 으아...
    '12.10.4 10:35 AM (211.108.xxx.159)

    식탐이 정말 센 가족들이군요.
    부페처럼 무제한으로 먹는 곳만 선호한다니...

    게다가 맛있으면, 한접시 더 달라고 해서
    락앤락 통에 싸간다...

    옛날 시트콤 순풍산부인과에 오지명씨네 가족이
    딱 그랬는데...
    사위 박영규랑 선우용녀 등등이 부페 가기전에 온갖 종류의 휴대품(비닐봉지, 통 등등)으로 무장하고 들어가서 먹고 싸오고 해서 집에서 풀어놓고 흐뭇해하는...

    그때 배꼽 빠지게 웃었는데,
    과연 실존하는 이야기였군요.

    저라도, 이 식습관(?) 아니 식문화는 이해불가입니다.
    차라리 그 돈으로 집에서 원없이 만들어 드시지...

  • 6. 속삭임
    '12.10.4 10:40 AM (14.39.xxx.243)

    저도 겪은 일인데요...정말 싫었어요.

    술먹을려고 준비하는 모습부터가 한심해보이고 아이가 점점 크면서 그 모습 보는것도 싫었어요.

    그나마 음식탐들은 없어서 싸오는건 안했네요.

  • 7. ..
    '12.10.4 10:53 AM (115.178.xxx.253)

    처음 들어보는 얘기네요.
    저라도 싫을것 같아요.

    남는 음식 싸오느거랑은 틀리지요. 저도 제가 시킨 음식 남으면 싸옵니다.
    좀 적더라도. 어차피 버리게 될터이니 집에 가서 다른 음식이랑 같이 먹으려구요
    그러나 부페는 그런곳이 아니잖아요.

  • 8. ...
    '12.10.4 11:04 AM (59.15.xxx.61)

    님 시댁 식구들 때문에
    음식값이 비싼거에요.ㅠㅠㅠ
    그런 사람들이 많은건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1504 속궁합이 잘맞다는말 1 화이트스카이.. 2012/10/04 6,117
161503 이거 꼭 밝혀져야! 전두환 “박근혜 6억 줬더니 3억 돌려줘” 3 .... 2012/10/04 2,727
161502 자연송이에서 시큼한 맛이 나요 1 자연송이 2012/10/04 1,796
161501 아기가 변비면 엉덩이쪽 아픈가요? 4 다운맘 2012/10/04 1,050
161500 경북 모 교회 흉기난동, '망상'에 빠진 범죄 5 호박덩쿨 2012/10/04 1,483
161499 너무 금방 배가 불러요...... 2 배가 2012/10/04 3,020
161498 요즘 글이 7 *** 2012/10/04 2,590
161497 황우여 대표가 생각하는 문재인과 안철수 이미지는? 2 세우실 2012/10/04 1,018
161496 울때만 엄마 쳐다보며 우는 아기 심리는 뭔가요 ~ 4 opus 2012/10/04 2,016
161495 어린이집 다니면 감기는 어쩔수 없는건가요??? 감기 2012/10/04 1,557
161494 이런 고민하는 제가 한심스럽지만..ㅜㅜ 11 ;_; 2012/10/04 3,929
161493 내일 부산을 갑니다 9 ***** 2012/10/04 1,505
161492 착한남자 문체원은 무슨병인거예요? 9 ... 2012/10/04 5,037
161491 서초동 남부터미널 앞 성모안과 어디로 이전했는지 아시나요 영선맘 2012/10/04 2,031
161490 세탁기 세제 거품..... 로즈마리 2012/10/04 877
161489 18k목걸이 체인굵기 어느정도라야 3 잘안끊어지나.. 2012/10/04 5,909
161488 7세 아들과 메리다와 테드, 어느 게 좋을까요? 5 영화 2012/10/04 1,103
161487 식품첨가물 없애는 방법 5 농부 2012/10/04 2,051
161486 짝 돌싱 커플 흐미 임신 빨리 4 했네요 2012/10/04 4,185
161485 난 문재인이 살아온 이력이 훨씬 훌륭하다 봅니다 10 문재인의 국.. 2012/10/04 4,186
161484 오래된 막걸리... 그냥 버릴까요? 6 막걸리 2012/10/04 9,870
161483 가장 현명한 신차 구입 방법 좀 알려주세요^^ 2 한수부탁.... 2012/10/04 1,968
161482 나무수저 어떤게 좋아요? 흑단? 대추나무?(어른들 쓰실만한 거요.. 2 어디서 2012/10/04 2,416
161481 운동화 스케쳐스 ,뉴발란스 어떤게 더 편한가요? 8 .. 2012/10/04 4,530
161480 어떻게 놓아드려야 할까요 돌아가신 우리 아빠.......... 8 힘드네요 2012/10/04 2,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