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여기에 혹시 87년 6월 항쟁을 구경하거나 나가신 분 있나요?

엘살라도 조회수 : 2,840
작성일 : 2012-10-02 23:18:34
제5공화국 드라마 보니까 6.29 선언에 관한 이야기 나오는데 시위 하는거 보니까 일반 시민들이 학생들 응원하고 상인들은 시위하는 사람에게 물품 먹을거 주고 막 응원해주고 진짜 온 국민이 단결하는거 같이 보였는데...  실제로 어땠나요?
IP : 119.66.xxx.228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내기억
    '12.10.2 11:20 PM (121.186.xxx.144)

    최루탄은 있었지만 축제 분위기였어요
    이렇게 하면 무너지겠다는 느낌

  • 2. ..
    '12.10.2 11:20 PM (118.32.xxx.220)

    데모하다 토끼몰이 당해서 아무데나 막 들어오면 내자식마냥 맞이 해주고 최루탄에 눈물흘리면
    바가지로 물떠서 눈세척해주고 치약주면서 ..

  • 3. ㅇㅇ
    '12.10.2 11:22 PM (183.108.xxx.126)

    맞아요
    그때 고등학생이었는데 학교 일찍 끝내주고 집으로 바로가랬는데 시내로 갔어요 대학생들 백골단에 쫓겨 시내골목으로 뛰어들면 가게에서 숨겨주기도하고 물도주고 그랬어요

  • 4. 스뎅
    '12.10.2 11:25 PM (180.228.xxx.32)

    매일 창문 닫고 수업 하던 기억,학교가 신촌근처라...굉장히 간절하고 격했던것 같아요 국민들 대부분이 똘똘 뭉치는 분위기...

  • 5. ///
    '12.10.2 11:39 PM (125.184.xxx.5)

    저 명동에서 근무할때가 생각나네요.. 아침 통근버스타고 종로,을지로를 지나면 언제그런일이
    있었느냐는듯 깨끗했던 거리가 오후5시만되면 여기저기서 울리는 소리를 시작으로 시위하던
    젊은이들 업무끝나고 명동성당에가서 구경하고 서소문중앙일보앞으로 서울역으로 구경다니다
    갈때마다 보이는 직원들하고 멋적게 웃던생각이 나네요..

    같이 합세해서 구호한번 못했지만 그냥옆에 서있어주는것도 힘이되었던것 같아요..
    호헌철폐 직선개헌 그구호였죠..

  • 6. 가투
    '12.10.2 11:54 PM (175.117.xxx.128)

    열심히 뛰었죠 하이힐 신고도 아니 일부러 하이힐 신고 가투 나갔습니다 백골단들이 잡으러 올때 가담안한 척 하느라고 서울역에서 열심히 돌깨고 도망다니고 학생때였네요 친구들하고 흩어질때는 정말 공포와 누구라도 잡혀갔을까봐 걱정으로 발을 동동 구르고 처음엔 학생들 위주였다가 나중엔 서울시내 직장인들도 뛰쳐나와 다같이 한마음으로 싸웠네요 그렇게 이룬 민주화인데 이렇게 망가지니 더욱 어처구니가 없는거죠 현상황이

  • 7. ...
    '12.10.3 12:09 AM (175.209.xxx.221)

    당시 구호가 딱 두 가지로 단순해서 모두들 따라하기 쉬웠어요.

    "호헌철폐, 독재타도"

    박통 때는 유정회들이 장충체육관에 모여 대통령을 거의 만장일치로 뽑았고(북한스타일),
    전두환, 노태우 때도 직접선거를 통해 대통령을 뽑는다는 건 상상도 못하다가
    헌법을 바꿔서 직접선거를 하기로 했었는데,
    정부에서 4.13호헌을 선포하면서 국민들의 불만이 극에 달했죠.

    87년 6월항쟁으로 호헌철폐를 외치게 된 이유였죠.
    목숨 걸고 싸운 덕분에 6.29선언이 있었고, 직선제를 쟁취할 수 있어죠.

    그런데, 정작 대선에서는 김대중과 김영삼의 단일화에 실패하여 개헌 후 첫번째 직접 선거에서 노태우가 대통령이 되었고, ...얼마나 억울하고 우울하고, 참혹한 기분이었던지...
    며칠을 쓰러져서 일어나지도 못했던 기억이 또렷하네요.

    명동성당이 시위대의 본거지 역할을 했던 것도 격세지감을 느끼게 하네요.
    그 이전엔 기독교 회관 등이 민주화의 아지트가 되었고,
    언제부터인가 명동성당이 그 역할을 맡았으며,
    (엄청난 탄압에서 그나마 종교가 바람막이가 되는 형국)
    요즘은 조계사(조계종) 등 불교계가 민주화투쟁과 관련된 역할을 많이 하고 있죠.
    얼마전에 불교계에 불어닥친 도박 등 사건은 대선 전에 불교계의 이런 역할에 대한 재갈물리기라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 8. you
    '12.10.3 12:21 AM (122.34.xxx.100)

    http://www.youtube.com/watch?v=mYdkaQRQaOE

    영상입니다......................

  • 9. ...
    '12.10.3 12:26 AM (211.211.xxx.170)

    박종철...그리고...

    http://blog.daum.net/ytoffice/6974880

  • 10. ...
    '12.10.3 12:50 AM (119.64.xxx.92)

    넥타이 부대가 참가한건 6월 10일 이후로 기억합니다.
    그 전까지는 소규모 산발적인 게릴라 시위였는데, 이 날을 기점으로 꽤 대중적으로 발전했죠.

  • 11. 쓸개코
    '12.10.3 1:42 AM (122.36.xxx.111)

    명동에 사람구경하러 동네친구들이랑 학교 파하고 갔었는데
    데모하는 오빠들 뒤로 백골단이라고 했었죠 아마? 청카바같은거 입은..
    시위하는 대학생 오빠들에게 구경하는 시민들이 마구 박수 쳐주는게 무척 신기했던 기억이 나요.

  • 12. ㅕㅕ
    '12.10.3 5:51 AM (218.53.xxx.97)

    저 86학번인데, 입학하자마자 서울대 학생이 한강다리에선가 시국을 비관하며 자살을 했어요.
    그 이후에도 시국을 통탄하는 분신자살이 잇따르고...
    힘들게 공부해 입학해서 나라 현실을 비판하며 자신의 목숨을 끊는 것, 지금 세상에선 이해가 안되죠.
    그렇게 비장하고 사회 참여 의식이 대단했어요.
    그런 분위기가 곪았다 터진 게 6.29라서 대중적 지지를 얻을 수 있었죠.
    민주주의가 후퇴해서 그때나 지금이나 뭐 비까비까한 지경까지 왔지만,
    지금은 개인과 현실적 삶에 안주하는 분위기가 큰 것 같아요.
    돈에 대한 집착력도 강해졌구요. 저는 그래서 부자 되세요란 인사가 싫어요.

  • 13. 어떤사람은
    '12.10.3 8:51 AM (14.52.xxx.59)

    장사안된다고 삿대질하기도 하고
    어떤분들은 학생들 고생한다고 야구루트도 주셨어여
    그때 노태우 된 이후로 정치에 냉소적이 됐어요
    지금도 단일화안되면 그 꼴 날거에요

  • 14. 저는
    '12.10.3 10:10 AM (39.117.xxx.217)

    노동운동...... 대학생과 노동자 모두연합하여 시위했는데 두렵기보단 축제로 생각하고 참여했었어여. 닭장차라고 전경버스에 여러번 실려갔었고....

  • 15. 넥타이부대..
    '12.10.3 11:16 AM (218.234.xxx.92)

    시청에 넥타이 부대들이 점심 때 같이 시위했습니다. 점심시간에 밥 먹으러 나온 직장인들이 대학생과 함께 구호 외쳤구요. 대학생만이 시위했던 게 아니고요. 거의 모든 사람들이 다 암묵적 시위 동조자였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460 인천공항 티켓팅 하는 직원분들 용역 직원 인가요? 3 라이프 2012/10/30 2,503
173459 벽속의 요정 3 연극 2012/10/30 678
173458 싱글녀, 집에서 호신은 어떻게? 5 달그락 2012/10/30 1,620
173457 앞으로 10~20년 후에도 제사 지내실 거에요? 7 제사 2012/10/30 1,480
173456 컴 고수님 특히 한글..여쭤볼께있어요.. 1 소란 2012/10/30 732
173455 이걸 어쩔거냐구요 1 블루라군 2012/10/30 927
173454 항상 힘들어 하고 자신감 없는 아이 어찌해야 할까요.. 8 구름속 햇살.. 2012/10/30 1,930
173453 대법관 후보자의 오원춘 관련 발언 ... 2012/10/30 778
173452 <급질> 강아지 서너마리가 담넘어 보는듯한 그림액자 .. 2 .. 2012/10/30 1,189
173451 부부간에 나이차이가 많을 것 같다..가 영어로 뭘까요? 3 영어로 2012/10/30 1,619
173450 백령도 고구마강추 4 ㄹㄹ 2012/10/30 2,827
173449 박인환 시 '세월이 가면' 노래 엉화나 드라마에 나온 적 있나요.. 5 2012/10/30 999
173448 해외브랜드,국산? 5 스텐 2012/10/30 663
173447 걍 김정은하고 한재석 연결됬음 좋겠어요~~ 5 울랄라 부부.. 2012/10/30 2,369
173446 고급스럽고 세련된 원목가구 추천해주세요~ ... 2012/10/30 758
173445 이인제는 진정.......블랙홀인가요??? 6 피닉제..... 2012/10/30 1,425
173444 수도권(경기도) 부근에 새아파트 대단지 이면서 가격 착한 지역있.. 13 수도권 2012/10/30 2,454
173443 젓갈 달이고 거르는데 한방울씩 떨어지는데 뭘로하면 맑게 걸러질까.. 3 어려워요 2012/10/30 1,101
173442 삐용이(고양이)의 잠투정에 대한 고민이에요 13 삐용엄마 2012/10/30 3,018
173441 남편 옷 잘 입히는 노하우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7 고민 2012/10/30 1,695
173440 저번에 진료비 떼어먹은 환자 어떻할지 썼던 사람입니다. 2 2012/10/30 1,191
173439 전문과외선생님을 찾는다면 자신있게 추천합니다~^^ 한울스터디 2012/10/30 1,262
173438 잠실 수학과외선생님구합니다. 3 고민맘 2012/10/30 1,511
173437 국제학교 테스트 보신분 2 계신가요 2012/10/30 2,073
173436 가습기살균제.. ㅠ.ㅠ 2 아찔... 2012/10/30 1,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