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축하해주세요. 이제부터 전은 동서가 부쳐서 갖고 오기로 했어요.

맏며느리 조회수 : 4,259
작성일 : 2012-10-02 12:55:50

시아버지 살아계실때 부터 제사 지낸지 10년 넘었습니다.

제사상이 차린 건 별로 없어도 장도 여러 번 봐야하고

할 게 참 많찮아요.

그동안 아무말 안하고 제가 전 부치고, 식혜하고, 새 김치 담고 다 했어요.

밤 까는 건 또 얼마나 시간 걸리냐구요...

우린 사서 하면 죽는줄 알아요.  ㅠㅠ

동서가 동태전과 녹두전만 부쳐오면 얼마나 쉬울까,

저 말은 언제 할까 계속 기다렸는데 10년이 넘도록 말을 안하는거에요.

이번 추석때 용기 내서 말 했어요.

이제부터 동서가 동태전과 녹두전 좀 해와.

동서 : 제가 한번도 녹두전 하는거 못봐서요.

 저 : 녹두 물에 불려 껍질 벗기고 녹두 500 g에 쌀 여섯 숟가락 넣고 믹서에 갈아서 붙히면 돼.

  

동서도 알았다고 하네요.

이 두가지만 해방되어도 저 날아갈 거 같아요.

옛날에, 동서가 자기는 맏며느리 아니라서 너무 좋다고 하더군요.

누군 뭐 맏며느리 하고 싶어서 하냐구요...

진작 말할걸...

이 홀가분한 마음 여러분과 나누고 싶어 보고 드립니다.

IP : 220.120.xxx.252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0.2 12:58 PM (203.100.xxx.141)

    왜 동태전하고 녹두전만????

    모든 전은 다 하라고 하셔야죠.

  • 2. 잘하셨어요~~
    '12.10.2 12:59 PM (219.250.xxx.77)

    진작 나누어야 할 일들이죠. 전부치는 일 정말 만만치 않게 시간들고 몸 힘들어요.
    앞으로도 나눌 수 있는 일들은 나누세요. 그러면서 대화도 많이 하시고. 좋은 동서지간이 되시길 바래요^^

  • 3. ..
    '12.10.2 1:00 PM (220.76.xxx.84)

    잘하셨어요~ 명절은 누구나 즐거워야 하는데 혼자 그동안 애 많이 쓰셨어요~!

  • 4. 유나
    '12.10.2 1:00 PM (119.69.xxx.22)

    누군 첨부터 잘하나 ㅡㅡ;;
    넌즈시 계시다가 명절/제사 다가오면 몇가지 더 시키세요;;
    절반은 부담해야죠.

  • 5. 원글이
    '12.10.2 1:01 PM (220.120.xxx.252)

    모든 전 다 하라는 말이 차마 입 밖에서 안나왔어요.
    고것만 해 줘도 전 좋아요.
    나머지는 집에서 후라이팬에 제사상에 올릴만큼만 조금 하려구요.

  • 6. 원글이
    '12.10.2 1:02 PM (220.120.xxx.252)

    일 나누고 싶은데 남편이 반대가 심합니다.
    자기가 하루 쉬고 일 한다고 하는데...
    형제간에 의리 상할까 싶어 전전긍긍...

  • 7. ..
    '12.10.2 1:12 PM (203.228.xxx.24)

    한두가지 정도는 해오라고 시켜도 되죠.
    그걸로 의상할 인간성이라면 차라리 안보고 사는게 나을테구요
    제사 지낸다고 새김치 담그고 식혜에 녹두전까지 하실필요 있나요?
    안해도 되는데......

  • 8.
    '12.10.2 2:15 PM (114.202.xxx.134)

    저희 형님(동서), 저 결혼하자마자 전 다섯 종류 해오고, 과일이랑 밤대추랑 육고기, 생선 사오라고 하던데요.
    형님이 시어머니 모시는 것도 아니고, 따로 맏며느리 노릇 하는 것도 아닙니다. (이간질 몇 번 하다가 시어머니랑 엄청 사이 틀어져서 명절에만 보고 삽니다) 직장 다니는 것도 아니고요(제가 직장 다니죠). 경제사정은 저희보다 훨씬 넉넉하고요. 다만 형님 나이가 저보다 10년 윕니다 흠-_-
    요 몇 년 전부터는 밤도 은근슬쩍 우리한테 넘기네요. 남편, 전날밤 내내 밤을 치다가 치다가 작년엔 까놓은 거 사가자더군요 ㅎㅎ
    쓰는 금액으로 봐서 우리가 훨씬 큽니다만, 나물 세 종류랑 탕국 끓이는 것도 성가신 일인 건 맞고 집에서 손님 맞는 것도 성가신 일일테니...하고 이해하고 넘어갑니다.
    사실 나눠 하는 게 맞는 거죠. 남편분이 동생 무서운 줄만 알고 아내 무서운 줄, 미안한 줄은 모르는 군요. 요즘 세상에 그 정신없는 차례-제사준비에 식혜랑 김치를 새로 담는것도 대단한데 동생이 화낼까 무서워서 아무 소리 못하고 아내만 부려먹다뇨.
    아, 그리고 밤 까는 건 원래 남자가 하는 거에요. 맏아들이 하는 겁니다. 남편분께 일임하세요.

  • 9. 구스
    '12.10.2 2:43 PM (118.34.xxx.200)

    잘하셨네요 전 맏동서인데 집에선 막내라 포스가 많이 부족하네요

  • 10. ..........
    '12.10.2 3:37 PM (220.85.xxx.109)

    김치야 어차피 제사아니라도 있어야하는거고

    식혜를 빼던가 사세요

    전도 가짓수를 줄이시면 어때요

  • 11. ...
    '12.10.2 5:37 PM (110.14.xxx.164)

    당연한거ㅜ아닌가요
    저도 전 몇가지랑 산적 해가요
    못하면 배우던 사던 알아서 해오겠죠

  • 12. 부러워
    '12.10.3 2:41 PM (110.70.xxx.120)

    에구~ 부럽습니다
    저희동서는 나물세가지 상에 올릴정도만 해오고
    제사비 조카용돈 일절 없네요
    형편이 좋을때는 하는짓이 얄미워 말하기싫어서 안했고 지금은 사는형편이 그리 안좋으니 뭐라 말할수가 없네요ㅠ
    우리며느리 들어오면 며느리때문에라도 동서한테 일을 분담해야겠죠?
    지금까지 20년을 이러고 사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215 초등아이랑 3박4일정도 여행 다녀오고 싶은데요... 2 /// 2012/10/29 943
173214 생리주기때문에 피임약 먹는 분들 도움 좀 주th세요! ㅠ.ㅜ 4 미치것수 2012/10/29 1,707
173213 물건고르기 나이프 2012/10/29 526
173212 로벤타 무선 청소기 써보신분~~~ 3 무선청소기 2012/10/29 4,625
173211 혹시 독일에서 먹는 프레첼하고 똑같이 만드는 빵집 아세요? 5 라벤더 2012/10/29 2,023
173210 지루성두피 개선하려면 생활습관을 어떻게? 2 두피 2012/10/29 2,225
173209 샤넬이나 에르메스...가격대비 만족하시나요? 12 2012/10/29 7,014
173208 자영업 하시는 분들 요즘 경기가 5 ,,, 2012/10/29 2,003
173207 쇼핑몰 질문이요~기억이 안나요 도와주세요^^; 4 지니S 2012/10/29 1,452
173206 생선 금태 맛있나요 4 궁금 2012/10/29 4,060
173205 층간소음!! 견디기 힘듭니다. 4 조용히!! 2012/10/29 1,505
173204 ebs다큐 프라임 지금 해요. 2 네거티브 전.. 2012/10/29 1,575
173203 가을 타고 싶은 분들께 음악 하나 올립니다 4 깍뚜기 2012/10/29 1,413
173202 이혼 후의 인생... 궁금합니다. 38 힘든이 2012/10/29 13,317
173201 가족 해외여행.. 추천 부탁드려요..^^ 1 12월성수기.. 2012/10/29 2,051
173200 싱크대 하수구요..거기 곰팡이가 피는것처럼 더러워요..ㅠ 청소어.. 8 궁금!! 2012/10/29 6,141
173199 댓글이 왜 안올라가죠? 댓글 2012/10/29 732
173198 일본 정부 "독도 외교문서 공개 못하겠다" 항.. 2 왜일까요? 2012/10/29 918
173197 벤조피렌 라면 물타기 기사의 전형적인 사례 1 ** 2012/10/29 1,671
173196 자존감이 낮아서 너무 힘듭니다 5 Hkd 2012/10/29 2,580
173195 틈새꽃동산이란 닉네임쓰는 분... 16 -_- 2012/10/29 3,637
173194 메가스터디 쿠폰주실분 계신가요?? 2 로즈마미 2012/10/29 1,206
173193 ‘5공 핵심 비리’ 이순자 땅 28년만에 딸에게 증여 2 샬랄라 2012/10/29 1,484
173192 수원은 살기 어떤가요? 14 궁금이 2012/10/29 7,289
173191 여야의 토빈세 시도가 우려됩니다 ??? 2012/10/29 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