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성인 피아노 진도가 궁금해요. ^^

Cantabile 조회수 : 3,973
작성일 : 2012-10-01 01:29:30

이번 달부터 주2회 피아노 배우거든요.

클래식 배울 거고, 천천히 꾸준히 하려고 해요.
어렸을 때 배운 적 없고요.

베토벤 소나타나 쇼팽 같은 거 배우려면 얼마나 걸릴까요?
빨리 그까지 가고 싶고 그런 건 아니고요.

그냥 궁금해서요. ^^ 
IP : 121.174.xxx.148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흠냐
    '12.10.1 7:33 AM (123.109.xxx.12)

    음...일단 갈길이 멀었으니 천천히 여유있게 가세요
    베토벤소나타나 쇼팽까지 가시려면 아이들도 전공입문 하는 과정이라 시간이 많이 걸려요
    어릴때 전혀 쳐보지 않으셨으면 아이들보다 시간이 더 많이 걸릴거에요
    인내를 가지고 꾸준히...꾸준히가 무엇보다도 중요해요
    아마 머리로는 아는데 손가락이 말을 안들을겁니다 ㅠㅠ 이걸 잘 극복해내시고 힘내세요
    전...참고로 피아노전공 레슨 선생입니다

  • 2. 냠냠
    '12.10.1 8:20 PM (39.117.xxx.112)

    음악성 평균이라치고, 초등1학년부터 시작해서 쉬지않고 5년 이상은 쳐야 베토벤과 쇼팽 소화를 할 수 있어요.
    그전에 모짜르트, 하이든 소나타와 슈베르트 즉흥곡들 당연 거쳐야 하구요.

    성인들이 아이들에 비해 악보는 잘 봐서 한 2년까지는 진도가 빠르지만, 그 이후에는 손가락의 민첩성이 떨어지고, 한곡을 제대로 충분히 연습 못하고 진도에 치중하기에 더 이상 발전못하고, 대부분은 저런 이유로 그만두시더군요.

    피아노를 칠때 사용하는 손의 200개가 넘는 섬세한 소근육들은 어릴때 훈련시켜놓지 않으면, 손이 다 자란뒤에는 이미 다 굳어버려 유연성에 한계가 있어, 그래서 악기, 특히 피아노는 어릴때부터 배워놓아야하는 악기인듯해요.

    암튼, 질문하신대로 답을 드리면 쉬지않고 6년은 이상은 열심히 배워야 원하는 곡들 칠수 있으실거예요.

    베토벤과 쇼팽을 일생의 꿈이라 생각하시고 꾸준히 열심히 하시다보면 언젠간 연주할 날이 올거예요~ 화이팅!!

  • 3. 꾸준히
    '12.10.2 8:59 AM (222.232.xxx.80)

    저는 나이 마흔...
    작년부터 딸 다니는 피아노 학원에 다니고 있어요. ^^ 벌써 1년 6개월 되어 가네요.
    나이들어서 피아노를 배우기 때문에 전공자들 마인드와는 좀 달라요. 열심히 죽어라~ 연습곡 치고 싫어도 지겨워도 연습 연습....이 아니라, 취미로 즐기면서 치기 때문에 음악에 더 감성적인 접근이 가능하달까...
    그래도 본인이 만족하기까지는 열심히 연습해야지요. 어린이들과는 다른게 스킬은 부족하지만 악보를 이해하고 음악을 느끼는 능력은 어른이 더 빨라요.

    물론 베토벤 쇼팽 정말 완성도 있게 잘 치기 위해서는 5~6년 걸리겠지요. 하지만 어린이들과 같은 선상에서 생각 안하셔도 돼요. 저도 어렸을때 바이엘 마치고 피아노 근처에도 가 본적 없었지만, 다시 시작해서 기본부터 스타트... 꾸준히 열심히 해서 지금은 손은 좀 안돌아가서 완성도를 논하긴 웃기지만 베토벤 비창치고 있구요, 저번엔 학원에서 열린 음악회에서 쇼팽 녹턴도 성공적으로(?) 연주했답니다.

    선생님도 참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어린이와 같은 교재 같은 교수법으로 교습하는 곳 말고, 성인 대상으로 많이 가르쳐 보신 분이 좋습니다. 체르니 몇번을 치네 하는 진도 목표보다는 곡 위주로 레파토리를 늘려 나가는 쪽이 금새 질려 중도 포기하는 것보다 낫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원글님이 조바심 내지 않고 꾸준히 열심히 즐기면서 멈추지 않고 연습하는 것입니다. 즐거운 피아노 생활 되세요~ 화이팅!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969 `키 성장제' 소비자피해주의보 발령 샬랄라 2012/10/29 917
172968 피아노 교습비 얼마일까요? 4 대구 수성구.. 2012/10/29 1,959
172967 기간제 교사는 과외할 수 있나요? 5 답답한 엄마.. 2012/10/29 4,113
172966 연애할때 너덜너덜하게 만든 남자 얘기가 어디 있나요??? 1 qq 2012/10/29 3,249
172965 청담동 언북초등학교 어떤가요? 호잇 2012/10/29 7,442
172964 남편이 가엾습니다 2 죽부인 2012/10/29 1,989
172963 남편 발자욱 소리가 거슬린다며 아랫층에서 올라왔어요. 28 이른아침에 2012/10/29 4,111
172962 나비부인-궁금한 점이 있어요. 홍세라???.. 2012/10/29 763
172961 개 훈련에 도움되는 도그 위스퍼러 3 좋은 개 2012/10/29 2,225
172960 대출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1 지혜 2012/10/29 692
172959 청심국제중-부러워요 5 합격한 주변.. 2012/10/29 3,475
172958 강원도 강릉 사투리의 진수/ 우추리 이장님 방송( 중복인가요?).. 1 웃어보아요 2012/10/29 1,335
172957 역사책 추천 좀 해주세요 (아이들용 말구요) 3 레이첼 2012/10/29 825
172956 집에서 며칠동안 간장 달이면 집 엉망될까요? 1 000 2012/10/29 1,036
172955 클래식기타? 통기타? 우크렐레? 뭘 해 볼까요 5 추천좀 2012/10/29 2,173
172954 스킨답서스 좀 살려주세요 2 누가우리집 2012/10/29 989
172953 진중권 vs 간결 토론 핵심 부분 (29분 15초 이후) 프러시안블루.. 2012/10/29 1,081
172952 대형학원-교습소로 방향을 바꾸었는데'- 영어 2012/10/29 1,065
172951 휴대폰 바꿨는데 의무통화란게 있네요... 6 헐.. 2012/10/29 3,618
172950 응가와의 전쟁입니다. 6살 5 전쟁 2012/10/29 1,847
172949 돌솥을 이용하시는 분께 질문드려요 4 돌솥 2012/10/29 1,423
172948 남편이나 남친이 바람피울꺼대비해서 8 화이트스카이.. 2012/10/29 2,658
172947 우리집 강아지 얘기입니다^^ 5 귀여워 2012/10/29 1,518
172946 김성주 난 영계가 좋더라 발언 논란 9 ... 2012/10/29 2,896
172945 여러분도 요즘 살거 많으세요? 4 ... 2012/10/29 1,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