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축과 소비 사이의 갈등

긴 글 조회수 : 2,656
작성일 : 2012-09-28 06:40:55
저는 유럽에 살고 있는데 삼십대 중반 아줌마고 남편 (여기 사람이예요) 과 직장서 만났고 맞벌이 하면서 세후 한국돈으로 천백만원 정도 법니다. 82게시판 보니까 월 수입 천만원이 마치 평균처럼 얘기해서 놀랐어요. 여기서도 이 정도 벌면 웬만한 봉급쟁이들 사이에선꿀린다곤 생각안하거든요. (물론 세금이 높으니까 연봉 자체는 한국보단 높겠지만 세후 수입만 보자면요)

암튼 이게 중요한게 아니구요, 저는 여기서 오래 살았지만 저축에 대한 마음은 참 못 놓겠더라구요. 한 달에 고정적 들어가는 돈이 최소 저축이 오백만원이고 (45%) 집 융자가 이백만원이니 사백만원 남잖아요, 여기서 일년에 한번씩 뭉터기로 들어가는 보험류 여행/비상금 떼어 놓고 양가에 용돈조로 가끔 드리는거1/12하면 백오십만원 그리고 나머지 이백오십만원은 저희 용돈 식비 전기 수도 차 외식비등 자잔한 걸 모두 포함하는 생활비로 써요.

럭셜하게 사는건 절대 아니지만 또 할걸 못하고 살고 그러지도 않아요. 주변 외국에도 (차나 대중교통이 잘 되어있음) 가고 외식도 자주하고 옷 화장품 사는것도 좋아해요. 다만 뭘 사도 꼼꼼 신중해서 낭비를 하진 않아요. 비싼거 보단 품질을 따지고 일단 사면 행복하게 아끼면서 쓰고요 둘다 태생이 평민스러워 럭셔리한것 보다 실리적인걸 더 따지는 성격이예요. 사실 제가 남편보단 좀 더 서민적인 마인드라 큰 집 좋은차 이런거에 대해선 전혀 부러워 하는맘이 없어요. 저걸 누가 청소해 혹은 비싼 차 사서 긁으면 어떡해 뭐 이런 생각에. 참 일 년에 한번 오륙백만원 보너스 같은게 있어서 이 돈도 많이 도움이 되겠네요.

전 항상 어디서 더 줄일까 생각하고 남편은 제가 하는대로 두지만 제가 뭐 살 때 주저하고 두번 생각하는걸 이해를 못하겠데요. 소비 성향을 아니 갖고 싶은거는 그냥 사버리래요. 열심히 일해 쓸려고 번다는 마인드니까요. 하지만 전 그냥 막연히 저축을 많이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생각에 불안해요. 저축을 조금 줄이면 (한 30%정도로) 달달이 지출에 심적으로 여유가 있을텐데 그게 스스로 용납이 안되는거예요. 완전 강박관념이죠..가끔은 답답하기도 하고. 여긴 한국도 아닌데 이럴것 까지 있을까 하다가도 아냐 젊을 때 돈 벌 때 저축해야지 그러고. 그냥 앞으로도 계속 저희 둘일텐데 제가 넘 타이트하게 사는걸까요 아님 그냥 하던대로 열심히 *줄겁게* 저축하는게 좋을까요.

IP : 217.65.xxx.86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적당한 저축률
    '12.9.28 7:32 AM (210.206.xxx.15)

    왜 저축하는지 목적의식이 있으면 별 갈등없을듯 해요.

  • 2. ...
    '12.9.28 7:48 AM (115.126.xxx.16)

    유럽 쪽이시면 노후에 복지도 잘 되어있지 않나요?
    그렇게 모으시는 이유가 궁금하네요.

    저희야 애들 사교육비, 등록금, 시집장가보낼 돈 그리고 노후까지
    암담한 미래가 펼쳐져있어서 죽어라 허리띠 쫄라메지만
    그런거 전혀 없는데 적당히 쓰면서 사세요. 갖고 싶은게 생기면 맘편히 사기도 하시구요.

    금방 늙어요.. 늙으면 하고싶은 것도 없어져요.

  • 3. 날아라얍
    '12.9.28 8:13 AM (112.170.xxx.65)

    앞으로도 두분일 거라면 쓰면서 사세요. 저축에 대한 미련 못 버리겠다면 한 10% 정도만 하시고요.

  • 4. 원글
    '12.9.28 8:13 AM (217.65.xxx.86)

    음..사실은 막연히나마 십년후엔 이 돈 버는 짓(!) 은 그만하고 돈 안 벌어도 되니 걍 아무거나 하고 싶은거 해야지 라는 생각이 막연하게나마 깔려있어서 그 때 까지 현금 십억은 있어야 안 되겠나 하는 생각이죠..

    남편은 여기 사람이니 일 자체를 널널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일 재밌게 하면서 중간중간 니 하고 싶은 일하라고 직장을 꼭 때려 칠 필요가 있냐하고. 그것도 틀린 말은 아니지만 그래도 풀타임 으로 일 하면 그게 또 쉬운건 아니잖아요..네 복지는 좋은편이예요..일단 병원비가 안들고 애들 대학도 무료 (저희는 물론 해당 없지만) 60세 이후 연금도 좀 있곤 한대 이렇게 저축을 해야한다는 강박관념 자체가 현실을 좀 먹는다는 느낌이예요.

  • 5. Gu
    '12.9.28 8:38 AM (112.150.xxx.134)

    아직 결혼은 안 했지만..
    이게 뭔지 알 것 같습니다..

    미혼때두 그러셨죠? 제가 그런데,
    이게 보람있는 일이 많잖아요.

    참은 뒤 오는 어떤 보람, 만족, 든든함 같은 건
    매번 사고싶은 거 소비할 때 느끼는 후련한 느낌과
    또 다른거 같아요

    그리고 푼돈으로 할 수 없는 큰 거 구입하기도 하구요(예를 들자면 집, 차 등등)
    든든함이 크니까 그렇게 살아도
    나름 괜찮을 거 같다고 봐요

    저도 그러는데..ㅠㅠ 가끔 피곤하게 산다는 생각
    들기도 하지만....

  • 6. 복지가..
    '12.9.28 8:40 AM (218.234.xxx.76)

    복지가 잘되어 있는 나라에서는 저축 개념이 잘 없는 거 같기도 해요.
    프랑스 같은 데서 정년 늘린다고 데모했다는 거 보면.. (그러니까 빨리 퇴직하고 연금으로 살면 되는데, 왜 일하는 기간을 늘리느냐 라고 반대.. 우리나라 같으면 일거리 주신다니 감사하다고 할텐데.. 결국 복지가 안되어 있는 나라라 개개인이 다 자기 노후를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그런 듯..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1307 11월초에남해쪽여행가려는데요 1 날수만있다면.. 2012/09/29 1,464
161306 늦었지만,,손연재 이건은 문제있는거 아니었나요? 25 보이지않는손.. 2012/09/29 7,743
161305 대선 후보 외모 5 @@ 2012/09/29 1,729
161304 남편 가방에서 콘돔이 나왔어여. 뭔가요? 49 -.- 2012/09/29 29,742
161303 교회나 성당 다니시는분들 차례 안지내시나요? 11 궁금 2012/09/29 2,950
161302 지금 fm라디오에서 중국이야기 철강 2012/09/29 1,653
161301 시댁과 연 끊겠다는 며느리들.. 착각하지 마세요..ㅎㅎ 63 ... 2012/09/29 58,120
161300 면허따고 무리해서라도 차를 장만해야 할까요? 3 2012/09/29 2,071
161299 오늘 경인고속도로 많이 막힐까요? 2012/09/29 1,804
161298 가족이나 자신을 위해 bb 2012/09/29 1,481
161297 동해시 랑 삼척시 중에...어디가 더 살기 좋은가요? 아놔 2012/09/29 3,660
161296 빵집에서 빵 칼로리 표시보면 1 빵들아 안.. 2012/09/29 2,217
161295 뉴스타파 28회 - 진실이 빠진 보도는 홍보다 1 유채꽃 2012/09/29 2,157
161294 결혼한 친구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사주려는데요. 5 Cantab.. 2012/09/29 2,794
161293 올해도 즐거운 명절~~ 결혼 13년.. 2012/09/29 1,534
161292 동그랑땡 랲 2 따뜻하게 2012/09/29 2,061
161291 안철수와 김택진 누가 대통령깜일까? 34 잔잔한4월에.. 2012/09/29 4,746
161290 객관적으로 볼 때 6 궁금 2012/09/29 1,799
161289 새댁입니다^^친지분들 점심상차림 추천좀 해주세요~ 2 금강아지 2012/09/29 1,945
161288 급)계란 된장 지짐??(표인봉 어머님표) 아세요?? 어제 2012/09/29 2,415
161287 밤 저장법좀 알려주세요. 7 오름 2012/09/29 6,668
161286 카카오톡의 프로필사진을 여러장 넣으려면 어떻게 하는거죠? 3 문의 2012/09/29 15,257
161285 아파트 공동명의의 장단점.....뭔가요? 2 장단점 2012/09/29 4,434
161284 여기 통영 펜션인데 어디로 갈까요? 2 dma 2012/09/29 2,803
161283 제가 갈비찜을 해 놓으면 고기가 딱딱뻑뻑 할까요 ㅠ ㅠ 22 밤비 2012/09/29 16,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