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박정희의 죽여주는 인기!

학수고대 조회수 : 1,461
작성일 : 2012-09-27 16:44:11
[1] '그는 자신에게 엄격했으며 검약하고 정직했다'
▲카터 에커트(美하버드대 한국학연구소장ㆍ역사학자)

-박사께서 최근 박정희 전 대통령에 관한 저서를 집필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별한 동기라도 있으신지요.

“지금 한국에서 문제가 되는 부패가 그 시절부터 본격화 됐는데도 그가 (금전면에서) 매우 자신에 엄격했고 검약했으며 정직했다는 면에서 후임자인 全ㆍ盧씨와 달랐다는 점입니다. 정부와 기업의 돈을 모두 국가의 경제발전에 쏟아 넣었을 뿐 개인의 치부로 악용하지 않았고 이 사실은 지금 그의 유족들의 생활을 통해 입증이 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박정희씨에 대한 노스탤지어(향수)가 고개를 드는 건 바로 이 점 때문으로 봅니다. 한국 국민들이 명확한 권위나 비전, 강력한 리더십이 없는 국가 지도자를 참아내지 못하는 것도 이런 노스탤지어 탓이라고 봅니다.” / 문화일보 1997-11-01

[2] '朴 대통령이 옳았다'
▲키신저(前 美국무장관)

김종필 총리는 (1999년 10월) 21일 오후 키신저 전 미국무장관을 접견한 자리에서 박 전 대통령을 화두로 얘기를 나눴는데 김 총리는 “자유를 좀 누르더라도 경제를 회생시켜야 한다고 봤던 박 대통령의 생각을 어떻게 보느냐”고 질문했었다.

키신저 박사는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이 동시에 이루어지기란 사실상 어려웠다. 러시아가 이 두가지를 동시에 추구하다가 어떤 결과를 초래했는지 다 알고 있지 않은가. 당시 박 대통령의 판단이 옳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대답을 했다. / 국민일보 1999-10-23

[3] '한국의 대단한 인물을 만나보라'
▲허만 칸(美허드슨연구소장)

싱가포르 리콴유(李光耀) 수상은 기개가 높고 자존심 강한 인물이었다. 박 대통령과는 은근한 경쟁의식도 갖고 있었다. 그의 입장에서는 싱가포르가 한국보다 앞선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비교 자체에 거부감을 갖는 듯했다. 우리 외무부가 리콴유 수상을 초청하려 외교 경로를 통해 수차례 시도했지만 번번이 보류되곤 한 데서도 잘 알 수 있었다.

리콴유 수상은 미국의 공공정책과 국제관계를 주로 연구하는 허드슨연구소 소장 허만 칸으로부터 싱가포르의 경제, 사회발전에 관한 많은 의견을 경청하곤 했다.

허만 칸이 리콴유 수상에게 “당신이야말로 한국의 박정희를 만나야 할 것 같다. 내가 보니 대단한 사람이다. 만나면 서로 의기투합할 것”이라고 권했던 것이다. 허만 칸의 권유에 리콴유 수상은 한국 방문을 수락하게 됐다. / 월간조선 1999년 9월호

[4] 박정희 傳記 애독하는 대통령
▲카리모프(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최영하 주 우즈베키스탄 대사는 한국이 우즈벡의 최고 경제파트너라고 말했다.

최 대사는 “우즈벡이 서방세계와 가까워지려고 하나 서방세계가 아직 우즈벡의 권위적인 정치체제 등의 이유로 일정 거리를 두고 있어 한국, 일본으로 눈을 돌렸다”며 “일본보다는 한국이 보다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한국은 우즈벡에 12억달러를 투자한 최대 투자국이다”라고 말했다.

최영하 대사는 “카리모프 대통령이 한국의 경제발전 모델을 중요시하고 있다”며 “특히 박정희 전 대통령의 전기를 많이 읽으며 박정희식 발전 모델을 참고로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영남일보 1999-12-18

[5] '한국의 발전모델 전수해 달라'
▲강택민(중국 국가주석)

황병태 경산대 총장(69)은 우리나라보다 중국에서 훨씬 더 인기있는 인물이다. 1993년 4월부터 95년 12월까지 2대 주중대사를 역임한 그는 7년 세월이 지난 요즘도 중국정부가 안부를 물어오고 환대할 만큼 중국인들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줬다.

장쩌민(江澤民) 주석은 그가 중국에서 이임할 때 전례없이 석별의 정을 읊은 ‘早發白帝城’이란 이백의 시를 친필로 써주며 각별한 정을 표시하기도 했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 (2002년) 7월 22일부터 29일까지 그를 잊지 않고 공식초청해 국빈에 버금가는 환대를 했다.

중국에서 그렇게 인기있는 비결을 물었다.

“아마도 제가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경험한 우리나라 경제개발의 노하우를 아주 성심성의껏 중국측에 전수한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중국은 한국경제의 성공 배경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장쩌민 주석 등 고위관계자들이 주중대사 시절 저만 보면 장관들 토론회나 전인대회에서 한국경제개발의 노하우를 얘기해 달라고 했습니다.”'

중국의 장쩌민 전 주석은 당시 황병태 주중대사에게 새마을운동과 한국의 경제개발5*** 계획 등 한국의 발전모델을 전수해줄 것을 특별히 요청했고, 각 성장(省長)과 인민대표들에게도 황대사의 특별교육을 받도록 지시했다. / 영남일보 2002-08-22

[6] '베트남엔 박정희 같은 영웅이 없어서…'
▲동티모르에서 만난 베트남 언론인

필자(최삼봉ㆍ국제정치 평론가)는 1999년 8월 말, 동티모르 수도 딜리의 UNAMET(유엔동티모르선거지원단) 본부에서 베트남 언론인 A를 만난 적이 있다.

그는 자신이 통일 베트남 전쟁 당시 참전 군인이었다고 운을 뗐다. 나는 잠시 숙연해졌다. 베트남전에는 한국도 군대를 보낸 처지 아닌가. 그는 자신도 한국에서 존경하는 인물이 있다고 말했다. 누구냐고 물으니 뜻밖의 대답이 돌아왔다.

“박정희를 존경한다. 현재 베트남과 한국이 왜 국력 차이가 나는 줄 아는가. 베트남에는 박정희 같은 건설영웅이 없었다. 베트남이 한국보다 못할 이유가 없다. 프랑스와 민족해방투쟁을 벌여 승리했고 세계최강국 미국과도 싸워 이겼다. 그리고 꿈에도 그리던 조국통일까지 이루었다. 그런 베트남이 왜 한국보다 뒤처지는가?”

망치로 머리를 한대 맞은 기분이었다. 베트남전에 참전한 베트남 언론인 입에서 박정희를 존경한다는 말을 듣다니?

“한국이 국산소총, 국산 탱크, 박격포, 미사일을 개발하며 1970년대에 자주국방을 추진한 것이 누구 덕인지 아는가. 박정희 때문이다. 박정희가 베트남에 한국군을 파병하면서 미국에 애걸 반 협박 반으로 얻어낸 것이다. 베트남 처지에서는 그는 침략 군대를 보낸 사람이다. 그러나 그런 건설영웅이 베트남에 있었다면 현재 같은 후진국이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 뉴라이트 2005-07-04

[7] '박정희 리더십과 개발모델 필요'
▲잔라빈 차츠랄트(前몽골 총리)

-박정희 전 대통령이 많은 몽골의 엘리트들에게 자극과 용기를 주고 있다고 들었는데.
“많은 몽골인들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리더십과 개발모델에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나 또한 그렇다.

한국은 박 전 대통령의 지도 아래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고 경제개발의 금자탑을 쌓아올렸다. 발전에 있어서 정치적 안정은 필수적 요건이지만 현재 몽골은 강력한 리더십이 부재한 상태다. 특히 몽골 공무원들의 부패ㆍ부정은 심각하다. 그렇기 때문에 몽골에는 박정희식 모델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헤럴드경제 2005-11-02

[8] '박정희가 없었으면 오늘의 한국은 없다'
▲에즈라 보겔(美하버드대 교수ㆍ사회학)

―한국의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는가?

“특히 중화학공업 정책 이후 그가 폭력을 사용하고 나라를 경찰국가로 만들었을 때 우리는 매우 화가 났고 흥분했었다. 당시 한국은 철저히 통제된 사회였다. 하지만 동시에, 박정희가 없었더라면 오늘날의 한국도 없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큰 발전을 이룩한 아시아의 많은 나라에서 그 변화를 가능케 했던 독재적인 리더가 있었다.

1920년대 일본의 메이지유신(明治維新)이 그랬고, 대만과 한국이 그랬다. 중국은 덩샤오핑 치하에서 발전을 이뤘다. 모두 독재적이었고, 중앙집권적이었다. 먼저 민주화부터 하라는 미국인들의 충고는 성공하지 못했다. 민주적인 정부하에서는 급속한 발전을 이루기 어려울 때가 많다. 독재적인 리더십은 잔혹하지만, 나라를 위해서는 결국 좋은 것으로 결과를 맺을 때가 있다.

박정희는 헌신적이었고, 개인적으로 착복하지 않았으며, 열심히 일했다. 그는 국가에 일신을 바친 리더였다.” (보겔 교수는 과거 한국의 군사정권에 대해 매우 비판적인 입장을 취해온 인물이다.) / 조선일보 2006-11-11

[9] '중국엔 박정희가 없어서…'
▲이광요(前싱가포르 총리)

문화혁명이 끝난 뒤 복권된 덩샤오핑(鄧小平)이 1978년 11월 중국 현대화의 길을 모색하기 위해 해외 벤치마킹을 떠난다. 방문지는 작지만 강한 도시국가 싱가포르. 가진 것이라고는 인민복 한벌 밖에 없었던 당시 중국 지도자들에게 싱가포르의 발전상은 경이로움 그 자체였다.

싱가포르에서 리콴유(李光耀) 총리를 만나 여러가지 조언을 들었던 덩은 리 총리로부터 충격적인 말 한마디를 듣고 마음가짐을 고쳐잡는다.

“중국은 한국의 박정희 같은 지도자가 없어 성공적인 경제모델을 갖추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였다. 충격을 받은 덩은 싱가포르 참관을 마치자마자 한달뒤 바로 개혁개방 노선을 채택한다. / 아시아경제 2009-09-29 ◎[좋아하는 사람들 편집국]

[ 10] '朴 대통령 책 모두 구해달라'
▲푸틴(러시아 대통령)

지난달 초 반기문(潘基文) 유엔 차기 사무총장이 크렘린을 방문했다. 반 차기 총장의 얼굴엔 시종 미소가 끊이질 않는데, 푸틴 대통령 표정은 딱딱했다.

푸틴의 경제 개발방식은 1960~70년대 박정희 전 대통령의 통치 스타일과 유사하다. 실제로 푸틴은 1990년 레닌그라드대(현 상트페테르부르크대) 총장의 국제문제보좌관 시절 이석배 주 카자흐스탄 공사에게 “박 대통령에 관한 책이 있으면 한국어든 다른 언어로 쓰였든 모두 구해달라”고 부탁했다고 한다. 푸틴은 “어찌나 허름한지 사람 사는 집 같지 않은 곳에 살았다”고 어린 시절을 회고한 적이 있다. 그래서 가난을 딛고 국부(國富)를 일궈낸 박 전 대통령이 유독 인상 깊었을지 모른다. / 조선일보 2006-12-11

[11] ''박정희 혁명'이 신분제도 무너뜨렸다'
▲인도 기자 마유르

인도인 기자(記者) 친구가 한 명 있다. 이름은 마유르(Mayur). 인도 최대 경제지인 이코노믹타임스의 기자로 3년째 일하고 있다.

며칠 전이었다. 인도의 서로 다른 카스트 간 결혼(Inter-caste marriage)을 주제로 얘기를 나누게 됐다. 얘기를 하던 중 마유르는 갑자기 박정희 전 대통령 얘기를 꺼냈다. 박 전 대통령이 근대화에 돌입하고 있는 인도 지식층에선 화제인 모양이다.

그는 “박정희는 혁명을 한 사람”이라고 했다. 내가 “박 전 대통령은 군사혁명을 해 독재를 한 지도자란 이미지가 있다”고 설명하자 그는 “그런 의미가 아니다”고 답했다. 그는 “한국에 신분제도가 있었는데 근대화를 성공시킴으로써 단번에 무너뜨린 게 박정희 아니냐. 정주영(현대 창업자)도 그래서 가능했다고 들었다. 인도도 경제 성장을 해내면 절대 무너지지 않을 것 같은 카스트에도 변화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다. 박정희에겐 군사혁명가의 이미지와 함께 한국 사회의 신분제도를 실질적으로 철폐한 혁명가란 해석도 가능한 것 같다. 기존의 관습을 단번에 무너뜨리고 새로운 것을 세우는 것이 혁명의 사전적 의미 아닌가. / 조선일보 2007-01-12 이인열 뉴델리특파원
IP : 211.196.xxx.189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주 발악을 하는구나!!
    '12.9.27 5:15 PM (39.112.xxx.208)

    구역질나는 괴물 박정희!! 악마!!

  • 2. 하하하
    '12.9.27 5:30 PM (112.169.xxx.99)

    '그는 자신에게 엄격했으며 검약하고 정직했다' 라는 첫 문장에 정말로 호탕하게 웃었습니다.
    글쓴이는 역사학자 보다는 역사를 기초로 개그작가로 변신하면 세계최고의 작가가 될거라고 장담합니다.

  • 3. 호호호
    '12.9.27 7:28 PM (218.157.xxx.183)

    구역질 난다 호색가에다 가정 파괴범 조선시대 왕으로 군림한 유신독재 자가 궁정동 아방궁에 맨날 여배우
    . 정말 구역질난다

  • 4. 살다살다
    '12.9.27 7:40 PM (59.28.xxx.191)

    매국노에다 니들 싫어하는 빨갱이에다 살인마에 돈과 권력으로 딸보다 어린애들 유린한
    성범죄자를 ..... 얼마전에 새누리당에서 이런 놈들은 거세 시켜야 된다고 하던데
    그리고 다른 무엇보다 대표적인 악질 독재자로 전세계에 이름을 떨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에서도 찾아볼 수가 없는 독재자라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2385 구미살아요...ㅠ.ㅠ사고이후로 비가온다면 그날은 집안에만 있어야.. 6 영이마암 2012/10/03 3,110
162384 OBS<대뜸토크> 이해찬 대표 사월의눈동자.. 2012/10/03 1,232
162383 40대 아이들 고모가 결혼 하려고 하는데요. 42 행복.. 2012/10/03 15,244
162382 하수오가 필요한데요 어디서 구해야하죠? 9 2012/10/03 2,294
162381 주택연금받으려면(돌아가신아버지명의로 되어잇는집) 1 // 2012/10/03 1,302
162380 얼굴 지방 이식 하면 ...어색하지 않을까요? 11 .... 2012/10/03 3,323
162379 판사가 구속영장을 기각하는 이유가 단지 도주 우려만 없으면 되는.. 2 ... 2012/10/03 1,011
162378 구미 가스 노출사고...소방관 온몸 발진 6 진홍주 2012/10/03 3,389
162377 백화점 매대에서 산남방에 점같은 얼룩 2점이 있는데요~ 1 ^-^ 2012/10/03 982
162376 손가락이 저리는 증상 왜 그렇까요? 3 지현맘 2012/10/03 2,243
162375 kbs방사능바로 보세요 1 녹색 2012/10/03 1,438
162374 좀 다른 명절 후유증 1 이런 2012/10/03 1,237
162373 원로가수 한명숙씨가 나왔는데 돌아가신 엄마 생각이 나네요 1 티비 보다가.. 2012/10/03 1,463
162372 정말 청결한집은 집안이 반질반질하죠?? 13 깨끗하고파 2012/10/03 5,608
162371 gnc 츄어블비타민씨에 솜이 들어있네요..? 6 요상 2012/10/03 2,477
162370 외출용 이쁜 두건 어디서 사나요.. 1 두건 2012/10/03 1,617
162369 아까 댓글 보니까 남자랑 절대 허름하거나 초라한 음식점 가지 말.. 19 ㅇㅂ 2012/10/03 12,997
162368 기독교 이단은 유별나요 3 ㅁㅁㅁㅁ 2012/10/03 1,393
162367 크리노산이라고 여성 세정제인데요 5 어리버리 2012/10/03 23,512
162366 전두환에게 받은 6억 환수해야 3 호박덩쿨 2012/10/03 1,441
162365 멀리서하는 친구결혼식 족저근막염때문에 고민이에요. 6 만두통통 2012/10/03 2,024
162364 갱년기 고통스러워요, 칡즙 좀 구하고 싶어요 17 ///// 2012/10/03 8,084
162363 25년가까이 된 아파트 1층에 사는데 바닥이 따뜻해요 이상타 2012/10/03 2,421
162362 착한남자에 나오는 여자배우들은 다 이쁘네요.. 4 가을밤 2012/10/03 2,897
162361 임신 테스트 2 임신 2012/10/03 1,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