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사는 지내지만 명절 차례 안지내는 집 있을까요?

자유 조회수 : 4,393
작성일 : 2012-09-27 13:33:05

저는 30대 초반이고 결혼 2년차예요.

남편은 위로 누나 두분 계시고 장남이예요.

저희 아버님은 아직도 밤 11시 지켜서 흰 두루마기까지  갖춰입으시고 제사 지내시는 분이랍니다.

일년에 시조부, 시조모님 제사 2번에 명절 차례2번...이게 다예요

제삿날 저희 내외와 시부모님내외, 넷이서 제사 지내고요, 누님(시누이들)들은 잘 안오세요.

여태껏 시누이 온적은 1번(주말 11시에 제사했을때예요)

애들이 다 초등학생으로 어리고 한분은 전업, 한분은 직장 다니세요.

아무래도 아이들이 어린데 평일날 밤에 제사 참석하기 어려울꺼라고 생각해요

저희는 맞벌이고 아직 아이는 없어요.

모두 서울에 살고... 시부모님만 경기도 사세요. (시누이 두분은 자주 만나고 사이 좋아요)

명절날도 당일 오전에 차례 지내고 밥먹고 상치우고 하면..12시 전...

남편과 저는 친정 가고요...(시누이들 얼굴 보고 간적 없어요. 아마 오후 늦게쯤 오신다고 들었어요)

명절이 다가오니 남편과 차례 지내는거 얘기하다가

제 의견을 말했어요.

예전에는 명절날  가족, 친척 끼리 다 모여서 얼굴보고 밥먹고 그런 의미가 있는것 아니냐.

근데 우리는 그럴 친척이 없다.

차례상 차리는건 그냥 관습이다. 필요의 당의성도 모르겠고  명절도 나름 휴가인데, 여자는 스트레스다

차례상 차리느라 장봐오고 전날부터 준비하고 당일날은 차례상 차리고 어디 바람쐬러도 못가고

명절은 일하는 날이라  미리 스트레스 받고 산다.

제사는 돌아가신 부모님의 기일을 챙기는 것이니 당연히 챙겨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차례는 그 의미도 필요성도

못느끼겠으니 우리때가 되면 차례는 안지내고 싶다고 말했어요.

저희는 무교예요.

시댁은 무늬만 불교 정도고요.

제 얘기에 남편이 공감해줬고 그러자고 했어요.

명절날 놀러가자고 하더군요.

근데

제 생각이 너무 앞서가는건가 궁금해요.

혹시 차례 안지내는 집이 있는지요?  (기독교 제외요)  

=================================================================

 

참고로 제 아이가 생기면

명절 차례는 지내지 말라고 할꺼예요

기제사도 (기독교인이 된다면 )추모예배를 해도 되고, 그도 싫다면 성묘 정도도 괜찮다고 할 생각입니다.

IP : 118.32.xxx.211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블루마운틴
    '12.9.27 1:39 PM (211.107.xxx.33)

    친정이 기제사는 지내고 명절 차례는 안지냅니다 몇년전 부터 그리하고있는데 원글님이 제사를 가져오면 그리하겠다는 말씀이죠? 님이 그리 하고 싶으면 그리 하면 됩니다 제사는 주관하는 사람 정성과 마음이니까요

  • 2. 원글님 재량
    '12.9.27 1:43 PM (210.221.xxx.46)

    기제사도 합친들 무슨 상관이겠어요?
    제사 받으셔서 합리적으로 하면되지요

  • 3. 자유
    '12.9.27 1:48 PM (118.32.xxx.211)

    댓글 감사드려요.

    제 생각이 너무 앞선건 아닐까 사실 좀 걱정 됐었는데, 제가 제사를 가져올때가... 10년은 남은것 같으니
    그때되면 또 제사나 차례 풍습이 어느정도 변해 있을꺼라고 생각해요.
    명절 차례는 안 지내는걸로 마음 더 굳힙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630 없는 비밀대화록…KBS·MBC, “해석 엇갈렸다”며 왜곡 1 yjsdm 2012/10/30 1,095
173629 소형가전제품 택배 사고 나보신분 계신가요? 1 아직은 2012/10/30 1,506
173628 수시합격문의요. 8 m.m 2012/10/30 2,803
173627 오일풀링 한번에 레진 떨어짐 4 ㅠㅠ 2012/10/30 9,984
173626 올수리한 티는 몇년 가나요? 3 dma 2012/10/30 2,822
173625 덜익은 쭈꾸미를 먹엇어요 2012/10/30 3,791
173624 온열치료기 미건의료기나 세라젬 같은것 정말 효과있나요? 4 고민.. 2012/10/30 13,425
173623 토익문제 한글버전으로 본다면? 1 토익시험만2.. 2012/10/30 1,464
173622 대기업 생산직및 현장관리직 연봉 많다고 부러워했는데.. 2 // 2012/10/30 5,253
173621 실파 빨리까는 요령이 있을까요...?ㅠ 9 파김치 2012/10/30 2,048
173620 (급질) 돼지갈비찜에 무 넣어도 되나요? 가장 빨리 하는 방법은.. 1 .. 2012/10/30 2,831
173619 기분 우울할때 어떻게 하시나요?? 1 sjy114.. 2012/10/30 1,569
173618 연애가 힘들어지면 직장생활도 힘들어져요 1 ㄴㅁ 2012/10/30 1,648
173617 상하지 않으면서 요기가 될 만한거 추천부탁드려요 3 요기 2012/10/30 1,634
173616 병원 어디를 가봐야 할까요? 2 .. 2012/10/30 1,218
173615 아는분 아드님이 수능 보는데 적절한 선물이 있을까요? 7 수능 2012/10/30 2,211
173614 작은 정부로의 회귀는 불가능할까요? ㅠㅠ 2012/10/30 1,086
173613 수능 앞둔 조카의 합격기원선물로 뭐가 좋을까요? 2 합격 2012/10/30 1,625
173612 ss501 멤버 박정민 11살 연상 연인 폭로 파문. 28 ... 2012/10/30 18,658
173611 중학생 아이들 영어 어떻게 공부하고 있나요? 3 열혈맘 2012/10/30 2,332
173610 투표일이 공휴일인 유일한 나라 9 우리나라 2012/10/30 2,413
173609 요즘 이사비용 얼마나 드나요? 3 궁금 2012/10/30 2,162
173608 서울에 곶감걸이 파는 데 없을까요? 9 큰일났어요 2012/10/30 4,123
173607 팔부분이 레이스로 된 옷 길이수선 될까요? 3 파ㄹㄹ 2012/10/30 1,231
173606 냉동훈제연어 냉장실에 3일 먹어도 되나요..? 1 훈재연어 2012/10/30 1,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