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친정 언제 다녀올까요??

... 조회수 : 1,832
작성일 : 2012-09-25 19:13:48
명절 간소하게 지내는 편이구요...
저 혼자 준비해서 저희 집에서 차례 지냅니다. 시댁식구들이 저희집으로 와요.
성묘 는 그 전에 갔다 오구요...추석날 점심쯤이면 시댁은 다 끝나요. 

친정은 지방인데 안막히면 차로 3시간 거리요. 명절에 막히면 대책없죠.
친정 부모님이 은퇴후 귀향하신거라..제겐 고향은 아니고, 그냥 부모님만 뵙고 오죠.
가면 거의 1박2일인데, 서둘러 왔다가 서둘러 가면 부모님이 섭섭하고 부담스러워 하시더라구요..
부모님이 내려가신지 몇년 안되어서..전에는 명절 당일 저녁에 밥 한끼 먹고 오는 정도였어요...
가까워서 제가 수시로 갈 수 있었거든요...

명절 연휴에..애들은 3일까지 쉬고, 남편은 4일까지 휴가냈어요. (저는 전업)
남편은 1,2,3 삼일동안 어디로 놀러갈까~ 궁리하는 중인데 처가집은 아예 리스트에도 없습니다.
자기 피곤하다고 쉬어야 한다고 연휴 지나고 주말에 토,일 다녀오자는데 
큰애가 중학생이 되니 토요일 아침에 학교에 가고, 일요일 저녁에 학원에 갑니다. 
남편 말은 그 틈새에 다녀오자는 건데요..
가서도 꿔다놓은 보릿자루 처럼 불편한 기색 내면서 방구석에 쳐박히는 남편을 보면 속이 터지죠..

저랑 작은 애만 느긋하게 다녀올까....
아니면 불편하고 가기 싫어하는 기색 내보여도 꿋꿋하게 남편과 큰애 델구 갔다와야 할까 고민이네요.
참고로, 일년에 많아야 세번 갑니다. 길어봐야 2박3일이고 대개는 1박2일이구요.
IP : 112.121.xxx.214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싱그러운바람
    '12.9.25 7:24 PM (121.139.xxx.178)

    젊었을때 같으면
    구박을 해서라도 남편 데리고 가라 했겠지만
    20여년 결혼생활하다보니
    불편해하는 남편 데리고 가느니
    그냥 아이들하고 함께 느긋하게 다녀오시라 하고 싶네요

    참고로 우리언니는
    수도권 시댁에서 차례지내고
    기차나고 당일 점심때 출발해서 3시간 거리 친정에 다니러 옵니다
    하룻밤 자고 담날 올라가는데

    늘 그렇게 해버릇해서
    형부도 당연히 그러려니 합니다,

    부모님 살아생전 친정이니
    다녀올것 있을때 다녀오시지요

  • 2. ....
    '12.9.25 7:36 PM (112.121.xxx.214)

    기차표는 못구했구요...
    그래도 같이 내려가는 쪽으로 희망을 갖고 있으니 선뜻 기차표 예매는 못하겠더라구요...
    저 혼자 평소에는 운전 하는거 어렵지 않은데 명절 막히는 길은 힘들더라구요.
    한번 명절 당일에 혼자 애들델구 내려갔다가 올라오는 길에 엄청 고생했네요...

    친정부모님께 남편 두둔해주기도 지겹고, (뭐 그래도 눈치야 뻔하지만요)
    있는 그대로 말하자니 너무 속상해 하실것 같고...

  • 3. ..
    '12.9.25 7:41 PM (110.14.xxx.164)

    저라면 아이랑 둘이 느긋하게 다녀옵니다...
    치사해서 남편 눈치보기도 싫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409 소비자원 세제비교 발표!! 2 비교 2012/09/26 2,994
160408 더치 페이 이야기에 울컥해서 10 막내며느리 2012/09/26 3,975
160407 이 대통령이 식사자리서 한 말 '일파만파' 8 세우실 2012/09/26 3,619
160406 장거리 시댁갈때 어떻게 입으세요. 7 복장 2012/09/26 2,525
160405 참나!! 2등급(한우) 사태로 뭘해야 하나요??? 12 주부 2012/09/26 10,099
160404 갱년기의 추석 소감 3 골골 2012/09/26 2,640
160403 9월 30일까지 이용 가능한 영화표 3 cgv 2012/09/26 1,681
160402 “천안함 사건 해역서 기뢰폭발” 첫 증언 나왔다 .. 2012/09/26 1,788
160401 명절에 먹을 음식 공유해보아요 5 써비 2012/09/26 2,346
160400 밤에 아이들 텐트에서 자는거 추울까요? 20 10월초 캠.. 2012/09/26 2,889
160399 결국 수서역으로 ktx 정차역이 결정 됐군요. 3 ... 2012/09/26 3,012
160398 어이없어요 1 2012/09/26 1,693
160397 아침대용 두유 어떤거 드세요? 1 ... 2012/09/26 2,602
160396 싸이 맥도날드 진출 2 진홍주 2012/09/26 2,483
160395 살림 알뜰히 못하는것도 한심한거 맞아요. 2 ㄹㅇㄹㄷㅈ 2012/09/26 1,958
160394 드럼세탁기에 액체세제 투입 어떻게 하나요? 4 질문 2012/09/26 7,663
160393 김치냉장고에 보관했던 파프리카랑 양배추가 얼었는데 어떡할까요?... 3 파프리카 2012/09/26 2,489
160392 추석 메뉴들을 만들까 해요... 4 남편을위해 2012/09/26 1,926
160391 명절 음식 및 반찬 추천해주세요 1 .... 2012/09/26 1,390
160390 명절과 제사에 제가 전5가지와 나물5가지를 해가는데 비용을 따로.. 10 내가 너무 .. 2012/09/26 4,163
160389 얼마 전 부부싸움~ 이라는 제목으로 글 올렸습니다.. 13 답답해서 2012/09/26 4,221
160388 딸낳길 원했는데.. 아들도 키워보니까. 32 ㅇㄿㅇㄹㅇ 2012/09/26 4,530
160387 화폐상습진. 겨울이 오네요 5 비타민주사 2012/09/26 2,530
160386 미국 처음 가는데, 도와주세요,, 8 초롱누나 2012/09/26 1,531
160385 13개월 장난감 3 열무 2012/09/26 1,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