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사실 박근혜의 역사관보다 더 위험한게 뭐냐면........

솔직한찌질이 조회수 : 2,618
작성일 : 2012-09-19 23:55:49
이 분은 지도자로서의 '철학' 이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는 겁니다.

어느 나라든, 그 나라의 '대빵' 이 되고자 하는 사람들은 각자 자신만의 철학과 가치관이 있습니다.

그것은 '내가 이 나라의 절대자가 되겠다!' 고 해서 어느날 갑자기 툭~! 하고 생기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이 땅에 태어난 

이래로 여러 경험을 하면서, 그 와중에 성공도 경험하고, 실패도 경험하고, 쓰디쓴 아픔도 맛보고, 극적인 성취감도

맞보고~~~ 이렇게 온갖 것을 다 체험한 끝에 그것들이 자신의 머릿속에서 차곡차곡 쌓이고 쌓여 하나의 아젠다를

이룸으로 인해 생성되는, 그 누구도 가질 수 없는 자신만의 기준이 생기는 것이죠.

이것을 흔히 전문적인 용어로 '철학' 이라고 하는 겁니다. 좀 쉬운 말로 하면 '소신' 이라고도 볼 수 있겠구요.

그래서 우린 어떤 사람을 판단할 때, 그 사람과 대화를 통해서 100프로까진 아니라 할지라도 대충 이 사람이

어떠한 생각과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왔는지를 어림짐작은 해볼 수 있습니다.

(연애에서도 그렇잖아요.)

근데 박근혜씨는 이런 경험이 사실 좀......없다고 봐야겠죠.

뭐 학교생활은 남들과 똑같이 했다고 하더라도, 뭔가 스스로 성취를 해내고, 치열하게 살아본

그러한 것이 없습니다. 

최소한의 인생 과정이 없으니 자기 정체성이 제로에 가깝다는겁니다.

한가지는 있죠. 

아버지에 대한 정치적 복권. (89년 인터뷰에서 이 대목이 분명하게 나와있습니다.)

(개인적으론 박정희 대통령에 대해선 공도 분명하게 있고, 사도 분명하게 있다고 저는 그렇게 봅니다.

 참여정부에서 추진하여 마침내 드디어 결실을 본 세종시, 이걸 최초로 기획한 사람은 바로 박대통령이었습니다.

 79년에 국내외 건축, 도시계획 관련 전문학자들을 총망라하여 국토 균형발전에 대한 계획을 은밀하게 세웠었는데

 그게 바로 '수도이전을 위한 백지계획' 이라는 명목하의 신행정수도 이전이었습니다.

 박근혜가 세종시 수정안 파문 때 끝까지 세종시 시행을 고집한 이유는, 충청권 표심도 있었겠습니다만

 바로 그 계획의 최초 설계자가 자신의 아버지였다는 점도 저는 분명 작용했을 것이라고 추정해봅니다.

 그 외에 부가가치세라던지, 지역별 특성과 개성을 살린 경제발전 계획 등등...

 박정희 정부 시절의 여러 정책들은 어찌보면 보수보단 파격적인 진보쪽에서나 할 수 있을법한 것들이 상당수 있었습니다.)


저는 사실 뭐 결혼을 안해봤으니 뭘 알겠냐~ 는 이런 말은 하지 않겠습니다.

굳이 결혼을 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지도자 역할은 잘할 수 있는 법이니깐요.

그치만 박근혜는 그러한 것이 전무합니다.

물론 의회생활을 경험했기 때문에 정치적인 부분이야 이명박 대통령보단 나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국가지도자로서 반드시 갖춰야 하는 시대정신, 즉 이 시기에 이 정부에서 무엇을 어떻게 계획하고 추진해야 하느냐에

대한 절실한 고민과 깊이있는 연구에서 나오는 의제가 전혀 보이질 않는다는 것입니다.

박근혜의 최근 발언을 보면, 단순히 표심을 잡기 위함에서 나오는 그 때 그 때의 분위기에 맞춘 '일시적인 정책' 들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가령 예를 들어서 생애 주기별 맞춤형 복지.

그런데도 출종제 및 금산분리 강화 부활에는 반대합니다.

아니 복지를 아젠다로 내세우면서 2008년 금융위기를 통해 이미 그 생명력이 다한 신자유주의 정책을 그대로 고수하겠다는 것이

저는 도통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FTA를 추진하겠다면서 경제민주화를 말하는 것 또한 영 앞뒤가 맞지 않습니다.

(그 점에서 문재인 후보는 재재협상은 해야 한다고 말하죠. 최소한 말의 아귀는 틀리지 않습니다.

 폐기는 이미 힘들어진 시점이니깐 그 때의 세계정세 및 경제적 흐름에 따라 FTA에 대해 다시금 생각을 해보아야 한다는

 그러한 메세지는 분명하게 담겨져 있다는 것이죠.)

 5.16 관련 발언도 그렇습니다.

2007년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 때는 구국의 혁명이라고 했다가

2012년엔 최선의 선택, 그러다 여론이 급격하게 악화되자 '정상적인 것은 아니었다.' 라고 계속해서 말을 바꿉니다.

아버지의 공이 있다고 하더라도, 5.16은 명백한 쿠데타입니다.

군인들이 헌법을 짓밟은 것이죠.

유신만 해도 그렇습니다. 이건 완벽한 의회 쿠데타입니다.

세상에 어느 민주국가가 대통령이 국회의원을 직접 임명하는 '유신정우회' 같은 제도를 둡니까?

아버지를 부정하긴 싫고, 그런데 대통령은 해야겠고.....

이러니 자꾸 언발란스가 일어나는 것이죠.

그렇다면 당에서 누군가라도 이런 부분에 대해 박근혜 후보한테 찍힐 각오를 하고라도 옳은 소리를 해야합니다.

근데 다들 후보 눈치만 보면서 슬슬 기고 있죠.

그러다가 인혁당 사건관련 실언이 터지면서 중도층이 야권 쪽으로 확 넘어가 버린겁니다.

우리나라는 1987년 6월 민주항쟁을 통한 6.29 직선제 수용 이후 탄생한 

5년 단임제 대통령 이래로, 5~6퍼센트의 중도층을 흡수하지 않고 '확고한 자신의 지지자' 들만으로 

대통령이 된 인물은 단 한명도 없습니다.

87년 대선만 하더라도 노태우가 '이제는 안정입니다.' 라는 슬로건을 통해 미약하게나마 수도권에서

중도층을 조금이나마 포섭했기 때문에 그 낮은 지지율로도 대통령에 당선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은 말할 것도 없고 이명박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선거 전략에 따른 그 때 그 때의 수정방안은 분명 필요합니다.

하지만, 지도자로서 반드시 갖추고 있어야 하는 자기 정체성만큼은, 표심에 따라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그렇게 해서도 안되는겁니다.

그래가지고서야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등의 열강이 둘러싸고 있는 이 한반도에서 어떻게 외교를 잘해가지고

우리나라를 발전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겠습니까?

역사관도 심각한 문제입니다만 그것보다도 더 심각하게 우려되는건 바로 '無' 그 자체의 박근혜 철학입니다.

이것이, 바로 박근혜가 진짜로 대통령이 되면 참 위험하겠다고 느껴지는 여러 요인중 하나라고 저는 규정짓고 싶네요. 



IP : 27.35.xxx.149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런데 그래서
    '12.9.20 12:01 AM (14.40.xxx.61)

    아직은 측근들이 붙어있는 거 아닐까싶은....

  • 2. 솔직한찌질이
    '12.9.20 12:05 AM (27.35.xxx.149)

    ㄴ 문재인이 그랬죠. '대통령은 시대를 꿰뚫어보는 시각과 국정운영을 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균형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구요. 특히, 관료들의 프레임에 속지 않는 중심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죠. 참여정부도 이정우 정책실장, 정태인 국민경제 비서관 등의 인물들이 청와대에서 나온 이후로는 급격한 신자유주의적 성향의 정책으로 돌아서게 됩니다. 대통령이 아무리 뛰어나다고 한들, 관료들 속에서 둘러쌓여 있으면 그 중심을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겁니다. 그래서 철학은 지도자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필수적인 요건입니다. 근데 박근혜씨는......참 위험하죠 어찌보면.

  • 3. 망탱이쥔장
    '12.9.20 12:19 AM (175.223.xxx.196)

    동감하는 바입니다.

  • 4. 역사관...
    '12.9.20 12:23 AM (119.198.xxx.104)

    어.....그게 뭐지??? 무식한거 , 정말 위험 합니다.
    산소까스 이산화 까스.....

  • 5. ...
    '12.9.20 12:24 AM (112.155.xxx.72)

    순수하게 정권욕만 있는 사람이죠.
    Nothing else!

  • 6. 김어준표현대로
    '12.9.20 12:44 AM (118.38.xxx.51)

    유신공주에게 정치는 제사죠.
    제사는 집에서 혼자 조용히 지낼 것이지.
    동생들이나 불러모아서.

    온국민에게 지내라고 협박하는지.

  • 7. 자기생각이
    '12.9.20 12:59 AM (110.70.xxx.10)

    자기생각이 없는 허수아비 같은 마네킹

  • 8. 저도
    '12.9.20 9:45 AM (125.177.xxx.190)

    이 여자에 대한 평가는 김어준 총수의 판단이 절대 옳다고 봐요.
    이 여자에게 정치란 국가란 제사지내는 것과 같다고.
    이 여자가 대통령이 되고자하는 최우선 이유가
    지 아버지에대한 독재니 쿠데타니 하는 평가를 (자기기준으로) 바로잡고자 하는 것인것 같아요.
    한마디로 역사를 왜곡하겠다는거죠. 정말 생각만해도 무서운 일이네요. 절대 안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1561 11월에 가면 좋은 해외여행지 추천부탁드립니다. 5 똥개 2012/10/08 8,362
161560 스킨푸드 30~40대 쓰기 어떤가요? 14 화장품 2012/10/08 5,420
161559 [드마리스] 지점별로 음식차이가 큰가요?? .. 2012/10/08 811
161558 만추봤어요...현빈 너무 좋아하는데 탕웨이에게 빠졌어요~~~ 14 망탱이쥔장 2012/10/08 4,616
161557 유용한 사이트 몇가지 모음 647 지나킴 2012/10/08 32,509
161556 박근혜 "새판 짜자는 것은 선거 포기하자는 것".. 14 세우실 2012/10/08 2,299
161555 나박김치 동치미 skqk 2012/10/08 707
161554 중3 영어 문법 어떻게 하면 좋죠? 5 그냥 2012/10/08 2,004
161553 클리닉 후에서 (답글주시면 잽싸게 지울께요) 1 반영구 2012/10/08 996
161552 손자랑 즐거운 시간 1 예쁜순이 2012/10/08 782
161551 카톡을 깔려고 하는데 2 궁금 2012/10/08 1,445
161550 밤운전요... 안개 가득한 국도도 조심하세요 ;;;;; 1 진하고 두꺼.. 2012/10/08 1,327
161549 내멋대로 돼지갈비 9 2012/10/08 2,433
161548 등기부등본 열람 이력을 알 수 있나요? 12 ... 2012/10/08 34,373
161547 로이킴 엄마 보셨나요? 54 슈스케4 2012/10/08 39,785
161546 캐나다 자연이 그리 아름답나요? 17 ㅛㅛ 2012/10/08 3,127
161545 전시회에 가져가면 좋을 선물에 뭐가 있을까요? 2 선물 2012/10/08 3,911
161544 다섯손가락 보세요..???? 6 마란 2012/10/08 1,931
161543 왜 남자들은 형제간 사이안좋은걸 여자탓을 할까요 13 .. 2012/10/08 3,414
161542 볕이 전혀 안드는 화장실에 둬도 죽지 않는 식물 있나요? 10 ..... 2012/10/08 3,324
161541 들깨 ..2년여 쯤 된것 먹어도 될까요? 2 ** 2012/10/08 1,172
161540 오지랖에 남들 가슴에 비수 꽂지 마세요 3 ㅇㅇ 2012/10/08 1,816
161539 풍년압력밥솥 종류랑 크기 조언 부탁드려요 6 압력솥초보 2012/10/08 6,349
161538 안대희 "한광옥, 국민통합위원장 임명하면 사퇴할 것&q.. 9 세우실 2012/10/08 1,572
161537 29살인데, 대학졸업후 계속 놀고 있거든요. 얼굴 예쁘면 걱정 .. 70 고민 2012/10/08 18,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