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중진단] 하루 42명꼴 자살…대화가 살린다

인세인 조회수 : 1,164
작성일 : 2012-09-14 17:38:29
http://www.82cook.com/entiz/read.php?bn=15&num=1361268&page=2&searchType=&sea...

이런글을 썼다니

중고딩 숙제급이라고 하셔서~



http://news.kbs.co.kr/society/2012/09/09/2532859.html

흠....

노인이 살기힘들어서 / 돈이 없어서

는 다 

제가 말한 

1번 행복한사회를 만들어야 그게 자살원인이 되지 않는겁니다..

근데 그럴리는 전혀 없어요 수십년안에

그러니 

2번인 정신과 케어 쪽으로 우리는 방향을 잡아야 합니다...

뭐 어떤분이 스탯보여달라길래 그런게 스탯이 있을리가 있나;;

죽은사람 다시 살려서 정신과 치료 시켜고 안죽으면 인정 이런 스탯보시고싶은지는 모르겠지만

네이버에서 잠만 찾아봐도 나옵니다..


---------------------------------------------------------------------------------------

밑에는 일부 펌입니다 딱 나오죠? 제가 한이야기... 저게 학계에서 공통된 의견이에요 

제가 싫은건 이해하는데 전문가 한테도 그래보시죠 아쿠 중학교 과제 수준이라고

정신병원만 전국민이 건강 진단 하듯 다니면 자살률은 반으로 줄겁니다..

그래도 높긴하지만 그거야 제가말한 1번 행복한 사회 안만들면 어쩔 수 없는거구요 

----------------------------------------------------------------------------------------

<앵커 멘트> 

자살 원인의 60-70%는 우울증과 불안증 같은 정신과적 질환이었습니다. 

조기에 발견해 치료만 잘 받으면 자살을 상당수 막을 수도 있단 얘깁니다. 

이어서 이충헌 의학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울증 때문에 한때 심각한 자살충동에 시달렸던 20대 여성입니다.

약물치료와 상담을 받고 지금은 학교에 잘 다닐 정도로 회복됐습니다. 

<인터뷰> 우울증 경험자 : "정말 시도를 했을 수도 있겠다 하는 생각 때문에 아찔하기도 하고, 그때는 왜 그랬을까 후회가."

하지만,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어도 상담이나 치료를 받는 사람은 15%에 불과합니다.

자살을 시도한 뒤 정신과 치료를 받은 사람이 0.4%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정신과에 가면 향후 불이익을 받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과 정신과에 대한 사회적 편견 때문입니다. 

<인터뷰> 최윤미(한국상담심리학회 회장) : ’일반인들이 매우 꺼립니다. 그러나 전문가를 찾아가는 것이 우울증 치료를 위해서 매우 필요한 일입니다. 인식 전환이 필요합니다."

울증은 비교적 치료가 잘 되는 질환입니다.

<인터뷰> 이상혁(분당차병원) : "정신건강의학과 약물과 상담을 통해 꾸준히 치료하면 80% 이상에서 회복되기 때문에 자살 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살의 직접적인 원인 중 경제적 어려움이 절반을 차지하는 만큼 양극화를 줄이는 사회적인 대책도 필요합니다.

고령화와 빈곤층 독신가구 증가 등 자살위험 요인이 갈수록 늘고 있어 소외계층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 확충도 시급합니다.
IP : 49.145.xxx.53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상해
    '12.9.14 5:46 PM (182.218.xxx.169)

    ""자살의 직접적인 원인 중 경제적 어려움이 절반을 차지하는 만큼 양극화를 줄이는 사회적인 대책도 필요합니다.

    고령화와 빈곤층 독신가구 증가 등 자살위험 요인이 갈수록 늘고 있어 소외계층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 확충도 시급합니다.""

    이게 뽀인트임. 사실 저게 가장 큰 문제인데 저걸 말하면 정권이나 사회에 대해
    불만이 생길 거라고 지네들이 판단하고 우울증에 포커스를 맞추는 거임.
    아직도 캐백수 혹은 캐비서 혹은 캐븅신 뉴스 앵커 말을 곧이곧대로 믿으심?
    늘 양극화, 빈곤층, 소외계층에 대한 사회의 책임에 대해서 두루뭉슬 표현한다는 거 못 느꼈음?
    우울증 환자는 자네 말대로 치료하면 되는 문제지만
    경제적인 문제로 인한 건 어떻게 해결해야 됨?
    양극화나 빈곤층, 소외계층에 대해 진지하게 접근하면
    결국 대기업, 정치권, 기득권층에게 화살이 돌아가게 됨.
    그래서 물타기 하는 거임. 알긋나?
    참으로 철딱서니 없는 젊은이인 듯. ㅉㅉ

  • 2. 인세인
    '12.9.14 5:48 PM (49.145.xxx.53)

    반말하는 늙은이분보다는 KBS가 더 믿을만해요 어르신 ㅠㅠ

  • 3. 인세인
    '12.9.14 5:48 PM (49.145.xxx.53)

    아... 참고로 젊은이의 반댓말은 늙은이입니다 어르신 절~대 욕이 아녜요 뭐

    본인이 그렇게 생각하는거야 어쩔수 없고요 어르신^^

  • 4. 인세인
    '12.9.14 5:50 PM (49.145.xxx.53)

    자... 다음 늙은이 님?

  • 5. 인세인
    '12.9.14 5:52 PM (49.145.xxx.53)

    논리가 고작 나이 먹으면 안다로는 남을 설득 못해요 뭐 설득하고 싶은 맘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부럽습니다 늙은이시라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6870 도와 주세요. 못 찾겠어요.ㅜㅜ 2 pebble.. 2012/09/25 1,236
156869 오미자효소 만들기 질문드려요 3 오미자 2012/09/25 2,229
156868 강남스타일이 더 좋은 이유가 4 ^^ 2012/09/25 2,067
156867 김희선씨 실제 성격 어떨거같아요????ㅎㅎㅎ 11 skqldi.. 2012/09/25 5,677
156866 24시간 에어콘 가동한 집 8월 전기세 나왔어요.. 11 .. 2012/09/25 9,830
156865 투표시간 연장 왜 안해주나요?? 3 ㄴㅇㄹㅇ 2012/09/25 935
156864 올케 앞에서 말실수를 해버렸습니다. 84 나루미루 2012/09/25 21,498
156863 추천 좀 해주세요 1 아이크림 2012/09/25 703
156862 명절에 음식해가는거 얼마나? 2 2012/09/25 948
156861 안치환, 이은미, 조관우가 강기훈선배를 위해 뭉쳤습니다. 8 탱자 2012/09/25 2,287
156860 SNL KOREA Ep.3: [여의도 텔레토비 RETURNS] .. 사월의눈동자.. 2012/09/25 1,110
156859 목화솜 이불 어떻게 처리하세요? 1 골치 2012/09/25 1,771
156858 물건이 다른 것이 왔습니다. 1 쿠팡 2012/09/25 1,240
156857 끝물고추... 5 고추 2012/09/25 2,066
156856 뚱보 아줌마 흰 남방에 머플러 두르고 가디건 입고 싶네요 4 체르니 2012/09/25 2,182
156855 한달에 마트 몇번 가시나요? 6 ... 2012/09/25 2,165
156854 필립스 아쿠아트리오 FC7070 청소기 2012/09/25 1,824
156853 다운트애비 볼 수 있는 곳 알려주세요 5 ... 2012/09/25 1,233
156852 둘째 고민.. 2 새옹 2012/09/25 1,112
156851 열일곱 쇼핑몰 사장님 1 여고생 2012/09/25 2,035
156850 다이어트 하시는 분들...체중 며칠에 한 번씩 재세요? 15 다이어터 2012/09/25 3,728
156849 코스트코에서 파는 도마 써보신분 1 do 2012/09/25 1,761
156848 인공수정 및 시험관 질문드려요.. 9 봄날의 북극.. 2012/09/25 6,730
156847 30대 후반, 아담한 체격 가방 골라주세요! 2 ^^ 2012/09/25 1,847
156846 유아이불 4계절용으로 어떤거 사용하세요 6 뚜민맘 2012/09/25 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