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모부 조의금으로 5만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생각할수록 조회수 : 13,701
작성일 : 2012-09-11 13:48:37

3년전 일이지만 가끔 생각하면 정말 기가차네요.

바로 위이모 딸인데요...

외동으로 자라 이십년가까이 앞집뒷집으로 살았죠.

결혼은 동생이 먼저 했고 시집도 괜찮은 곳으로 갔습니다.

 

조문드리러 제부랑 밤늦게 왔다가 가고 엄마가 차기름값 하라고 3만원주자 한사코 뿌리치고 갔습니다.

일 다 마무리되고 엄마가 살짝 저한테 말해서 알게됬죠.

조문와 준것만도 고마와해야할 액수더군요.

24년을 한 형제들처럼(혼자라 어릴때 늘 같이 놀았죠.물론 외동이라 욕심이 많았지만요..) 지냈어요.

이모부랑 큰 정이 없더라도 64세면 정말 빨리 가신거라 저희 슬픔이 엄청 컸었는데 얘는 이웃집 아저씨만큼 생각했을까요?

거기다 작은 사업체를 하는 제부는 직원도 10명이상인데 어찌 와이프가 5만원 하는걸 말리지 않았을까요?

물론 몰랐을 수도 있죠..

저는 어쩌면 이모가 그정도 하라고 시켰을거라고 생각도 되요.워낙 이모가 알뜰하고 손이 작거든요.

가끔 생각하면 기분 참 안좋아요.

 

그래놓고 재작년 호주영주권 딸거라고 영어학원을 1달간 다녀야된다며 엄마집에서 가까우니 신세좀 진다고 왔습니다.

결혼하고 15년만에 오는 이모집에 파리*** 빵 5천원어치 사가지고 와서 그나마 당뇨인 저희 엄마는 못먹으니 지가 다 먹었겠죠.

스터디 해야되서 점심도시락도 싸가야된다하니 엄마가 4주간 도시락도 싸주시고 그렇게 한달 잘 지내고 10만원드리더랍니다.나이 40넘어서 할 짓인가 싶네요.

반면 저희는 딸만 셋입니다.이모네가 시골살아서 가끔 놀러 가면 두자매가 가도 각각 선물 용돈 10만원 식사 대접 2~3회..

며칠전에도 막내가 근처 지나가게 되어 이모만나서 제부가 10만원 드렸답니다.

이모 이모부와의 어릴떄 추억을 생각하면 지금 건강하게 계신거 감사하고 만나면 반갑고 한데 그 집 식구들은 정말 몰라서 그럴까요?

그러면 나중에 저희 세자매는 어떻게 조의할까요? 전 그래도 많이 드리고 싶네요.생각하면 너무 괘씸하지만 그래도 가족같이 살았던 이모 이모부잖아요.

지금은 영주권따서 열심히 호주서 공부하고 애 키우며 살지만 동생아 주변도 좀 살피고 살아라~~

 

IP : 59.20.xxx.177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9.11 1:54 PM (58.29.xxx.8)

    '물질이 있는 곳에 마음이 있다'라는 말이 있지요..
    딱 그 만큼 마음이 있는 겁니다.
    저라면 그 액수만큼 해서 본인을 돌아보게 해주고 싶어요..

    저도 최근에 친부상을 당했는데요~
    친하지는 않지만 저희집에 신세를 졌던 지인이 5사람 데리고 와서 밥 벅고 5만원 내고 갔다고 하네요..
    저랑 동갑인데 최근까지 카톡에 이름이 있었는데 그 소리를 듣고 보니 카톡에서 사라져 있더군요..

    그 말을 듣고 나니 저도 예전처럼 그렇게 웃지는 못할 것 같아요..
    그 사람 마음을 알게 된 것이 감사하죠...

  • 2. 원글
    '12.9.11 1:57 PM (59.20.xxx.177)

    처음으로 겪는 아버지상을 당하시고 참 슬픔이 크셨을겁니다.먼저 위로 드려요~~
    저는 그때 학부모로 만나서 친해진 친구들도 10만원씩 하고 앉아서 진심 위로해주고 했는데 사촌간에 잠시 눈맞추고 간데다 넘 서운했어요

  • 3. 원글
    '12.9.11 1:58 PM (59.20.xxx.177)

    윗님 지인도 참 사는거 허무가게 하시네요.ㅠㅠ

  • 4. 자동차
    '12.9.11 2:23 PM (211.253.xxx.87)

    여기까지만 왕래하시고 더 이상 아는체 마세요.
    인간관계가 주고 받는거지(물질적이 아니라도) 일방적으로 하면 한쪽에서 지치는 건 당연하죠.

    사촌분은 그냥 '너는 딱 오만원밖에 안되는 인간이다'라고 생각하시고
    고민도 하지 마세요.

  • 5. 음..
    '12.9.11 3:00 PM (218.234.xxx.76)

    부부가 5만원하는 집도 있어요.. 우리 사촌언니들.. 저 아버지 돌아가실 때 사촌언니 부부가 5만원했더군요. 언니 둘 다.. 자랄 때 그렇게 서로 뻔질나게 왕래하던 사이였는데...

    (두 분 못살지 않아요. 형부들이 의사, 대기업 간부, 사는 곳도 대표적 부촌. 아무리 남은 모르는 자기만의 속사정이 있다 해도 다른 데서 허리띠 졸라매야지....)

  • 6. 저희는
    '12.9.11 3:36 PM (121.88.xxx.151)

    저희 시어머니가 1999년에 돌아가셨어요.
    며칠전 우연한 기회에 어머니 돌아가셨을때 조의금 적어놓은 공책을 보게 되었어요.

    당시 저희친정형제들 모두 와 주셨고 큰오빠는 조의금을 20만원하셨네요.
    다른 형제들은 10만원씩 해 주셨고 친정조카가 3만원을 했네요.

    시어머니 형제들중 몇 분은 20만원을 하셨는데
    어머니 바로 아래 동생이신 이모님 3만원 하셨어요.
    형편이 그렇게 어려우셨나? 고개가 갸웃거려졌어요.
    이모님 아들 딸들 아무도 오지 않았구요.
    그 이모님 자녀들이 당시 40대,30대 이구요.

    작년에 그 이모님 돌아가셔서 저희 형제들 모두 다녀왔습니다.

    그 이모님이 자식 교육을 잘 못 한거 같다는 생각 지울수 없었지요

  • 7. 원글
    '12.9.11 4:34 PM (59.20.xxx.177)

    어쩌면 결혼식보다 장례식에 더 찾아봐야하고 돈으로 위로가 되진않겠지만 마음인데 참 서운하네요.두고두고 생각날거 같아요.가까운 친척이라도 떨어져 살면 형식적이게 되지만 한가족같이 옆집에서 살았는데도 말이죠.
    저희 남편이 알까봐 참 부끄럽네요.
    얘는 혼자라 나중에 큰일 치르게 될때 혼자 어찌할까 걱정도 하고 그랬는데 미래를 봐서라도 좀 잘하지...

  • 8. 3만원은 어떤가요?
    '12.9.11 5:39 PM (59.28.xxx.218)

    외삼촌 조의금에 3만원한 경찰 공무원도 있습니다.
    제사촌 얘기입니다.
    울아빠..지한테는 외삼촌 돌아가셨는데 딱 3만원~
    평소 행동도 정없고 짜고~ 그런 사람..
    타고났는지..정말 욕나오다구요.

  • 9. mi
    '12.9.11 11:08 PM (121.167.xxx.176)

    공무원들은 원래 적게 하긴해요.
    3만원 직원들끼리 보통해요.
    워낙 챙길 경조사가 많거든요.
    근데 외삼촌 인데 그런건 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7444 점때문에 결혼반대하시는 모친 글쓴이에요... 9 멘붕중 2012/09/26 2,641
157443 주부들이 제일 지지하는게 박그네? 11 2012/09/26 1,755
157442 원적외선 찜질 괜찮나요? 1 건강 2012/09/26 1,371
157441 윤여준 안으려면 차라리 문재인이 낫습니다. 3 제 생각 2012/09/26 1,749
157440 요즘도 집에서 잔치음식들 다 하시나요?? 4 신경쓰여 2012/09/26 2,101
157439 23000원 썼어요~ 16 4인한달부식.. 2012/09/26 3,164
157438 어제 김연아 봤어요!! 7 rooney.. 2012/09/26 4,554
157437 박그네 캠프와 이제 이념적 차이가 거의 없군요 5 뭐지 2012/09/26 1,103
157436 손님초대요리질문이요(원글 내립니다^^;;) 26 여쭈어요 2012/09/26 3,290
157435 급질문입니다. 1 아이허브 2012/09/26 682
157434 분석보니 이번 대선에서 노년층 인구가 5.6%가 증가했다는데 방금YTN분.. 2012/09/26 686
157433 개인사업자 입니다. 궁금한게 있어서요 5 세무.회계 2012/09/26 1,751
157432 가벼운 겨울 이불 어디서 구입하세요? 2 2012/09/26 1,778
157431 CJ lion 라이스데이 비누..일본산인가요? ........ 2012/09/26 1,189
157430 스위스 밀리터리 시계 시계 2012/09/26 874
157429 역사 전공하신 분들요.이덕일VS정병설 어찌보시나요? 4 한국사 2012/09/26 2,798
157428 장사하는데 '목' 이 젤 중요한 건가요? 23 조언 2012/09/26 3,275
157427 연금보험 추천해주세요~ 5 추천부탁이요.. 2012/09/26 1,451
157426 인터넷에서 시골에 계산 할머니 쓰실 못쓰는 유모차를 공짜로 받았.. 6 ㅎㅎ 2012/09/26 1,405
157425 영어 한 문장 좀 봐주세요 2 영어 2012/09/26 698
157424 새누리, `소득하위 20%' 대학등록금 면제 검토 11 세우실 2012/09/26 1,900
157423 보수적인 부모님들~ 0505 2012/09/26 1,263
157422 3D TV사용하시는분들~~~~ 5 부탁 2012/09/26 1,434
157421 고3엄마는 시댁도 안 간다고 한다면 22 그럼 2012/09/26 4,197
157420 남편 과소비.. 소비 성향 바꾸게 하는 법은 없을까요? 15 Ty 2012/09/26 3,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