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무좀약

gnaldo 조회수 : 3,089
작성일 : 2012-09-11 12:06:54

무좀약

무좀은 요즈음으로는 국민병의 하나로까지 말해질 정도로 되었습니다.
통계상에서는 5명에게 1명이 무좀 환자라고 합니다
무좀의 환자수는 정확한 숫자는 알려저 있지 못하지만 실제로는 자각 증상이 없고, 약도 구입하지 않고, 피부과로 진찰을 받지 않은 사람은
포함되지 않으므로, 추정으로 무좀 환자수는 더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즉, 많은 무좀 환자 중 다수는 모르거나 타인에게 털어놓는 일도 없이, 일상의 생활을 하는 사람도 많이 있기 때문 입니다
무좀이라고 하면 예전에는 중년 남성에게 많은 병이었지만,지금에 와서는 여성, 특히 여고생 등 젊은 여성에게도 증가하고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남여노소 사회활동이 활발해져 밖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져 무좀이 번성할 환경이 많아진 결과 입니다
무좀의 치료는 통상은 환부의 각질층을 조금 떼어내, 그것을 현미경을 통하여,균이 있는지를 조사합니다.
균의 부착을 조사하는 것으로, 다른 병인가를 알 수 있습니다.
약국에 많이 있는 외용약은 바르는 약이 많이 있지만, 피부과에서는 증상에 따라서는 내복약도 처방됩니다.
그러나, 이 내복약은 신체에 부담을 주는 것은 아시는 바입니다.
내복약의 제일의 문제점은, 일부의 허약한 사람을 제외해 버리는 것 입니다.
무좀 치료의 약은 살균을 목적으로 한 것입니다만,바르는 약만으로는 잘 침투하지 못하는 장소에 균이 생식 하고 있는 경우는 내복약 쪽이 적합합니다.
예를 들면 발톱무좀은, 치료에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손톱/발톱이 딱딱해서 중심에까지, 약이 침투 해 가지 못하는 것이 일반의 상식입니다.
손발톱 무좀의 경우 경구복용약을 대부분 사용하게 되는데 손톱이 다자라는데까지 6~9개월, 발톱은 약 12개월이 지나야 하기때문에 장기간 약물복용이 필요합니다.
그러니까, 전용의 약을 참을성있게 계속해서 수개월에 걸쳐서 복용하여 손.발톱의 끝에 약이 널리 퍼지게 하여 치료를 한다고 하는 방법입니다.
먹는 무좀치료제 성분들 중에는 간 기능이나 심부전의 약화가 있을수 있기때문에 간질환이나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 임산부의 경우 꼭 의사와 상담후 복용해야하며 필요한경우 간기능 검사를 실시해야합니다.
다른 약과 병용 하는 사람은 검사 결과, 또는 경과 상태에 의해서 대부분, 내복약은 사용할 수 없는 케이스가 있습니다. 고령자분들은 특히 그렇습니다.
그 중에서도 간장 기능에 장해를 가지는 사람은 우선, 복용할 수 없습니다
약의 복용이 신체에 나쁜 결과가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요즘은 좋은 약들이 있어 간기능 장해가 있는 사람이라도 괜찮습니다.
다른 약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이라도 OK입니다.
중증의 무좀환자라면 전문가의 상담을 먼져 받고 치료하는게 완치의 지름길 입니다

더 많은 무좀 정보 보기
http://meemo.co.kr

무좀 지식인
-.무좀약추천 부탁드려요!
-.발톱무좀약좀추천해주세요
-.효과 좋은 무좀약 추천~~~
-.발에 좋은 무좀약~! 추천해주세요~!
-.태국에서 파는 무좀약 추천좀...
-.태국무좀약 이름이 모죠??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먹는 무좀약 추천좀!!...
-.군인남친이 사용할 무좀약 어떤것이좋을까요?????
-.태국무좀약 효과 좋을까요!?

IP : 218.154.xxx.148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7445 안철수 글씨체 너무 웃겨요 ㅋㅋㅋㅋㅋㅋㅋㅋ 3 뭉웅 2012/09/26 3,918
    157444 점때문에 결혼반대하시는 모친 글쓴이에요... 9 멘붕중 2012/09/26 2,641
    157443 주부들이 제일 지지하는게 박그네? 11 2012/09/26 1,755
    157442 원적외선 찜질 괜찮나요? 1 건강 2012/09/26 1,371
    157441 윤여준 안으려면 차라리 문재인이 낫습니다. 3 제 생각 2012/09/26 1,749
    157440 요즘도 집에서 잔치음식들 다 하시나요?? 4 신경쓰여 2012/09/26 2,101
    157439 23000원 썼어요~ 16 4인한달부식.. 2012/09/26 3,164
    157438 어제 김연아 봤어요!! 7 rooney.. 2012/09/26 4,554
    157437 박그네 캠프와 이제 이념적 차이가 거의 없군요 5 뭐지 2012/09/26 1,103
    157436 손님초대요리질문이요(원글 내립니다^^;;) 26 여쭈어요 2012/09/26 3,290
    157435 급질문입니다. 1 아이허브 2012/09/26 682
    157434 분석보니 이번 대선에서 노년층 인구가 5.6%가 증가했다는데 방금YTN분.. 2012/09/26 686
    157433 개인사업자 입니다. 궁금한게 있어서요 5 세무.회계 2012/09/26 1,751
    157432 가벼운 겨울 이불 어디서 구입하세요? 2 2012/09/26 1,778
    157431 CJ lion 라이스데이 비누..일본산인가요? ........ 2012/09/26 1,189
    157430 스위스 밀리터리 시계 시계 2012/09/26 874
    157429 역사 전공하신 분들요.이덕일VS정병설 어찌보시나요? 4 한국사 2012/09/26 2,798
    157428 장사하는데 '목' 이 젤 중요한 건가요? 23 조언 2012/09/26 3,275
    157427 연금보험 추천해주세요~ 5 추천부탁이요.. 2012/09/26 1,451
    157426 인터넷에서 시골에 계산 할머니 쓰실 못쓰는 유모차를 공짜로 받았.. 6 ㅎㅎ 2012/09/26 1,405
    157425 영어 한 문장 좀 봐주세요 2 영어 2012/09/26 698
    157424 새누리, `소득하위 20%' 대학등록금 면제 검토 11 세우실 2012/09/26 1,900
    157423 보수적인 부모님들~ 0505 2012/09/26 1,263
    157422 3D TV사용하시는분들~~~~ 5 부탁 2012/09/26 1,434
    157421 고3엄마는 시댁도 안 간다고 한다면 22 그럼 2012/09/26 4,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