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시 우선선발과 일반전형

고2 조회수 : 2,606
작성일 : 2012-09-06 17:05:45
수시 논술전형에서 우선과 일반이 있는데.. 우선선발과 일반전형을 따로 지원하는 것인가요? 아님  우선선발 기준으로 몇 %뽑고  자동으로 일반전형으로 지원되는 것인가요? 또 궁금한 것은 원하는 학과가 적은 인원 수를 모집할 경우 많은 학생수를 뽑는 과를 지원하는 것이 현명할까요?? 경쟁율은 비슷하지만요..
IP : 125.177.xxx.26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고2맘
    '12.9.6 5:13 PM (222.107.xxx.29)

    우선선발과 일반선발은 학교측에서 선택하는것이지 학생이 구별하여 지원할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수시로 지원했을적에 학교에서 꼭 뽑고 싶은 아이는 우선으로 뽑습니다.
    그리고 많은 학생수를 뽑는과가 꼭 유리 한것 만은 아니니 원하는 과로 지원하세요.^^

  • 2. 아그네스
    '12.9.6 5:14 PM (221.148.xxx.141)

    수시논술전형의 우선선발과 일반전형은 후자가 맞습니다.
    한번만 지원하고
    우선선발 기준에 맞는 학생을 먼저 선발한 후
    나머지 지원자들은 일반전형을 기준으로 선발하는 것입니다.

  • 3. ..
    '12.9.6 5:16 PM (110.13.xxx.111)

    논술전형 우선선발은 수능 최저등급 기준이 있어요.
    대체로 상위권 대학은 문과 언수외 1등급, 이과는 수,탐 1등급이 그 대상이구요.
    그 외 일반전형 기준도 따로 있구요.
    일단 원서를 넣고 수능성적이 나오면 저 기준을 통과하면 우선이나 일반 대상이 되는거에요.

  • 4. 고2
    '12.9.6 5:20 PM (125.177.xxx.26)

    답변에 감사합니다. 전형공부가 끝이 없네요.

  • 5. 자,,
    '12.9.6 6:16 PM (14.52.xxx.59)

    100명을 뽑는 과가 있다면
    우선선발을 70%라고 놓고 보세요
    우선선발이 70명 ,일반선발이 30명입니다
    우선선발의 기준은 수능 최저등급...연대의 경우 111이지요
    그 111을 못 맞추면 일반선발로 넘어가 버려요
    그 경우는 최저 2등급이 2개 있으면 되는 선입니다
    문제는 이럴경우 경쟁률이 어마어마해 지는거죠
    그러니 논술이 로또라는 말이 나오는거구요
    우선선발로 가면 수능이 중요하다는 말이 나오는겁니다
    일반적으로 40-50:1 경쟁률 나오지만 우선선발은 10:1이 안되는걸로 최종집계 됩니다

  • 6. **
    '12.9.6 6:23 PM (110.35.xxx.121) - 삭제된댓글

    근데 가끔 착각하는 게 있는데요
    우선선발에서 적정인원을 뽑고나면 일반선발로 넘어가는 건 맞는데
    우선선발 대상이었지만 우선선발되지못한 애들하고 다시 섞여서 일반선발이 되는거예요
    그러니까 일반선발대상, 즉 수능최저등급을 겨우 맞춘 상태라면
    정말 논술을 잘해야 하는거죠
    가끔 우선선발대상에서 몇 퍼센트 뽑고 일반선발대상되는 애들에서 몇 퍼센트 뽑고..
    이렇게 알고 있는 분들도 있더라구요

  • 7. 반수생맘
    '12.9.9 12:03 AM (220.86.xxx.221)

    결국 논술 전형에선 일반 선발 최저 등급이 중요한게 아니고 우선 선발 최저 등급이 중요해요. 반수생 아들 오늘 수시접수 마무리하면서 우선 선발 최저등급 염두에 두고 지원했어요. 작년에 수시, 정시 겪어보니 차라리 정시가 더 편하게 느껴지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9109 안철수 '이놈의 인기는' 4 기사제목 2012/09/24 2,769
159108 세수후 화장품어떤순서로 바르세요? 5 ... 2012/09/24 1,980
159107 3년을 기다려도 어린이집 보낼수가 없네요. 6 ㅇㄹㅇㄹㅇ 2012/09/24 2,550
159106 저금통을 깼는데요.. 4 동전분류 2012/09/24 1,687
159105 세 쌍둥이 키우기 3 ㄷㄷ해 2012/09/24 2,565
159104 여름이 무지 더우면 겨울도 무지 추울까요? 5 졸려 2012/09/24 2,345
159103 무상보육은 폐지지만 양육 보조금을 준다잖아요 5 이론 2012/09/24 2,759
159102 정말 비열한 쓰레기네요. 10 가수더원 2012/09/24 6,473
159101 영어 입니까. 수학 입니까. 15 .. 2012/09/24 3,767
159100 무상급식도 재정 파탄위깁니다 19 무상 2012/09/24 3,244
159099 어린이집 선생님께 선물 드리면 이기적인 엄마인가요. 22 혼란 2012/09/24 4,451
159098 분당에 있는 양영디지털고등학교 어떤가요? 3 중3 엄마 2012/09/24 3,937
159097 26개월 어린이집 고민입니다. 알려주세요. 4 고민 중 2012/09/24 2,017
159096 원글 내립니다 27 ... 2012/09/24 3,330
159095 부산에서 내팽개쳐지는 ㅂㄱㅎ 3 .. 2012/09/24 3,314
159094 초딩 사회, 과학 시험공부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6 3학년 2012/09/24 2,137
159093 3세 아이가 사용할 네뷸라이저 추천해주셔요. 궁금이 2012/09/24 1,678
159092 나얼의 이별시작 너무 좋으네요 ^^ 옐로서브마린.. 2012/09/24 1,896
159091 7살 딸 한복 다시 사줄까요?말까요?^^;; 10 살까말까 2012/09/24 1,958
159090 [생]문재인의 동행_타운홀미팅 [문재인TV] 1 사월의눈동자.. 2012/09/24 1,701
159089 초등학교... 서울에서 다니는게 나을까요? 6 아.. 2012/09/24 1,945
159088 양송이 조림 방법 좀 부탁해요 2 잘하는게없네.. 2012/09/24 1,920
159087 시어버터의 계절이 왔어요~ 6 크랜베리 2012/09/24 2,987
159086 집에 어른이 아프신 경우 행사 다 그냥 지나가나요?......... 5 직장맘 2012/09/24 2,144
159085 문재인 시민과의 정책토론 생중계 합니다.. 고고싱 4 문안드림 2012/09/24 1,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