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학교를 서른살 이후에 다니게 했음 좋겠어요

어리석음 조회수 : 2,707
작성일 : 2012-08-20 00:36:53

그럼 서른살 전의 삶은 어떻게 할래? 하고 물으면 그건 구체적으로 생각해본적 없어서 잘 모르겠구요

그냥 누워있다 심심하게 든 생각이니 논리가 빈약하다, 말도 안된다..하며 나무라지 마시고 아줌마가 혼자 상상의 나래를 펼쳤구나...하고 생각해주심 좋겠어요

솔직히 화장 안해도 너무 예쁘고 젊은거 아니 어리다는거 그 하나만으로도 얼마나 이쁜지 교복입고 다니는 중고등학생들중에 아는 애가 몇이나 있을까요?

서른 넘으니 젊은게 저리 이쁜거구나, 어린게 저렇게 파릇파릇한거구나 라는걸 알게 된 저로서는 내가 세상 이치를 너무 늦게 깨달았구나 싶기도 하고 또 그 좋은 시절을 대충 보낸것에 대한 후회도 되구요

 

지금은 마흔 넘어서 애들 둘 키우고 있지만 중학생 저희 아이한테 니가 얼마나 좋은 나이인지, 지금 공부하고 있는 네가 얼마나 이쁜지, 성적이 안 좋게 나와도 이쁘고 성적이 좋게 나오면 더 이쁘고...아무리 설명해도 알아듣지 못하고 ...

그저 열심히 네게 주어진 일 하면 눈 앞에 로또가 나타나진 않아도 언젠가 기회가 왔을때 다른 사람보다 먼저 알아보는 혜안이 생긴다고 귀에 못이 박히게 얘기해준들 도통 못 알아듣고...저희 아이만 이럴까요...?

하긴 저도 그 나이엔 대체 내가 이 알아먹지도 못하는 책을 왜 붙들고 앉아서 엄마 눈치를 봐야하는지 알지를 못했으니 저희 아이가 못 알아먹는것도 당연하겠지요...

서른 넘으니 하고 싶은 공부도 생기고 정말 누가 입혀줘, 먹여줘, 재워주면 엉덩이에 피가 나도록 열심히 할텐데 시간에 쫓기고 체력이 딸려서 못하네요

열정은 먹은 나이만큼 있는데 말이죠

 

그냥 10대 20대때는 열심히 놀게하고 서른 넘어서 학교 다니라고 하면 열심히 할거 같아요

저만 그런가요?

 

IP : 119.196.xxx.153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8.20 12:41 AM (112.148.xxx.220)

    음..

    저도 그런 생각 많이해요.

    영국애들 보니까 고등학교 졸업하고 1년 정도 안식년을 가지더라구요. 말 그대로 아무것도 하지 않고 대학에 진학하기 전에 이것 저것 다 해보면서 본인이 뭘 좋아하는지 뭘 잘하는지 본인이 어떤 사람인지 진지하게 알아본 후에 대학 지원하라는 거죠.

    저도 개인적으로 대학 졸업하고 사회생활이나 해외 자원봉사나 뭔가 의미 있는 일을 한 후에 서른은 조금 늦을 것 같고 20대 중반 정도에 대학에 입학하는게 보편화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 많이 해요. 특히 스물 다섯이 인간의 뇌가 완성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학문을 하거나 진로를 택하는 데 있어서 좀 더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안목도 갖춰지구요. 등록금 문제도 자가로 돈을 벌어 할 수 있으니 자동으로 해결되죠. 맞지 않는 학과에 가서 낭비되는 사회적 비용도 많이 줄어들 거구요.

    저도 동감합니다.

  • 2. 에반젤린
    '12.8.20 12:42 AM (110.8.xxx.71)

    그럼 다들 공부의 소중함을 알고 박터지게 해서 평균점수가 엄청 올라갈까요?
    ㅋㅋ 생각하니 웃겨요.

  • 3. ㄹㄹ
    '12.8.20 12:43 AM (218.52.xxx.33)

    서른살 이후에 다니게 한다는게 그 나이 되면 시야도 좀 넓어지고 자기 삶의 방향도 세우고 해서
    교육이 더 효과적일까~ 싶어서 그러시는거라면~
    엄마들이 스물아홉까지 고등학생 뒷바라지 하게 만들어서 서로 지치는 것보다
    차라리 열너댓살부터 직업 교육도 하고, 사회를 겪어볼 기회를 줘서 자기 앞길을 정하게 했으면 좋겠어요.
    직업 전선에 뛰어들든지 공부를 더 해서 학구열을 불태우든지 사회 전반적으로 개인의 선택에 뭐라고 하지 않는 분위기였으면 좋겠고요.
    학생 뒷바라지는 십대까지만 하는걸로 !
    아이 낳고보니 진로 선택하기에는 내 인생은 어차피 좀 흘러갔고,
    아이 인생이 .. 그 아이를 뒷바라지 할 제 인생이 더 묵직하게 느껴져요.
    아직 안해본 학부모 역할이 무섭습니다.

  • 4. 음냐
    '12.8.20 12:47 AM (1.224.xxx.77)

    저는 요즘 인생에 대해 생각되는 것이.. 어찌.. 지금 세대는.. 보통 100세 산다고 하잖아요.. 그런데.. 대학은 20살에 가고.. 직장은 20대 중후반에 가고.. 젊음은 20대고.. 물론 요즘 30대도 젊고 예쁘지만.. 그거는 사실 20대의 풋풋함에서 오는 것은 아니지요.. 노력하고.. 자신감?? 사회적 위치에서 오는?? 게다가 직장은 왜 40대 중반 넘어가면 간당간당하고..
    왜 젊음은 20대 잠깐인지.. 100세 까지 살면.. 한 40~60세쯤 와야 하는거 아닌가요???
    혼자 신은 불공평하다고 우기고 있네요..

  • 5. ...
    '12.8.20 1:07 AM (119.201.xxx.154)

    부러운가요?저는 학생때보다 마흔인 지금 인생이 더 편한데요..미래를 위해서 열공해야한다며 콩나물 시루 교실에 갖혀서 공부하는거...그래놓고 니들이 젤 좋을때다 하는거...좋긴 뭐가 좋아요..저는 고등학교시절로 다시는 돌아가고 싶지 않아요..대학다니면서도 막 고3으로 다시 돌아가서 입시준비하는 악몽을 꿨다니까요..악몽에서 내가 들어간 대학에 다시 들어가려고 셤 쳤는데 막 떨어지는 꿈..--;;
    차라리 대학시절이나 졸업후 미혼 시절은 나름 괜찮았지만요..
    공부 안해도 못해도 이쁘다는 부모 몇이나 될까요...못하면 못하는대로 미래에 대한 불안감에 즐거울 수가 없을텐데.

  • 6. 슈나언니
    '12.8.20 1:11 AM (113.10.xxx.126)

    ㅎㅎㅎㅎ 저도 그런 생각 한적 있었어요.

  • 7. 다른건 몰라도
    '12.8.20 1:53 AM (175.210.xxx.243)

    진로에 대한 결정은 10대때보단 더 현명하고 명확하게 할수 있을것 같아요.
    그럼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지금보단 더 적게 후회하면서 자기가 하고 싶은일을 즐기며 살고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드네요

  • 8. 아쌈티라떼
    '12.8.20 3:54 AM (27.35.xxx.154)

    원글님은 그냥 넋두리 하신것뿐인데 조금 안타까워서 몇자 조금 다른 방향으로 적어봅니다. 솔직히 나이와는 그다지 관련이 없는 문제인것 같아요. 사실 전 1,20대를 치열하게 보냈던 사람이고, (제가 하고싶고 고민해왔던 것들은 노력해서 이룬 케이스입니다.) 그래서 지금 30대중반을 향해가는 나이에 또 새로운 도전을 준비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소위 남들이 부러워하는 전문직에 종사하고 있지만, 제 전문직분야에서 오랜시간이 걸리지만 제가 하고싶은것이 있어 지금 나이에 다시시작합니다.) 지난 시절을 돌아보면, 어려서 그시절의 중요함을 알고 모르고가 아닌 꼭 이루고 싶은, 또한 하고 싶은 꿈이 있었냐가 관건이었던것 같습니다. 바로윗님이 쓰신 리플처럼 어린 10대에도 치열하게 사는 아이들이 있고 없고 나눠지니까요. 가장 중요한건 동기부여 인것 같습니다. 미래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조장하는것보다는 진정 아이가 원하는 길을 선택할수있도록 자극을 주는 방법을 택해야겠지요. 어린시절 제부모님은 과거도 미래도 아닌 지금 현재에서 제가 하고싶은걸 찾을수있도록 도와주셨습니다. 보통의 많은 부모님들은 최소 5년후 10년후에 다가올 미래에 대한 얘기로 자극을 주려고 하지만 지금 현재 공부하기싫고 놀고싶은 아이들에겐 그런 얘긴 들리지않습니다. 마치 군대에 있는 군인에게 2년후의 일을 얘기하는것처럼 말이죠. (참고로 저 여자입니다 ^^;) 아이의 현재삶에서 하고싶은것과 하기싫은것을 잘 조화할수있도록 도와주세요.

  • 9. ㅋㅋㅋ
    '12.8.20 7:24 AM (75.92.xxx.228)

    공부 열심히 하실 껏 같죠? 근데 안그래요~~ 저는 서른 넘어 공부하러 온 유학생 수두룩 빽빽하게 봤는데,
    다 예전에 공부하던 만큼만 합니다. 오히려 나이 어린 애들이 더 열심히 한다눈... 아무래도 세상경험이 있으니까, 이런 저런 학교 생활내에서의 처세술 같은 건 훨 낫던데, 그만큼 또 요리조리 일 피하는 게 수준급인 사람도 있었고, 나이 어린 동급생 막 부려먹는 사람도 많았고, 나이드니 머리가 잘 안돌아간다는 둥 자기합리화 쩌는 사람들도 많았고 그랬어요.

  • 10. 아뇨.
    '12.8.20 9:28 AM (119.201.xxx.55)

    공부는 어릴때 멋모르고 하는거라고 생각해요
    30대는 잡념도 너무 많고 앞으로의 미래에 대한 걱정,,그외 이미 사회물 들고 여러 매체들 접하고 나면
    오히려 공부하는데 방해된다고 생각합니다...

  • 11. 아뇨..
    '12.8.20 9:43 AM (122.153.xxx.162)

    공부는 어릴때 멋모르고 하는거라고 생각해요222222222

    10대야 말로 머리속에 뭐가 닥치는대로 입력되는 시기 맞아요.... 길게 쓰기 좀 그래서 생략하는데...
    저도 그런 공상 가끔 해보는데....정답은 공부는 어릴때 한다...그리고 그 공부를 바탕으로 성인이 되어서 다듬어 간다 가 맞는거 같아요.

  • 12. 원글님 말에 동감
    '12.8.20 2:00 PM (211.224.xxx.193)

    저도 외국의 어느나라처럼 학창시절 일년여간의 휴지기간을 준 후 자기 장래를 선택해 직업교육만 받을건지 대학공부까지 깊게 할건지 정하는거 우리나라도 받아 들였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제일 중요한건 획일적으로 몇살엔 대학을 가고 또 졸업하고 취직하고 결혼하고 이런 스타일 말고 좀 프리한걸 받아 들이는 사회였으면 좋겠어요.
    공부안하고 직장생활하다 아 난 이런걸 하고 싶다 뭐가 간절히 되고 싶다 그런걸 목표삶아 다시 공부해 대학가고 취직하고 그런게 가능한 사회였으면 좋겠어요. 울나라는 공부는 가능할지 몰라도 걸 이용해 취직하기가 쉽지가 않죠. 나이때문에 걸려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7578 나꼼수 호외 도올샘...다운말고,,바로 클릭해서 듣고싶어요. 3 dd 2012/09/03 1,378
147577 오뚜기 면사랑 쫄면 양념장이요 3 쫄면 2012/09/03 2,809
147576 사레걸리고 코와 귀가 맵대요 어쩔까요 2012/09/03 613
147575 용인수지 신봉동 아파트 문의드릴께요.;. 3 2012/09/03 3,799
147574 제 키가 162고 몸무게가 53킬로인데요..왜이렇게 뚱뚱해 보이.. 22 ,,,, 2012/09/03 11,672
147573 스텝업4,토탈리콜,링컨 중에서... 5 추천해주세요.. 2012/09/03 1,080
147572 막귀 2 촌닭 2012/09/03 822
147571 대기업사원 승진시 부모의 직업도 볼까요? 11 대기업 2012/09/03 3,054
147570 남편이랑 싸우면 전 이것저것 막 사게 되요... 2 이봐! 2012/09/03 1,689
147569 시어머니가 사용하실 통장을 남편 명의로.. 10 통장명의 2012/09/03 3,057
147568 헤라 화장품 보통 어디서 사는게 싸나요? 2 질문 2012/09/03 2,457
147567 모바일투표 신청했어요 ㅋㅋㅋ 13 누구땜시 2012/09/03 1,756
147566 대전 둔산 아파트 추천해주세요 15 대전 2012/09/03 4,324
147565 봉사활동 시작...어떻게들 하셨어요? 5 봉사활동 2012/09/03 1,771
147564 아들 육아서 추천 좀 해주세요 7 아들엄마 2012/09/03 1,788
147563 [축하해주세요] 드디어 학자금 대출금 상환 완료입니다 5 ........ 2012/09/03 1,657
147562 전체관람가영화중 감명 깊은 영화좀 추천해주세요 15 영화 2012/09/03 4,732
147561 뇌수막염 결석처리 3 아이 2012/09/03 2,274
147560 유산균 캡슐..이거 꾸준히 먹어도 될까요? 2 ,,, 2012/09/03 5,684
147559 변비에 좋다길래 6 달팽이 2012/09/03 1,750
147558 대문 등골 오싹글읽고 저도 소름끼쳤던 경험 14 ㅇㅇ 2012/09/03 5,902
147557 내일 벼세우기하러가는데..ㅜㅜ 1 ?? 2012/09/03 994
147556 포도잼? 딸기잼? 어떤게 더 몸에 좋을까요? 1 iconoc.. 2012/09/03 1,371
147555 길거리에 부쩍 이상한사람들 2 ㅁㅁㅁ 2012/09/03 1,897
147554 성형외과 아무데나 가서 보톡스 맞아도 될까요? 2 압구정 2012/09/03 1,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