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위험수위 넘어선 '깡통전세' 피하려면?

참고하세요 조회수 : 2,149
작성일 : 2012-08-18 11:32:19
위험수위 넘어선 '깡통전세' 피하려면?

http://enews.mt.co.kr/2012/08/2012080917428061262.html?rnd=69292

 

요즘 집값 하락으로 전세 들어갈때 잘 알아 보고 계약해야 한다고 합니다.

전세집 얻으 실때 참고하세요.

IP : 121.137.xxx.177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참고하세요
    '12.8.18 12:10 PM (121.137.xxx.177)

    기사를 보면
    "전문가들은 금융기관의 근저당 금액이 집값의 20% 미만인 것을 찾으라고 권한다." 라고 하네요.

  • 2. 깜짝 놀랐어요!
    '12.8.18 12:15 PM (175.215.xxx.178)

    20% 미만인 집이 전체가구 중 몇 %나 될까요?

  • 3. 참고하세요
    '12.8.18 12:38 PM (121.137.xxx.177)

    그러니까요. 저도 기사보고 놀랐어요.
    기사내용을 좀더 가져왔어요. 왜 20%인지~~
    아래는 기사내용 입니다.
    전체를 다 읽어보시면 내용이 더 많습니다.


    세입자 입장에서는 기본적으로 융자가 많은 집을 피하는 것이 상책이다.
    하지만 등기부등본이 깨끗한 집을 찾기란 쉽지 않다.
    전문가들은 금융기관의 근저당 금액이 집값의 20% 미만인 것을 찾으라고 권한다.

    박상언 유앤알컨설팅 대표는 "수도권 주택 낙찰가는 시세의 70~75% 수준에서 결정되는 경우가 많은데
    20% 이상 근저당이 설정돼 있으면 전세보증금을 모두 돌려받지 못할 수 있다"며
    "전세계약 이후 즉시 주민센터에 전입신고를 하고 임대차 계약서에 확정일자를 받아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확정일자와 전입신고 중 늦은 날짜가 임차인이 임대차보호법상 보호를 받을 수 있는 기준일이 되기 때문이다

  • 4. 구체적으로 얼마?
    '12.8.18 1:09 PM (220.66.xxx.33)

    그럼 집값이 3억이면 융자가 6천이하인것이죠?

  • 5. 문제는..
    '12.8.18 1:21 PM (218.234.xxx.76)

    그런 집은 전세가가 높아요. 물론 그렇게 해서라도 안전한게 낫지만,
    거의 30% 이상 전세가가 높더군요.

  • 6. 참고하세요
    '12.8.18 1:37 PM (121.137.xxx.177)

    융자가 많은 집은 전세가 시세보다 싸게 들어갈 수 있는 경우는 봤지만.....
    융자가 적다고 시세보다 30%나 높여 받는 집은 보도 듣고 못했으니 거기에 대해서는 드릴 말씀이 없어요.

    기사가 현실과 100%로 부합되지 않는 면도 있겠지만 읽어보니 저한테 도움이 되는 내용이라
    다른분 한테도 도움이 될까 하고 올렸어요. 저도 전세 사는 입장이라 깡통전세 기사보고 걱정이 많습니다.

  • 7.  
    '12.8.18 2:48 PM (211.37.xxx.198)

    융자 적은 집은 전세 경쟁률 높아서 부동산에서도 높게 불러요.
    저희 집이 융자 0원인데
    반지하 전세 부동산에 내놓는데
    등기부등본 떼어보더니
    전세 다른 집보다 많이 받을 수 있다던데요.
    좀 비싸도 안전한 집 찾는 사람들 많다구요.

    부동산 아저씨 말씀이
    사람들이 안전한 집 찾아 융자 없는 집 전세가가 올라가니까
    융자 많은 집도 올려도 되는 줄 알고 자기네도 막 올리더랍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3851 성수기에 가족여행 경비? 5 제주도여행 2012/08/20 2,043
143850 실신하는 현영희 의원 12 세우실 2012/08/20 3,799
143849 [좁쌀 한 톨] 평일공연 초대(미취학~초등1학년대상) 1 다다익선 2012/08/20 1,292
143848 고3 수시원서 어느학교가 나을까요? 7 약사엄마희망.. 2012/08/20 3,080
143847 유아 있는 4인가족 해외여행 힘들까요? 15 ^^ 2012/08/20 5,732
143846 제습기 사용법 좀 알려주세요 1 .. 2012/08/20 2,494
143845 갤럭시 노트 같은 큰 스마트폰 쓰는 분들 운동할 때는 어떻게??.. 5 ... 2012/08/20 2,991
143844 출산휴가 들어가는 직장동료에게 줄 선물 어떤게 좋을까요 1 고민 2012/08/20 2,037
143843 비타민주사 맞아보신분 계세요? 1 바이타민 2012/08/20 4,108
143842 매사에 따지고 넘어가는 사람 주변에 있나요? 7 두통 2012/08/20 2,360
143841 갯벌 흙 묻은 옷, 세탁하면 지워지나요? 7 빨래 2012/08/20 8,373
143840 아기들 훈육이라는건 언제부터 해야하나요? 7 아기엄마 2012/08/20 4,383
143839 얼마전데이터정보료.글올렸는데요. 4 여우72 2012/08/20 1,427
143838 둘째 가지는 것에 대한 시아버지 말씀.. 11 어머님.. 2012/08/20 3,923
143837 하지정맥류 질문^^ ... 2012/08/20 1,513
143836 학교 폭력을 근절시키려면 1 나부터 실천.. 2012/08/20 1,254
143835 애들 핸드폰 3g를 차단했어요 5 한숨돌렸네요.. 2012/08/20 2,098
143834 호텔 예약 사이트좀 추천해주세요 2 국내 2012/08/20 1,560
143833 멸치사다가 가루내어봤더니 7 오호~ 2012/08/20 3,243
143832 엄마표 피아노를 하고 싶은데요 4 엄마표 2012/08/20 2,576
143831 제주도 감물 염색에 관한 질문.. 2 행복한새댁 2012/08/20 1,394
143830 자궁암검사비 실비보상 될까요? 7 검은나비 2012/08/20 4,645
143829 이웃이 텐트 빌려달라고 하네요 43 올레 2012/08/20 13,987
143828 인터넷 켜면 광고창이 많게는 십여개가 뜨는데요 1 .. 2012/08/20 1,883
143827 요즘 금 시세 오르나요 내리나요 골드 2012/08/20 1,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