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박사과정 공부는 창의력도 중요하지 않나요?

콩나물 조회수 : 2,361
작성일 : 2012-08-14 09:45:27

싸이 엔지 같은 곳에 고민글이런거 읽다보면

학부시절까지 전공공부 무지 잘하고 적성에 맞다고 하는데

미국에 석박으로 실험을 하고 논문을 쓰는 과정에서

자신이 뭔가가 아니라는 느낌을 받고

지금하는 공부에 전혀 재능이 없다는 느낌이 온다는 글을

두세번 읽은 거 같은데

여하튼 남이 이뤄논것을 빠르게 습득하는것과

거기에 바탕하여 자신만의 오리지널러티를 개성을 얻는것은

또다른 이야기인듯...

 

새로운 연구방법..가설을 증명할 창의적인 실험과정

이런것들은 또다른 능력인것도 같더군요..

 

해외박사나 명문대 박사 물론 따기 무지 어렵겠지만

제가 볼때는 남이 안간 길을 개척해서 논문쓰는일이

무지 어려워 보입니다.

속칭 그분야에 아무도 진출하지 않았는데

처음으로 오리지널이 되는것..

 

논문을 10편을 써도 뭔가 오리지널이 부족하다 싶으면

그게 제대로 평가받기 어려운 것도 같고..

 

공부의 끝이 뭘까요?

공부의 성격이나 내용이 하도 다양하여 이거라고 말못하지만..

박사과정 코스웍이2년이라지만 사실 2년만이 수료조건이 아닌것이

일단 저기까지 가기가 초등6년 중고등6년 대학4년 석사2년

도합18년이라는 세월의 시간이 필요하고

그과정에서 얼마나 본인이 다양한 경험을 했는냐가

화룡정점을 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듯..

 

막상 선배들 말들어보면

학교가 해주는 역할을 그리 크지 않다고 합니다.

학교나 회사는 맨마지막에 이렇게 묻는듯합니다.

'넌 도대체 뭘할수 있니?'

 

본인이 능동적으로 찾고 익히고 노력하는 과정이

의외로 큰거 같고

다양한 경험이 바로 드러나지 않아도

breakthrough idea를 내는 바탕이 되는듯...

 

오늘 아침부터 횡설수설 하네요..

 

IP : 218.50.xxx.7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dd
    '12.8.14 9:49 AM (123.141.xxx.151)

    저도 그래서 박사 포기했어요.
    전공 공부 정말 무척 좋아했고 모든 전공과목 A+로 마치면서
    교수 꿈 안 꿔본 건 아니지만
    박사는 열심히 한다고 되는 공부가 아니니까요.
    그리고 그거 하다가 중간에 포기하면 정말... 이도 저도 아니구요.

  • 2. 박사
    '12.8.14 10:04 AM (59.6.xxx.251)

    남편 S대 나와서 S 대 박사 했어요.
    늘 공부하면서 입에 달고 다녔던 말.. 다시 태어나면 절대 이 길을 가지 않을거라고..
    석사까지는 자기도 똑똑한 줄 알고 다녔는데,
    박사하니까 정말 똑똑한 사람들을 만나고 한계를 너무 경험했다고..
    창의력.. 정말 중요합니다.

  • 3. 그런생각을
    '12.8.14 10:13 AM (27.115.xxx.62)

    딴소릴수 있지만 이런생각 들더군요.
    정말 생활체육이란거 전무, 여가생활이란거 전무, 땅떵어리쫍고 인구 적고, 체격조건 그냥 왜소하고 평범한 동양인..
    올림픽이라는건 자기 인생을 건 사람들이 최고의 자리를 겨루는 것.
    이런 대회에서 우리같은 나라가 5위를 했다는게 말이 되나요????
    정말 나긴 난 민족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이런 나라에서

    왜 노벨상은 수상 못할까요??? (노벨 평화상은 논외.)
    왜 죽었다 깨나도 노벨상은 안된다 안된다 하는걸까요???

    결국 창의력에서 갈라지는 부분 같습니다.

  • 4. ㅇㅇ
    '12.8.14 10:17 AM (123.141.xxx.151)

    윗님... 노벨상은 순수 실력만으로 수상할 수 있는 게 아니예요
    스포츠는 판정 스포츠도 있긴 하지만 그나마 공정하게 자기 실력으로만 메달 딸 수 있는 분야구요

  • 5. ..
    '12.8.14 10:25 AM (66.56.xxx.73)

    어느 쪽이 오리지널인가요? 똑같은 글을 조금 전 엠팍에서도 봤는데. 같은 분이 양쪽에 올리신 건가요?
    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bullpen&mbsIdx=1170765

  • 6. 곰녀
    '12.8.14 10:37 AM (119.148.xxx.170)

    역시 더 자신이 없어지네요

  • 7. 자몽
    '12.8.14 11:19 AM (203.247.xxx.126)

    공부의 끝은 없죠.
    박사 공부하는데 창의력은 당연히 중요합니다. 남들이 이뤄놓은 걸로는 박사학위 논문을 쓸수가 없으니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5033 보육교사의 길 제~발 2012/08/28 1,534
145032 남편.. 철없어도 이리 철없을까요.. 14 어이없어 2012/08/28 5,425
145031 아랑사또에서... 7 아랑사또빠... 2012/08/28 2,244
145030 사업하는 사람이 전세나 매매를 부부공동명의로.. 2 부부 2012/08/28 1,259
145029 왜 재외동포에게 선거권을 주죠? 3 dd 2012/08/28 1,071
145028 게임하는 전업주부들 미친 거 맞아요. 34 어이상실 2012/08/28 10,073
145027 아들 친구 녀석 때문에 돌겠네요.. 38 ㅇㅇ 2012/08/28 11,768
145026 허세질 조회수 강강술래 2012/08/28 928
145025 용돈+ 주유비+ 식비 한달에 70만원 어떤가요? 4 여울 2012/08/28 1,771
145024 엿이 많은데... 아무도 안먹어요 ㅜㅜ 혹시 음식이나 이런데 쓸.. 13 이걸 어쩌지.. 2012/08/28 2,689
145023 이와중에 내일 제주도 갑니다~ 여행 일정좀 봐주셔요 (-_ㅠ) 7 태풍을 뚫고.. 2012/08/28 2,741
145022 (질문) 삭제된 글의 요리책 2 nn 2012/08/28 1,029
145021 차라리 베란다 문 깨진거면 낫죠 15 neword.. 2012/08/28 6,828
145020 태풍 지나갔나요? 15 이건 뭐.... 2012/08/28 2,425
145019 김치를 담았는데 넘 짜요.도와주세요~~~~~ 9 김치 2012/08/28 1,691
145018 요즘 무턱대고 자랑글 올리는 분들 많은데...! 8 좀봅시다 2012/08/28 2,261
145017 (속보)강원 경선 문재인 1위!! 18 로뎀나무 2012/08/28 2,262
145016 돈암동 한신한진아파트 태풍 상황 여쭤요 4 동생네집 2012/08/28 2,079
145015 방충망 매미 4 지독한놈 2012/08/28 1,801
145014 영어 질문..급해요..ㅠㅠㅠㅠㅠㅠㅠㅠㅠ 3 rrr 2012/08/28 1,420
145013 순수 생활비 얼마 쓰세요? 5 궁금 2012/08/28 3,818
145012 배고파요 2 급질문 2012/08/28 1,065
145011 분당 성장판검사하는곳 추천부탁드려요 9 도움절실 2012/08/28 5,215
145010 딸아이 사줄꺼예요. 헤드폰 좀 추천 해주세요~ 4 딸아딸아 2012/08/28 1,327
145009 적절한 조언 부탁 드려요 4 조언 2012/08/28 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