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기름에 전부치는거 꼭 해야 하나요

전부치 조회수 : 1,470
작성일 : 2012-08-09 13:13:07
다른나라에도 전부치는 요리 있는지 궁금해요.
우리나라는 전에 참 많은 의미를 두고 있는거 같아요,.
식당에 가서도 전부침 나오면 와~ 전이다...그러고요.

사실 따져보면 들어있는거라곤 밀가루에 기름 채소약간  그 정도인데도 대단한 음식이다라고 생각하는거 같아요.
사실 맛있기도 하지만요.

특히 명절이나 중요 가족모임에는 꼭 전을 부쳐야 하니 ...
전을 부쳐놔야 상차림도 풍성해보이고 정성도 가득 들어간것처럼 보여지고요.

전부치는거에 대해서요... 일하는거나 먹는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꼭 전을 부치고 살아야 하나요?

저희시집은 명절 때 전부치는 것만 생각하면 골치가 아파요.
쉬지않고 앉아서 부치면 끝이 없고...장장 예닐곱시간을...
바리바리 싸보내고 그리고도 두고두고 두고 먹으려고 냉동하고...

전부치는거 너무 지쳐요.
명절에 음식하는것좀 조금만 했으면 좋겠네요.

IP : 114.207.xxx.35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8.9 1:15 PM (72.213.xxx.130)

    여기 검색해 보면 전 맛나게 파는 집 많아요. 사다 쓰셔도 됩니다.
    저도 게을러서 전 부치기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요, 전이라는 게 양면 익힐때 시간이 걸려요.
    한쪽은 4분, 뒤집어서 3분 타이머 맞춰두고 컴퓨터 하면서 하거나 tv보면서 하는 게 저랑 맞더라구요.

  • 2. 아마
    '12.8.9 1:18 PM (211.224.xxx.193)

    아주 옛날엔 밀가루랑 기름이 흔한 식재료가 아니여서 무슨 잔치날이나 먹는 음식이 전이여서 지금도 전이면 와~~ 하는것 아닐까요?
    명절 음식중 제일 살찌는데 일등공신하는 음식이예요. 저희는 점점 전 양을 줄이고 있어요. 딱 명절때먹고 싸주고 약간 연휴날 먹을만큼만 해요.

  • 3. ..
    '12.8.9 1:18 PM (1.225.xxx.64)

    님도 말씀하셨잖아요.
    '사실 맛있다'
    맛있으니 그리들 기를 쓰고 하는거죠.
    저흰 제사에 튀김은 안해요.
    나중에 님 代로 제사가 내려오면 전 부치지 마세요.
    그런데 제사음식에 전 안부치면 먹을게 뭐 있던가요?

  • 4. ..
    '12.8.9 1:20 PM (211.253.xxx.235)

    님도 말씀하셨잖아요.
    '사실 맛있다' 222222222222

  • 5. ...
    '12.8.9 1:21 PM (220.122.xxx.159)

    근데, 시댁에서 하시는거면 그날만 어머님 하시자는대로 따라줄듯해요..

    제가 전에 어머님께 전해놔도 바로먹는거 아니면 맛도 없다고 조금하자고하니..

    어머님 서운해 하시더라구요...

    저도 사실 귀찮아서 전 잘 안해먹는데요...

    요근래..고추 반으로 잘라서 부침가루랑 물, 계란에 전부치니 맛았어서

    그거 자주 해먹어요...

    전 부칠때마다 기름이 많이 들어야 맛나길래..칼로리가 높겠구나..

    싶은데요..가끔 먹으면 고소하고 맜있잖아요..&&

  • 6. ㅇㅇ
    '12.8.9 1:26 PM (203.152.xxx.218)

    요즘 편한 세상이에요
    옛날처럼 동태 사다가포떠서 쪼그리고 불때고 앉아 가마솥뚜껑에 전부치는것도 아니고
    동태포 떠져있는거 사다가 (저는계란물까지 입혀져있는거 사다가 부침) 소금 후추 뿌려서
    밀가루 계란 입혀서 부쳐내면 되고
    똥그랑땡도 뭐 재료 다 되어 있는거 사다가 부쳐도 되고(저도 일반 냉동 똥그랑땡은 별로 안좋아해서
    해물똥그랑땡 아니면 쇠고기완자똥그랑땡 등 좀 비싼거 사다 부쳐요)
    호박이나 두부는 그냥 썰어서 소금 간해서 밀가루 계란 입혀서 부쳐요.
    근데 가장 편한게 그 넓은 와이드 후라이팬이라는거 있잖아요.
    전기후라이팬
    그거 한두세바닥만 부쳐내도 산더미 같답니다.

    요령이 필요해용..

  • 7. 저희는
    '12.8.9 1:31 PM (168.131.xxx.200)

    명절이고 제사고 딱 상위에 놓을 정도만 해요. 가지수도 딱 그정도만.
    식구들이 별로 안 좋아하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1227 하수구냄새요 3 호이 2012/08/20 2,054
141226 아이가 양쪽 시력차가 나는데........ 12 고민 2012/08/20 4,581
141225 답례를 해야하나... 4 ... 2012/08/20 912
141224 인터넷으로 부동산 시세 비교적 정확히 나와있는곳 있나요? 7 멀리 살아서.. 2012/08/20 2,591
141223 바리스타 4 혹시 2012/08/20 1,222
141222 도대체 토마토를 어떻게 요리했을까요? 3 자유 2012/08/20 1,732
141221 핸드드립커피에 대해서 도움 청합니다. ^^ 2 커피 2012/08/20 1,040
141220 공지영 짜깁기 논란 93 도대체 2012/08/20 11,371
141219 한국에온 일부 외국인들 화이트스카이.. 2012/08/20 894
141218 전기요금 좀 봐주세요 7 아틀란타 2012/08/20 1,866
141217 아이들 채소반찬 어떤걸 해주세요? 11 2012/08/20 4,438
141216 본인은 별론데 남편이 원해서 둘째가지신 분? 1 아ㅓ 2012/08/20 855
141215 비파행 해석해주실 분.. 1 백거이 2012/08/20 907
141214 요새 애들 영악하네요.. 22 영악 2012/08/20 15,768
141213 여수박람회 책 보다 알게된 재밌는 사실 2 ^^ 2012/08/20 1,326
141212 정말 맛있는 복숭아 너무 먹고 싶습니다! 6 복숭아 2012/08/20 2,175
141211 뒤늦게 카나예바의 2008년 프로그램에 빠졌어요 4 ㅇㅇ 2012/08/20 1,758
141210 단호박과 통닭을 동시에 소비할 요리없을까요? 4 축개학 2012/08/20 1,149
141209 달걀도 먹지말고 먹이지(아이들) 말아야할 듯해요 ㅠㅠ (펌글있어.. 4 오늘2번 2012/08/20 2,301
141208 왜? 아랑사또전이나 ‘동이’같은 사극물이 현대인에게 어필될까요?.. 1 호박덩쿨 2012/08/20 1,040
141207 고3되면,,엄마의 역할? 12 고삼맘 2012/08/20 2,653
141206 이민정 어머니 3 .. 2012/08/20 4,496
141205 영어 잘 하시는 분들 좀 알려주세요. 10 영작 2012/08/20 1,350
141204 교정상담시 찍은 사진 달라고 해도 될까요? 교정인 2012/08/20 1,385
141203 에어컨은 언제 사는것이 가장 좋은가요? 4 사자 2012/08/20 2,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