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지방에 자리잡고 사는 사람들이 가끔 부러워요

ㅇㅇ 조회수 : 4,602
작성일 : 2012-08-08 11:22:37
결혼한지 1년 된 신혼부부예요.
남편도 저도 어릴 때부터 서울 토박이고, 대학도 서울, 직장도 서울입니다.
뭐 결혼 전까지야 부모님 집에서 살았으니까 잘 몰랐는데
정말 결혼하고나서 서울에 터전 마련하려니까 너무 불가능한 일처럼 여겨지네요.

출퇴근길 지옥철도 5년 쯤 탔더니 정말 미쳐버릴 것 같아요.
전 다른 곳도 다 이런 줄 알았는데 얼마 전 부산에서 온 친구가 부산은 이 정도까진 아니라고 하더라구요
딱히 서울에 큰 미련이 없어서 정말 일자리만 있으면 지방으로 가고싶은데
자세히 얘기하긴 좀 그렇지만 직종이 순수예술 쪽이라 지방에는 일자리가 전혀 없네요

저희는 남편 월급으로는 다 전세대출 갚고있고
제 월급으로 생활비 써요
18평짜리 노후한 아파트인데... 대출 만땅으로 시작해서 아직도 갚으려면 멀었답니다ㅠㅠ

지방 출신 대학 동창들 중에 졸업하자마자 다시 고향 내려가서 사는 친구들이 몇 있는데요
18평 오래된(복도식입니다...ㅠㅠ) 아파트 대출금을 맞벌이 부부인데도 몇 년에 걸쳐서 갚는다는 걸 이해 못 하더라구요
눈치 없는 친구중에서는 18평에서 어떻게 살아? 이러는 친구도 있었구요...
광역시보다 더 작은 시단위 사는 친구 보니까 저랑 연봉 비슷한데 30평대에서 신혼집 시작하더라구요. 에궁...
평생 벌어도 30평대 아파트 한 채 살 수 있을지 모르겠다 이런 말은 당연히 이해 못 하는 눈치구요
다들 차도 굴리고... 저흰 뚜벅이거든요. 
대출 갚을 때까진 차 살 생각 없어서 애기 가지면 어떻게 살아야할지 조금 막막하고
남편이나 저나 입 밖으로 낸 적은 없지만 솔직히 이 살림에 애는 어떻게 낳나, 
꼭 낳아야 할까 이런 생각도 하는 게 가끔씩 지나가는 말 속에서 느껴져요

서울 살면 문화적 혜택 누리고 살지 않냐... 하는데 그렇다고 솔직히 그 문화적 혜택들이 공짜도 아니고...
제가 예술쪽에 일하고 있음에도 살림이 빠듯하고 일도 바쁘다보니 
그리 문화적으로 풍부하게 누린다는 생각 잘 모르겠더라구요

에휴... 집값이 너무 비싸다보니 평생 나고 자란 이 도시가 싫어지네요
결혼 전에는 46평 부모님 집에서 살다 
결혼해서 나와보니 정말 그게 얼마나 공짜로 편하게 누린 쾌적한 삶이었는지 뼈저리게 느껴져요

IP : 123.141.xxx.151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8.8 11:29 AM (182.212.xxx.198)

    서울집값이 미쳤고,지방엔 일이 없는 것,이 두 현상은 사실 샴 쌍둥이죠.
    또 지방에서 일없이 집만 차지하면 뭐하겠습니까...

    개인사적 한풀이가 아닌 이 두 가지를 해결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는 사람이 지도자가 되면 좋겠어요.

  • 2. 그러게요
    '12.8.8 11:29 AM (218.51.xxx.27)

    저도 그래요
    남편친구중에 지방에서 자리잡은친구는
    저희보다 적은돈으로 34평 분양받아살아요
    저희는 24평 낡은아파튼 벗어날수가없네요
    서울은집값도떨어지는데 거긴 충청권인데
    요새도 오르는것같더군요
    교육렬도 서울저리가라고 회사랑집가까워서
    자전거로 출퇴근하고 차는 부인이 쓰는데
    기름값도 거의안들고 저희는 기름값이며
    출퇴근시간도 엄청걸려요
    여기서 왜이러고사는지 이것도 팔잔가싶네요

  • 3. 윗글수정
    '12.8.8 11:30 AM (218.51.xxx.27)

    저희보다 적은돈이라기보다는엇비슷한돈으로 분양받았는데 지금 1억은 오른듯싶네요

  • 4. 요즘은
    '12.8.8 11:34 AM (112.168.xxx.63)

    지방 집 값도 터무니없이 올려놔서 문제에요.

    그리고 지방은 일자리가 너무 없어요.

    저도 양가가 시골이고 양가가 가까운 지방 중소도시로 내려가고 싶은데
    항상 걱정인게 일자리에요.

    없어도 너무 없고 급여는 너무 작아요.

  • 5. 요즘은
    '12.8.8 11:35 AM (112.168.xxx.63)

    참..
    원래부터 지방에서 자리잡고 계속 산 경우는
    확실히 좀 여유로운데

    중간에 내려가기는 현실적으로 참 어려운게 맞더라고요.ㅠ.ㅠ

  • 6. 여유있으면
    '12.8.8 11:39 AM (118.91.xxx.85)

    바닷가쪽에 비싸지 않은 아파트 하나 사서 별장처럼 두는것도 좋을것 같아요.
    부산 해운대 같은곳 아니라면, 아직도 1억 이하인 집들도 꽤 많거든요.
    서울을 떠날수도 없고, 지치고 힘드는건 점점 쌓여가고.... 특히, 이번 여름은 더욱 그렇게
    만드는거 같아요. 힘냅시다....

  • 7. ddd
    '12.8.8 11:41 AM (121.130.xxx.157)

    각자 고향에만 살아도 서울집값이 이렇게 오르진 않았을꺼에요..

  • 8. ㅇㅇ
    '12.8.8 11:48 AM (123.141.xxx.151)

    웃긴 게, 대학 때는 지방 출신 친구들이 서울은 사람 살 만한 곳이 아니다,
    자기 원래 사는 도시가 곳이 살기 좋다, 이런 얘기하면
    속으로 파르르 떨면서 화가 났던 기억이 나요.
    그 땐 어렸죠...ㅋㅋ 부모님이 먹여주고 재워주시니 저는 제 용돈만 벌어 쓰면 됐고
    서울 물가 무서운 줄을 알았나요 제가 ㅋㅋ
    결혼해서 독립해보니 이제서야 세상 물정을 알겠어요.

  • 9. 사실
    '12.8.8 11:54 AM (112.168.xxx.63)

    시골에사 나고 자라면서 시골 지역에서 계속 살기도 어려운게
    워낙 서울과 중소도시의 환경차도 심하고 가장 큰 문제는
    일자리가 너무 없기 때문에
    고향근처에서 살고 싶어도 일자리 찾아 서울로 올라오게 되는 상황이 많아요.

    몇년전까지 서울에서 지옥철타고 출퇴근 했을때 정말 힘들었지만
    그래도 20대라 견딜만 했는데
    지금은 생각도 하기 싫어요.

  • 10. ...
    '12.8.8 11:55 AM (218.236.xxx.183)

    서울도 찾아보면 살만하고 싼 아파트 많이 있어요.

    제가 사는 집 지하철 걸어서 5분거리 뒤로는 산도 있고 마트는 서울에서 제일 싸고
    집은 어찌나 튼튼하게 지었는지 지금 10년찬데 30년쯤 지나도 멀쩡할 듯 하고

    학군이 안좋다고는 하나 여기 아이들도 명문대 많이 다니는거 보면
    공부야 자기 할 나름이고
    집값은 서울에서 제일 싸네요...

  • 11. 지방인데..
    '12.8.8 12:12 PM (59.25.xxx.110)

    천안아산쪽은 일자리도 많고, 나름 살기 좋은데..

    산도 가깝고, 바다도 가깝고..

    전 서울에서 대학 다녔는데, 다시 지방으로 와서 직장 잡았어요~

    내년쯤 결혼할 생각인데, 결혼해서도 계속 여기서 살려고요~

  • 12. 그게 참..
    '12.8.8 12:27 PM (218.234.xxx.76)

    그래요.. 대기업에서 지방으로 발령 난 거 아니면요, 그 임금 수준이 낮을 거에요.
    서울 있다가 전라도 광주로 내려간 후배나, 부산 살다가 서울로 직장 옮긴 친척동생 말에 따르면,
    서울의 임금 수준이 30% 정도 높대요. 다만 물가는 더 높고 집값은 100%도 높으니 그게 문제..

  • 13. 저는
    '12.8.8 1:09 PM (121.153.xxx.229)

    지방 광역시 사는데요 울회사 동기가 서울로 발령나서 갔는데 저보고 그러더라구요
    여기사는 여직원은 백화점에서 옷사입고 서울사는 여직원은 아울렛에서 사입는다고..
    그만큼 여유가 없다는 뜻이겠죠. 집값때문에..

  • 14. 친구가
    '12.8.8 3:20 PM (180.66.xxx.102)

    인천에서 교사하다 남편이 서울 공무원이라 부부혜택으로 서울로 갔을때는 너무 좋아하고 축하하고 했는데..
    지금은 없지만 그 시절은 저런 혜택 있었음.
    시간 지나고 나니 후회해요. 서울 가서 집 값 비싼데서 고생만 한다고요. 똑같은 공무원 월급에 인천 사는 사람들은 넓은 집 , 좋은 차 타면서 서울 사는 것과 차원이 다르게 산다구요.
    그러고 보니 공무원은 어차피 똑같은 월급..지방에 사는 것이 훨씬 유리하겠더라구요.

  • 15. 지방엔
    '12.8.8 3:59 PM (211.202.xxx.119)

    일자리가 별로 없어요. 그리고 아이 낳아서 키워보면 뭔가를 접하게 해주고 싶어도 기회가 많지 않구요. 심지어 병원만 해도 차이 많이 나요.
    그래도 서울 살아보니까 살아지네요. 더 필요한만큼 더 벌게 되니까요.

  • 16.
    '12.8.8 4:37 PM (1.245.xxx.180)

    전 지방 광역시에 사는데요
    주변지인이 그러더군요
    서울 사는 친구가 지방에 사는거 안됐다고 하는데 본인은 그들이 안됐다
    좁은집에 차도없이 뚜벅이로 다닌다고요
    우리 아파트이웃들 다 서민인데 차두대 이닌집
    드물어요

  • 17.
    '12.8.8 5:55 PM (87.152.xxx.158)

    요즘은 지방도 집이 비싸지고 있어요;; 월세율은 원래 높았고요. 임금수준 생각하면 곧 그닥 서울과 다르지 않게될 듯...음. 지금 좋아보이는 건 부동산이 오르는 중이라 소비수준 거주여건 등이 일시적으로 개선되었기 때문일 뿐이에요.

    지금 처음 시작하셔서 그렇지 두 사람이 벌면 금방 좋아져요~ 걱정 마시고 열심히 하세요^^

  • 18. ...
    '12.8.9 12:47 PM (119.201.xxx.143)

    지방에 자리잡고 사는 사람들이 가끔 부러워요
    사람 생각마다 차이가 있는 거겟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1244 아이가 잠깐 기절을 했었는데요.. 13 병원 2012/08/12 5,275
141243 IOC에 이의 제기한거 일본이겠죠? 5 ... 2012/08/12 2,234
141242 20대후반에 키큰분 계세요? 12 곰녀 2012/08/12 18,075
141241 아래 소개팅 얘기나와서 말인데 입고 나가서 애프터 100% 받은.. 4 애프터 2012/08/12 3,432
141240 아~~ 축구 17명만 메달을 받네요. 43 축구 2012/08/12 15,199
141239 대치동 수학과외에 대한 궁금증 4 곰녀 2012/08/12 2,595
141238 손예진 디카 광고를 보니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네요. 8 손예진 2012/08/12 3,119
141237 김연경 선수는 샤라포바를 연상시키더군요. 2 샤라포바 2012/08/12 1,718
141236 초경후 2년반 지나하는 성장판 검사 의미있나요? 8 문의 2012/08/12 3,749
141235 애국심 빼고 솔직히 말하면 손연재보다 순위낮은 선수들이 더 61 리듬체조 2012/08/12 11,425
141234 독도에 대한 현재 우리나라 실정을 보는거같아 정말 참담하네요 7 .. 2012/08/12 1,551
141233 아이들과 스킨쉽 어느정도 하세요?? 3 ... 2012/08/12 1,550
141232 이번 올림픽 테마색이 분홍색이라 집중에 방해된다고 하잖아요 ㅇㅇ 2012/08/12 996
141231 해야하는 종목이 넘많아 리듬체조~ 2012/08/12 2,216
141230 손연재 선수는 더 자랄까요? 52 얼큰이 2012/08/12 11,000
141229 퇴사한 직장 홈페이지에 제 사진을 버젓이 올려두었는데.. 초상권.. 3 초상권 침해.. 2012/08/12 3,118
141228 소련이 쪼개진게 출전기회 면에선 덕인듯 2 리듬체조 2012/08/12 1,167
141227 손연재가 아쉬운게 아니라... 21 2012/08/12 4,591
141226 아이가 미워요ㅜㅜ 4 슬퍼요 2012/08/12 1,796
141225 러시아 리듬체조 선수들은 귀화 생각 안 하나요? 4 ㅇㅇ 2012/08/12 2,877
141224 아.. 손연재 아쉽네요.. 34 ... 2012/08/12 4,548
141223 통뼈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_-; 12 기체 2012/08/12 11,342
141222 손연재 5위도 최고의 성적이네요 15 파사현정 2012/08/12 3,805
141221 지금 손연재바라보는 국민들심정. 3 dusdn0.. 2012/08/11 2,301
141220 고등학생의 통금시간? 3 엄마 2012/08/11 1,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