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정답율은 높고, 수학 느리게 푸는 아이

에효 조회수 : 2,500
작성일 : 2012-08-07 22:17:55

이제 4학년 여름방학이고, 5학년이 금방 될테니 수학을 조금 해야할것같은데요.

저희 아들은 수학풀때 속도가 참 느려요.(특히 심화경우)

이거  수학지능이 좋지 않아서 그런거지요?

정답률은 높아요.

그런데 속도가 너무 느리네요.

지금 방학이라 하루에 수학 1시간에서 많으면 1시간반정도하고 있는데,

많이하는건 아니지않나요?

이것도 하기 싫어라해서요. 문과인거 같아요.

영어는 하루종일이라도 책을 본인이 원해서 보는데.

아무튼 수학푸는 속도 엄청느리고, 반면에 정답율은 좋은 아이... 어떡하지요?

시간이 흐르고, 머리가 굵어지면 속도가 빨라질수도 있을지요?(네, 연산속도는 빨라요 ㅠ 생각이 빨리빨리 안나는거지요)

선배님들,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IP : 125.186.xxx.63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8.7 10:20 PM (222.110.xxx.137)

    그런 아이야말로 반복으로 숙달시켜야해요. 인지보다 동작성 지능이 좀 떨어지는 스탈같아요.

  • 2. 람다
    '12.8.7 10:27 PM (121.162.xxx.109)

    수학문제 오래 푸는 것은 개인적으로 아주 긍정적으로 바라봅니다. 그만큼 문제에 집중을 오해한다는 것이고요. 윗분처럼 반복연습시키라는 말씀은 좀 위험해 보입니다. 고등수학을 갈수록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면 풀수없는 문제가 많고요. 아무리 반복해도 제대로 개념잡힌 출제자가 시험을 내면 스타일 다른 문제 낼 수 있습니다. 저도 수학관련 공부를 나름했는데요 저희 애들한테도 1문제를 밤새도록 또는 몇일씩 붙잡고 풀 수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자주합니다. 그만큼 집중과 개념이해가 중요합니다.

  • 3. 람다
    '12.8.7 10:28 PM (121.162.xxx.109)

    오해 -> 오래

  • 4. 저두
    '12.8.7 10:39 PM (125.131.xxx.193)

    기계적으로 단순한 연산 쉽게 풀다가
    조금만 막히면 생각하기 싫어하고 답 들춰보는 것보다 나은 거 아닌가요?

    윗분 말씀처럼 안풀리는 거 하나 붙잡고 답 볼 생각 안하고 혼자 씨름하는 건 수학적 사고력을 키우는 데 오히려 더 좋을 거 같은데요..

  • 5. 람다
    '12.8.7 10:45 PM (121.162.xxx.109)

    제 평소 생각이 수학은 머리 좋은 애들이 잘하는 과목이 아니라 머리를 좋게 만드는 과목이라는 것입니다. 아무리 반복하고 기출문제를 풀어도 고등수학의 세계에서는 개념을 잡은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는 넘사벽입니다. 미리부터 죽어라 반복하면 자기가 아는 문제 이외에 대한 호기심을 잃어버릴 가능성이 있어 보여 위험합니다.

  • 6. 그건
    '12.8.7 10:53 PM (1.177.xxx.54)

    원글님 적은 글로 봐서 이렇다 저렇다 말하긴 부족한 부분이 있어요.
    심화과정에서 속도가 느리다고는 하셨지만 수학문제를 푸는데 속도가 느린경우는 두가지거든요
    풀어가는 과정에서 돌아돌아 힘들게 가는 유형.
    또 하나는 생각한다고 시간 다 잡아먹는 유형.
    전자는 고쳐야죠. 수학은 굉장히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과목이거든요.
    풀이과정이 딱 하나 개념에 맞게 정해져 있진 않아요
    어떤 문제를 푸는데 있어서 다양한 방법적인 부분들이 나오고 그 방법적인 부분들을 얼마나 쉽게 빠르게 끌어내느냐 하는 부분이 잘하는 애와 못하는 애의 차이를 만들어요
    실제 수학영재는 정말 효율적으로 수학가르치는 사람보다 더 쉽게 재미나게 풀어내요.
    가르치는 사람은 기본 커리큘럼에서 절대 빠지지 않거든요.
    정석이죠.
    고 3 모의고사 풀이..정석대로 나온 풀이집이 있지만. 1등급짜리가 그 많은 문제를 풀이해놓은걸 보면..
    한페이지에 다 적어놔요. 정석대로는 몇페이진데 영재급들은 풀이과정이 남달라요.
    진짜 중학교식대로 적은애들도 있더라구요.고등과정이 들어가지만 과정이 아주 짧아요.
    이렇게 접근이 되도록 다양하게 접근이 되어야 하구요.
    일단 초등은 발전해 나가는 과정에 있으니깐 이렇다 저렇다 판단해도 소용없다고 생각해요.

    두번째..생각을 오래 해서 푸는건.이것도 지금은 꼭 필요한 시기지만요
    중등까지 그러면 안되요.
    시험이란건 정해진 시간안에 푸는거죠.실제 중등부터는 시간모잘라서 못푸는 애들이 수두룩해요
    그런애중에 수학잘하는애들도 제법 되거든요.
    시간을 단축할려면 또 다른 방법들이 필요해요.

    이렇게 여러가지 유형으로 갈리니깐 저위에 반복해야 한다는 님말도 맞도 다른댓글도 맞아요
    원글님이 우리애는 어떤유형인가 고민해보시고 처방을 하셔야겠죠.
    그러나 이 모든걸 떠나서 지금나이는 수학을 푸는데 고민도 해보고 다양한 방법들을 본인이 시도해보고 틀려도 또 해보고 하는걸 해야 하는시기예요.
    고민하고 늦게 푸는거라면 걱정을 크게 안해도 되지싶구요.
    나이가 그러네요

  • 7.
    '12.8.7 11:07 PM (125.186.xxx.63)

    답글들이 너무 성의있고 감사하네요.
    제 아이를 보면 그건님이 말씀해주신 유형중 두번째에 해당되는것 같아요(정확하진 않지만)

    저희아이는 수학지능이 평범한 아이인데요.
    지금껏 연산만 꾸준히 하다가 이제 4학년들어서 조금씩 수학의 비중을 늘이고 있는데,
    수학능력이 평범하지만, 심화나 사고력을 푸는 정답률이 좋은편인데 문제는 속도가 느리니까요.
    그게 참 답답해서요.
    생각을 참 오래하고 느리게 하는것 같아요.
    수학머리가 있으면 그 풀이과정이 팍팍 ㅠ 생각이 빨리 날텐데,
    평범한 수학머리라 생각이 나긴하는데 빨리 안나는것 같아요.

    속도가 조금만 빨라졌으면 하는 바람이 있고요, 또 계속 이렇게 속도가 느려선 안되는데.. 하는 걱정이
    들어서요.
    물론 학교수학시험은 빨리 풀어요. 어렵지 않으니까요.
    이런경우는 따로 어떤식으로 수학공부를 해나가야할지 몰라서요.
    공부시간을 점점 늘이면 좋아지려는지, 아니면 ㅠ 계속 이렇게 나가면 안되는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1000 통진당 백승우의 글--- 커피셔틀과 권력남용--- 어느 것이 나.. 8 커피셔틀 2012/08/20 1,592
140999 개콘 멘붕스쿨의 서태훈은 누구를 패러디한건가요 2 개콘팬 2012/08/20 4,134
140998 아이들에게 공연관람 예절 좀 가르치셨으면 좋겠어요.. 3 음... 2012/08/20 1,201
140997 유치원 물놀이~~ 10 물놀이 2012/08/20 1,528
140996 미드 어디서 다운받나요? 1 미드 2012/08/20 1,263
140995 보다서양남들이.원정성매매가심하죠 4 한국남 2012/08/20 1,577
140994 마트 주차장에서 일어난일..예민한건가요? 27 호이 2012/08/20 5,447
140993 아이에게 집안의 경제사정을 말해야 할까요? 12 맘! 2012/08/20 3,488
140992 조준호 선수 참 착하디 착한 것 같아요. 3 에반젤린 2012/08/20 2,346
140991 쌀 한꺼번에 씻어 논다는 분들요~ 9 ㅎㅎ 2012/08/20 3,070
140990 일산 이사예정인데 동네 추천 부탁요 17 일산입성 2012/08/20 2,756
140989 메이퀸..비밀이 뭘까요 3 .. 2012/08/20 3,143
140988 영어 내신대비 문제 사이트 45 자기주도 2012/08/20 2,665
140987 학교를 서른살 이후에 다니게 했음 좋겠어요 12 어리석음 2012/08/20 2,707
140986 만난지 일년 3 사랑 2012/08/20 1,289
140985 드라마스페셜 보세요? 10 첫사랑 2012/08/20 2,279
140984 어제 에어컨 설치했어여 2 행복 2012/08/20 1,536
140983 마음이 슬플때는 공지영의 착한여자가 읽고싶어져요 5 2012/08/20 1,984
140982 영화 도둑들에 나온 배우 8 배우 2012/08/20 2,376
140981 우리나라 사람들 영화 참 좋아하네요 7 대단 2012/08/20 1,871
140980 수학문제집들중에 제가 본봐로는 509 강북스퇄 2012/08/20 21,181
140979 아동복 쇼핑몰 좀... 1 hahahu.. 2012/08/20 1,212
140978 경북대 진짜 미쳤군요 의료사고임에도 부인하네요. 10 시사2580.. 2012/08/20 4,612
140977 3년전 구입한 에어컨이 며칠전부터 안 시원한데요 5 에어컨 2012/08/20 3,054
140976 비도덕적인 남편 12 공금 2012/08/20 3,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