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두물머리에서 띄우는 편지 '오늘도 무사히'

달쪼이 조회수 : 1,813
작성일 : 2012-08-07 13:39:45
8월 6일 행정대집행이 통보된 이후로 두물머리 사람들이
잠들기 전, 남몰래 비는 소원 역시 바뀌었습니다. 
'올해만 버티자'에서 '오늘도 무사히'로.

오늘도 여지없이 두물머리에서 새벽을 맞은 사람들.
예상했던 대로 오늘 공권력의 침탈시도는 없었으나
 사람들은 너나없이 만장과 몸자보를 두르고 길을 나섰습니다.
고요히 흘러가는 북한강을 따라 이슬 맺힌 풀숲으로 자박자박 걸었습니다.
앞사람의 등을 보며, 뒷사람의 발소리를 들으며.
두물머리에 비상이 걸린 요 몇 주간 아저씨들은 농사일에서 완전히 손을 놓으셨고.
우리의 텃밭은 정글이 되었습니다.
그래도 지금 이 순간이 마냥 소중하고 고맙습니다.
어제 오후에는 전국각지에서 천주교 신부님, 신도님들이 두물머리까지 달려와 주셨습니다. 1,200여 명의 신도님들이 한자리에서 두물머리를 위해 생명평화미사를 올려주시는 그 모습은 가히 장관이었지요. 농부 아저씨들도 슬쩍 눈시울을 붉히시고...
두물머리 농부들은 처음부터 이 땅에서 농사만 지속할 수 있다면 본인이 아니라 다른 누구라도 괜찮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본인보다 더 이 땅을 잘 보존해줄 수 있는 농부가 땅을 달라고 한다면 보상이고 뭐고 하나도 안 받고 그냥 내어줄 수 있다고.
4년 전이라면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그토록 지난하고 힘겨운 싸움을 겪으셨음에도, 자신 속의 미움도 원망도 다 제쳐놓고 오로지 이 땅의 미래를 우선하고자 하는 그 마음이 어떤 것인지 그들이 과연 상상이나 할 수 있을까요.
어미가 자식에게 그러하듯이, 땅을 가장 사랑하는 사람은 농부라는 말이 가슴을 칩니다.  차라리 두물머리로 하여금 직접 선택하도록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너는 누구와 함께하고 싶으냐고. 
['두물머리를 포기하지 않는 네 농부는.... 한 조각의 땅이라도 농지로 남겨서 전국 강 주변의 농지가 제자리로 되돌려지는 씨앗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농민마저도 농지 지키기를 포기하면 대한민국의 농업에 미래는 없고 농업의 미래가 없는 대한민국은 미래자체가 없는 것이다.'
-8/7 두물머리 최요왕 농부의 프레시안 기고문 中,

정부는 8월 6일 두물머리에 공권력을 대거 투입해 행정대집행을 시도하려다가 두물머리에 모여든 범국민적 관심과 사회적 파장에 일순 주춤해 일단은 한발 물러서는 척 농민들에게 협상을 청할 것이라 밝혔으나, 이는 결국 여론을 잠재우기 위한 시늉에 불과했습니다. 그 증거로 협상은커녕 비열한 협박뿐이었던 4대강살리기추진본부는 평화적 해결을 위해 8차례나 두물머리 농민들과 대화를 시도했으나 불통이었노라는 일방적인 발표를 냈습니다.
결국, 두물머리에 평화로운 행정대집행을 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입니다.
'평화로운 행정대집행' 이는 평화로운 전쟁, 평화로운 학살, 평화로운 폭력이나 다를 바 없는 말이지요. 그야말로 어불성설, 언어도단입니다. 
어제 국토부는 농민들에게 자진철거를 종용하고 내일까지 답하라고 요구해왔습니다.
국토부가 농민들의 의사를 확인한 내일. 내일 새벽이 바로 결전의 날입니다.
경찰력과 용역을 대거 동원한 침탈이 예상됩니다.
어쩌면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내일을 준비하면서,
다시 한번 편지를 띄웁니다.
다시 한번 이렇게 청합니다.
부디 두물머리를 위해 기도해주세요. 

울지도, 포기하지도 말고...


<언제 용역과 공권력이 투입될지 모르는 두물머리 긴급상황을 대비해 요청합니다.>
하나. 두물머리를 지키는 범국민 비상연락망, 두물머리 레인저에 연락처를 남겨주세요.
둘.  제발 오늘 하루도 무사히. 두물머리의 새벽을 생중계 채널로 함께해주세요.
셋. 두물머리를 위해 움직여주세요.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끝까지... 
반드시 끝까지 웃으면서 함께..
고맙습니다...

IP : 112.144.xxx.19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에고
    '12.8.7 1:47 PM (211.41.xxx.106)

    감사합니다. 이런거밖에 할 수 있는 게 없네요. 답답하고 무력합니다.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낙동강 등 여타 4대강 사업지에서 농지를 수용당한 농민들이 이제 와 땅을 돌려달라고 하면 어쩌겠느냐고"
    결국 기존의 4대강 파헤친 거 합리화하느라 이곳도 마저 파헤치겠다... 그거밖에 안 되는 거네요. 형평성...악의 형평성, 불합리한 정책의 형평성도 형평성인가요.

    이 파헤쳐진 땅들을 어쩝니까? 우리나라가 mb한데 무슨 죄를 지었길래 이 놈이 우리나라에 이런 짓까지 하는지 하는 생각마저 들어요.
    여기는 꼭 지켰음 좋겠건만. 정말 평화 행정대집행이라니.....mb스러움의 절정이네요. 이중성과 유체이탈스러움.

  • 2. 베스트로라도 가게
    '12.8.7 2:00 PM (14.56.xxx.130)

    베스트로라도 가게 댓글 남겨요.

  • 3. 비형여자
    '12.8.7 2:12 PM (175.213.xxx.192)

    땅도 생명체와 다름 없을텐데..갈가리 찢겨지는 모습이 눈 앞에 보이는 듯 하여 너무나 안타깝고 슬픕니다..

  • 4. 지방 내려갈때
    '12.8.7 2:36 PM (211.112.xxx.40)

    두물머리 쪽을 거쳐서 가끔 지나갈 때 있는데 어찌나 아름답고 좋은 곳이었는지..

    꼭 지켜지길 바랍니다.

  • 5. 당쇠마누라
    '12.8.7 2:55 PM (124.63.xxx.7)

    강물이 오염되지 않도록
    농민들이 유기농 농사를 지을수 있기를
    원주민이 쫓겨나지 안ㄹ기를 소망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9959 신문배달할때 엘리베이터 눌러놓는거요 2 ... 2012/08/09 1,386
139958 여름제사 도와주세요 5 보리수 2012/08/09 1,303
139957 점심 뭐 드시나요? 14 더워요. 2012/08/09 2,052
139956 "박근혜, 정수장학회-유신관료에게 후원금 받아".. 1 샬랄라 2012/08/09 779
139955 사시 교정은 3 사시교정은 2012/08/09 994
139954 세얼간이 같은 영화 추천해주세요 19 중3 2012/08/09 5,795
139953 정수장학회 이정도 인지 아셨어요? 1 샬랄라 2012/08/09 2,291
139952 밥할때 어떤 잡곡들 섞어 먹어야 맛나고 좋나요? 15 어떤 콩이 .. 2012/08/09 2,599
139951 마데카솔 후시딘 둘중에 뭘 살까요? 5 연고 2012/08/09 2,596
139950 아이들 올림픽 중계 라이브 보게 하시나요? 2 15세 2012/08/09 634
139949 로즈힙오일 vs 바이오오일 어느 선물이 좋으세요? 3 한표 부탁해.. 2012/08/09 2,520
139948 이런 사람들도 있다는 걸 알게해줘서 감사해요 33 82의 유혹.. 2012/08/09 5,310
139947 10개월 아기가 버터를 먹어도 되나요? 7 리소또 2012/08/09 7,475
139946 20대 청춘이 마냥 즐겁지만 않아요. 9 즐거움이뭘까.. 2012/08/09 1,872
139945 요즘 제이 잼있게 보는 프로게 '달라졌어요'에요. 4 TV 2012/08/09 1,519
139944 영구치가 부족해요 5 치아관리 2012/08/09 1,649
139943 잉글레시나 지피프리 사용하시거나 사용해보신분 계시면 좀 봐주세요.. 6 유모차 질문.. 2012/08/09 1,805
139942 결혼선물 뭐가 좋을까요? 3 선물 2012/08/09 943
139941 구더기는 갑자기 어디서 나타나는 걸까요????????? 6 비위상함주위.. 2012/08/09 3,841
139940 우와!엘지 구본무 회장이 양학선 선수한테 5억이나 46 ... 2012/08/09 13,681
139939 [원전]홍콩서 日산 오트밀서 caesium-137 검출 4 참맛 2012/08/09 1,072
139938 은마아파트 배달..조금 궁금해서요 15 ... 2012/08/09 3,002
139937 해외 구매대행 할때요 4 나나나 2012/08/09 894
139936 억울하게 죽은 텐프로 그 여자.. 54 분석 2012/08/09 29,578
139935 본 도시락 맛이 어때요? 4 한번쯤 2012/08/09 1,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