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사 비용. 얼마씩 분담하시나요?

비용 조회수 : 6,924
작성일 : 2012-07-25 13:35:46
아랫동서 가 둘 있는 맏며늘이에요
제사가 1년에 두번 있어서 많지는 않아요
그런데 두번 다 여름이라.음식하는것도 쉽지않네요
동서는 둘 다 지방 살아서. 신랑이 출근해서 애 데리고 혼자 오
기 그럿다고 안 옵니다. 주로 평일에 제사가 많거든요

제사비용 은 각 5만원씩 받고. 명절때는 식구들 많이 오는 관계로 10만원 받아요. .시누들은 명절이나 제사때 오지 않는 동서들한테 모라 말 좀 하라고 하지만. 말해봤자 대답이 뻔하니 말하기 실은거죠

시아버님도 모라 안하는데 제가 나서서 말하기도 그렇구요

10년넘게 제사를 거의 혼자 음식하다보니 이젠 슬슬 짜증이 나네요ㅠㅠ

다른집 들은 제사비용 얼마씩 분담하시나요?

이번주에 제사 있어서 과일 사려고 봤더니 상당히 비싸네요ㅠ

다음 제사 때는 비용 좀 더 내라고 말해야할것 같은데(음식해서 본인들이 먹는것도 아닌데 좀 더 내라고 함 좀 그럴까요?
IP : 223.62.xxx.142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원글님네가
    '12.7.25 1:38 PM (58.231.xxx.80)

    재산 받으거 많거나 형편이 넉넉하면 원글님네가 좀더 부담 하시고
    아니면 1/N 하는게 맞다 생각 하세요
    그런건 맏며느리가 대차야 한다 생각해요
    아버님 돌아가시면 돌아 가면서 제사 지내던지 아니면 도우미 비용이라도 더 내라고 하세요

  • 2. 글쎄요.
    '12.7.25 1:39 PM (14.37.xxx.90)

    제사라고 동서한테 돈을 따로 걷어야 하나요?
    저희는 시부모님이 알아서 다 하시던데... 장보고 음식하는거..모두 시어머니가 하심..
    그마저도 시가부모님 돌아가시면 아예 안할건데요.. 저희도 장남..
    뭐..이런집도 있다구요...

  • 3. ...
    '12.7.25 1:40 PM (115.22.xxx.33)

    그래도 5만원이라도 받네요.
    전 전화는 커녕 함흥차사입니다.
    친정에는 효녀심청이라던데요.
    동서 결혼 10년쯤되서 너무한다싶어서 제사날짜적어주니까,
    난 형님처럼 안살아요. 인터넷주문하면되는데 왜 그렇게사세요?하고
    두눈똑바로 뜨고 따지데요.
    인간취급안하기로했습니다.

  • 4. ..
    '12.7.25 1:42 PM (59.19.xxx.155)

    울형님은 재산 다 가져가고 지금 시부모 요양비 무조건 똑같이 내고있어요 제사비용은 밑에 동서들이

    알아서 내라고 하네요,,울형님은 완전 도 둑 x 이거든요,,,형제들 돈 가져가서 무조건 안 줘요

  • 5. 메아쿨파
    '12.7.25 1:43 PM (110.10.xxx.114)

    저희는 삼형제가 계를 해서 다달이 3만원씩 모아 제사와 명절제사 다 치러요. 총 7번인데...형님과 동서는 맞벌이라서 중간에 전업인 제가 음식 일찍 가서 음식하는 경우가 많고..ㅜㅠ물론 제사 후의 뒷설거지는 나눠서 하구요. 돈은 같이 내면서 제사 지내고 음식 잘 안싸줘서 좀 불만이에요. 제사 음식 가져오면 한두끼 정도는 반찬 안해도 되서 좋은데...ㅜㅠ

  • 6. 파란장미
    '12.7.25 2:06 PM (49.132.xxx.11)

    헉.. 둘째며느리인데.. 한번도 제사라고 돈 보내본 적 없습니다..
    명절때는 어머님께 넉넉히 드립니다..(외국이거든요..)

    부끄럽지만 제사가 언제언제인지도 잘 모른다는..(좀 많기는 한던데..)

  • 7. ..
    '12.7.25 2:08 PM (203.228.xxx.24)

    지방에 살면 평일 제사는 못오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지방 살아서 못 오는데 한소리 들어야 되는게 대한민국 며느리 현실이군요. ㅠㅠ
    이런 불합리한 관습을 누구 마음대로 만들어놓고 며느리들 골병을 들게 하는건지.
    저도 맏며느리. 제사 정말 정말 싫어요.
    시부모님 돌아가시고 나면 3년 정도 지내고 다 없애려고 맘 먹고 있어요.
    정말 이런 짓을 더이상은 하지 않겠다고 다같이 선언해야 됩니다.
    제사 비용은 보통 주는대로 받죠.
    얼마를 내라고 하는 경우는 못 봤네요.

  • 8. ;;;;;
    '12.7.25 2:32 PM (125.181.xxx.2)

    시어머님이 정해 주셨습니다. 10만원........ 명절에는 20만원......
    보통 윗사람이 정해 주는게 편합니다.

  • 9. 없는
    '12.7.25 2:55 PM (125.191.xxx.39)

    집 장남(받은 건 십원 한 장 없고 준 것만 있음)에 아랫시누만 셋,

    결혼 후 지금까지 30년 동안 제사, 명절 비용 모두 대고
    10년 전부터 제사 주관?하고 있는데 시누들한테 딱 30만원(시아버지 제사) 받아 봤네요.
    자기 아버지 제사 때도 잘 안 오는 사람들이니.....
    이젠 남이다,생각하고 삽니다.

  • 10. 이글의
    '12.7.25 8:27 PM (125.128.xxx.98)

    리플은 다 좀 이상한 사람들이네요

    며느리라서 돈을 내는게 아니고 ..
    아들이라서 내는거고.. 남편 대신 주는건데..
    나는 안보낸다고들 하시니..
    본인 남편들이 아들역활을 제대로 안하는거 아닌가요..이건,, 반칙...


    큰형님이.
    재료비 얼마, 음식만드는 수고비 얼마.
    나 얼마 .. 밑에 동생들얼마..
    그렇게 해서 .. 나눠야 맞는거 아닌가요..


    당연..재산은 모두 같이 나누고..


    아랫동서님들..난 안준다 마시고..
    눈치껏 형님께.. 제사비용 등 넉넉히 보냅씨다..
    차비 안들여, 고생안해.. 그것만 따 져도 얼만데.
    딱 재료비만 보낸다니...

    그게 정상인줄 아는 ..윗님들이 ..난 참 이해가 안되네요

  • 11. 이어서
    '12.7.25 8:28 PM (125.128.xxx.98)

    글쓴님 위로차 .. 이리 썼습니다..
    위로가 좀 되시길..

  • 12. 원글
    '12.7.25 10:48 PM (115.137.xxx.20)

    입니다. 재산은 아예 없구요. 결혼함 서 홀시아버님 모시고 산지 14년 됏어요

    모든 첫걸음이 중요한거라고. 기일이 언제인지도 모르고 제가 얘기해야 돈 부치는 동서들이 참 부럽더군요.

    시어머니 대신 하려니 짜증도 나구요.ㅠ

    댓글 들 감사합니다,

  • 13. 여름
    '12.7.25 10:54 PM (59.19.xxx.159)

    우리 시댁은 10만원씩 냅니다.
    며느리가 세명에 큰며느리, 동서는 멀리 산다고
    못올때도 있고 저는 가까이 살아서 제사, 명절장
    제가 다 봅니다. 못오면 돈은 통장으로 부칩니다.
    지방사는 며느리가 제사에 못오면 한소리 듣는게 가까이 산다는 이유로 모든걸 다해야 하는 며느리만 못할까요. 전 차라리 한소리 두소리 듣고 혼자 일하는 또 다른 며느리한테 웃돈이라도 얹어서 보내고 몸은 편하고 싶습니다.
    제사비용 안내시는 분들은 시어른이 알아서 해서 그런건지 아니면 아무말도 안하니 그냥 모르쇠로
    일관하는 건지 부러우면서도 궁금합니다.

  • 14. 천년세월
    '20.1.25 1:54 PM (223.39.xxx.206) - 삭제된댓글

    얌체들...
    제사 참여안하는게 미덕이래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9022 고구마줄고 볶음 하려는데 데쳐서 볶나요? 5 요리고수님들.. 2012/08/14 1,259
139021 털잔뜩 복숭아 ;; 6 복숭아 2012/08/14 1,874
139020 뽀로로 테마파크 vs. 코코몽 놀이터 어디가 나을까요? 6 .. 2012/08/14 1,751
139019 아시아 각국 역사에 대한 책을 읽고 싶은데 추천좀 부탁드려요 4 .. 2012/08/14 651
139018 일산 코스트코 클로에 쇼퍼백 4 앨리스 2012/08/14 2,546
139017 세금 많이 내서 남의 애들 양육비 댄다는 말은 구라입니다. 21 세금 2012/08/14 2,408
139016 받은대로 갚아주마~ 주의의 남편때문에.. 10 지쳐가요 2012/08/14 2,615
139015 ‘안철수’를 찾는 사람들 3 샬랄라 2012/08/14 763
139014 초등문제집구입시.. 1 초등수학. 2012/08/14 847
139013 나만의 하루가 생기면 뭐하고 싶으세요? 6 ^^ 2012/08/14 1,306
139012 사랑아사랑아...요. 7 드라마 2012/08/14 2,104
139011 이런 가방이 꼭 갖고 싶은데 정말 없네요 인터넷 다 뒤져봐도 49 레몬티 2012/08/14 11,603
139010 알콜중독자 가족을 위한 치료는 없을까요? 5 슬픔 2012/08/14 3,451
139009 최근에 '예스24'에서 책 주문한 적 있으신 분~ 4 혹시 2012/08/14 1,557
139008 어느 대학생의 눈물의 참회록 나는 생지옥을 경험하였다 3 호박덩쿨 2012/08/14 2,240
139007 한달식비? 4인가족 7 a 2012/08/14 2,242
139006 성조숙증 1 성조숙증 2012/08/14 952
139005 토요일날 파마했는데, 내일 매직 하면 안될까요? 3 ........ 2012/08/14 1,502
139004 등기 안난 아파트 들어가도 되나요? 12 아기엄마 2012/08/14 2,814
139003 새우젓 안넣고 호박볶음 어쩌면 맛날까요? 8 반찬이없어요.. 2012/08/14 2,313
139002 부모님과 통영여행 1 여행 2012/08/14 957
139001 직업 1 미래고민 2012/08/14 784
139000 쉬는 5일 동안 뭘 하면서 보내면 좋을지 추천해 주세요~ 포로리 2012/08/14 610
138999 노인 지하철 공짜로 탄다지만 놀면서 화대로 수억씩 쓰는 거에 비.. 2 누구나 늙죠.. 2012/08/14 1,106
138998 세상에 집전화번호가 생각이 안나요 ㅋㅋ 4 .. 2012/08/14 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