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살림돋보기 콘도같은 집을 보고 궁굼한점이 있어요.

콘도 조회수 : 5,156
작성일 : 2012-07-16 15:51:32

저흰 거실이 넓어요.

 

거실벽에는 세로로 5칸/가로로 9칸 책장에 아이들 책이 가득 있고요.

공간이 모잘라서 라면박스 3개 정도는 책 분량이 지하 창고에 있고요.

아이 방에 책이 100권 소량 추가로 있고요.

거실 맞은편에 100권정도 있어요.

 

아이 나이터울이 4살 터울 이라 큰애 책을 판다고 팔았는데 이렇고요.

둘쨰는 별로 책을 안 좋아해서 큰애가 3살정도 읽었던 책을 아직 읽고 있고

큰애는 책을 좋아하니 계속 사주게 되고. 그러다 보니 수시로 남 주기도 하고 팔기도 하는데 이렇네요.

 

그리고 이케아 수납장 아시죠? 그거 키 높은 서랍장 5개가 가로로 쭉 나열되어 있어요.

그 서랍장 안에는 잡동사니. 서랍장 위에도 잡동사니... 난리도 아니죠.

예전에는 음악/병원/소꼽놀이/인형놀이 식으로 칸칸이 정리를 했는데

결국 한달도 안되어서 다 섞여요. 아이들이 이쁘게 한칸씩 빼서 놀지 않더라고요.

모든 잡다하게 뺴셔 노는걸 좋아하니 정리를 수시로 해도 어쩔수 없어요.

 

그리고 소형 흔들말1개/ 대형 흔들말1개/ 붕붕카 1개/ 지붕달린 붕붕카 1개/ 미끄럽틀과/ 실내 어린이 자전거가 거실에 있고요. 다행히 그네는 없어요. 아이들은 그네를 달아달라고 했지만 몇달 달고 나서 치웠네요.

 

아이들이 그림 그리는걸 좋아해서 거실 1m 45cn 테이블과 그리고 각종 미술도구가 상주해 있어요.

둘째는 그림 그리고 오리는걸 좋아해서 항상 거실이 종이 조각들이고요.

테이블 밑에는 여러 플라스틱 박스/ 그 안에는 다시 종이인형/ 공주놀이에 필요한 각종 기타 등등과/이면지함이 있고

테이블 옆에는 큰 플라스틱 2박스가 있는데 그 안에는 원목 소형 가구들이 가득차 있어요.

 

바닥이 차다는 이유로 대형 놀이방 매트가 2개 깔려 있고요.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종이 블럭이 왠만한 어린이집 수준으로 쌓여 있고요. 플라스틱 블럭들도 쌓여 있고요.

창가쪽에는 각종 소꼽놀이 주방대와 유모차들과 (유모차3개), 카트외 등등이 쭉 나열되어 있어요.

 

사실 아이들 더 많은 짐들(텐트/ 방방뛰는.. 그런 짐 많이 차지하는 물건들/대형 칠판과 안쓰는 장난감 등)은 지하에 있어요.

 

여기까지는 푸념이고요.

 

대체 아이가 몇살이 되면 저 물건들이 다 없어질수 있나요?

둘째가 5살인데요. 1학년 딱 입학하면 저는 다 갖다 버릴수 있나요?

저도 콘도 같은집 하고 살고 싶은데요. 그럴려면 우선 거실이 본인의 기능을 찾아야 하는데..

아침/ 소파도 거실에 있어요...

 

기타 등등의 퍼즐(항상 돌아다니는..)과 레고 큰거/작은것/ 그외 블럭들은 넣지도 않았어요.

그리고 여자 아이들이라 보석함/소형인형집들.. 소형 궁전들.. 이런것도 바닥에 쭉 나열되어 있을수 밖에 없네요.

 

언제가 되면 저 물건들이 다 엎어질수 있을까요?

주말마다 청고할때면 싹 갖다 다 버리고 싶어요.

IP : 218.152.xxx.206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콘도
    '12.7.16 3:56 PM (218.152.xxx.206)

    그리고. 둘째가 핑크색을 좋아하는데. 이케아 장도 그렇고 책장도 그렇고 핑크 크레용으로 보이는데마다 색칠을 해 놓았고, 소파에도 그림을 그려 주셨고,

    그냥 거실 보고 있음 흉가 같아요.
    집에 그릇도 없어서 서랍장 텅텅 비어 있고, 침실에도 짐이 없는데 거실은 답이 없네요.

    아이들이 장난감 갖다 버리지도 못하게 하고요. 저 장난감을 아직도 갖고 놀아요. 미끄럼은 아직도 좋아하고. 흔들말은 시이소처럼 둘이서 타기도 하고...

  • 2. DD
    '12.7.16 4:00 PM (175.114.xxx.40)

    저희 애들 5살 터울이예요.
    다 아이방에 놓았었어요. 그리고 많이 사지도 않았죠.
    와..그게 다 돈으로 얼마일까요? 뭐 이건 제 혼자만의 생각이구요.

    저는 애들 방에 넣어놓고 거기서 놀게하고 스스로 치우게 하고,
    거실에서도 놀고서는 같이 치웠어요. 놀이식으로 치우면 금방 치워요.

  • 3. 애기
    '12.7.16 4:02 PM (110.9.xxx.208)

    애기 어릴땐 어쩔수 없는것 같아요. 그집은 어른만 주거하는 공간이기때문에 그런것 같아요.
    그리고 아이를 키웠던 집은 식구가 많고 또 그 아이로 인한 짐도 많기 때문에 사실상 2인이상 가구는 그런 비쥬얼이 나오기 어렵구요.
    저희 엄마도 저희 모두 시집장가 나오고 난다음 새로 입주한 아파트는 그런 모습으로 꾸미고 사시더라구요. 깨끗하게.
    아이들이 읽었던 책. 그리고 그렸던 그림. 이런것들이 솔직히 버리기 어려운거잖아요.
    아이들이 성장해서도 베넷저고리 한벌 양말 한개씩은 가지고 있어야 겠고..
    뭐 그런것들이 알고보면 짐이죠..뭐.
    저희집도 아이들이 다 컸는데도 그러네요.
    장난감은 다 커서도 놀아요. 참고로 말하면 엄마가 안버리고 놔두면 고딩때도 장난감은 좋아해요.

  • 4. 콘도
    '12.7.16 4:03 PM (218.152.xxx.206)

    헉.. 그럼 미끄럼이나 흔들말이나 붕붕카 그런건 언제쯤 팔수가 있죠?

    초등 2학년 딸 아이가 아직도 미끄럼을 다턴데요?
    과감하게 갖다 버리는건가요?

  • 5. ..
    '12.7.16 4:08 PM (110.9.xxx.208)

    ㅎㅎ 미끄럼틀 흔들말은 처분하셔도 될듯요. 저는 엉덩이가 미끄럼틀에 안맞는 순간. 바로 누구 줘버렸거든요.그게 둘째 초1정도였을거에요.

  • 6. 초등
    '12.7.16 4:10 PM (118.46.xxx.27) - 삭제된댓글

    3학년쯤 되니 유아기때 장난감은 싹 정리되고 필요한 것만 남겨놔도 억울해하지 않네요
    좀만 더 참으세요

  • 7. 공감
    '12.7.16 4:25 PM (59.16.xxx.12)

    저희집 얘기같아요 ㅜㅜ
    거실책장이 대부분 남편책라는거 제외하구요
    장난감은 대책이 안서네요

  • 8. ㅇㅇ
    '12.7.16 4:35 PM (112.170.xxx.167)

    각자의 책은 각자의 방에
    장난감도 아이 방에만
    큰애 어릴 때 덩치 큰 장난감 아예 안 사줬고
    작은애는 남자애라 노는 게 달라서 미끄럼틀 정도 사줬네요. 학교 들어가면 싹 치우려 해요.
    콘도 수준은 못되어도 항상 정돈되어 있는 편
    교구나 장난감 사는 거 좋아하면 집이 아무리 넓어도 정돈 안 될 것 같아요

  • 9. 콘도
    '12.7.16 4:39 PM (218.152.xxx.206)

    맞아요. 뭔가 대책은 세워야 하는데
    둘째가 내년 되어도 겨우 6살이라 답이 없어요.

    3학년이라면... 5년만 참으라는 말씀이신데
    5년만 T.T

  • 10. 위로
    '12.7.16 6:28 PM (115.137.xxx.221)

    콘도같은 집보다는 적당히 어질러진 집에서 아이의 창의력이 자란답니다...
    콘도같은 집에 너무 집착하지 마세요...
    내가 편하게 사는게 최고지요

  • 11. 우리집 콘도
    '12.7.16 8:11 PM (220.124.xxx.131)

    7살 3살 있는 집인데요. 거의 콘도처럼 해놓고 지내요.
    큰 애 장난감이랑 책은 아이방 하나에 이케아 장 큰거 두 개 눕혀서 다 꽂고. 그 위에 수납함에 장난감 종류별로 넣어서 착착 쌓아놓고. 큰 장난감은 없습니다.
    거실은 작은 티비. 그 옆에 아기체육관과 보행기 하나. 큰 소파. 끝.
    아이들 물건이 너무 많다는 생각은 안하시는지..
    저는 부엌 수납함이 좀 많아서 퍼즐. 보드게임. 그림그리는 도구는 거기다 넣고 할 때만 꺼내서 한 다음 다시 쏙 집어넣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2777 마작자리 여름에 대박이네요 8 ... 2012/07/20 6,979
132776 직장이 사람을 상대하는 곳인데 5 꽃분홍 2012/07/20 1,636
132775 차라리 주량이 줄면 좋겠어요. 3 햇볕은 쨍쨍.. 2012/07/20 1,300
132774 병원가서 상담만 해도 비용이 나오나요? 8 궁금 2012/07/20 4,740
132773 시어머니와의 합가 고민입니다 15 가난한 맞벌.. 2012/07/20 5,503
132772 결혼자금 질문글 1 결혼 2012/07/20 1,775
132771 나꼼수 봉주 16회 버스 다시 갑니다 8 바람이분다 2012/07/20 1,543
132770 어제 박찬호 정말 속이 무지무지 상했을 것 같아요. 4 야구야 2012/07/20 3,184
132769 급)달팽이 감자나 가지 먹나요? 5 .. 2012/07/20 3,340
132768 부산 문현동 금융타운..상가투자 괜찮을까요? 질문 2012/07/20 1,402
132767 수도권에서 휴가를 어떻게 보내실건지요??? 2 휴가안가시는.. 2012/07/20 1,290
132766 빨래하다 이런 적 꼭 있다 완전 공감 ㅋㅋㅋㅋㅋㅋㅋㅋ 18 Ann 2012/07/20 23,207
132765 세입자가 문을 안 열어줘요 1 집주인 2012/07/20 2,968
132764 부산에 정기적으로 1 부산 2012/07/20 1,197
132763 나이들면서 생기는 변화들.... 1 저만그래요?.. 2012/07/20 2,665
132762 ??????? 1 포로리 2012/07/20 1,309
132761 제습기 사용시 전기요금... 4 ^^ 2012/07/20 3,559
132760 요즘 피자 어디가 맛있나요? 4 ... 2012/07/20 2,003
132759 제가 한 작업에 대해 리뷰하지 않겠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17 asdf 2012/07/20 3,234
132758 다들 실비보험 어느정도..? 8 다크서클이 .. 2012/07/20 2,022
132757 [답신] jk 수고하셨습니다. 14 백의종군 2012/07/20 4,303
132756 먹으면 살빠지는케이크 웰빙 2012/07/20 1,252
132755 근력운동을 유산소보다 먼저 하는 건가요? 1 다이어터 2012/07/20 1,703
132754 7월 20일 [손석희의 시선집중] “말과 말“ 세우실 2012/07/20 1,204
132753 기침에 좋은거 뭐 있을까요~ 3 .. 2012/07/20 1,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