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즘 깡통아파트라는 말이 많이 나오는데요

운지 조회수 : 5,436
작성일 : 2012-07-13 16:04:43
몇년 전 부동산 버블이 있던 시기에 빛을 무리하게 내서 비싼 아파트를 샀다가, 빛도 못 값고 집도 날리는 사람들의 처지를 빗대서 하는 말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모멸적인 표현에는 아파트라는 주거시설에 대한 총체적인 회의론까지도 깔려 있는 듯 합니다. '이제 아파트는 한물 갔다'거나 '아파트는 대지지분이 작아서 세월이 흐르면 감가상각 되고 깡통 된다'는 식의 논리죠.

그런데 아파트가 깡통이 되면, 단독주택이나 다세대나 연립도 똑같이 깡통이 되는 게 수순입니다. 또한 세월이 흘러서 낡는 건 아파트나 단독이나 다세대나 연립 다 마찬가지입니다.

아파트가 싫다고 다세대를 선택할 사람은 없을테고, 대안은 단독일텐데.. 서울 요충지에 단독주택 사려면 가격이 상상을 초월합니다. 상위 0.1%가 아니면 힘들겁니다.

그렇다고 수도권 외곽 전원주택? 이건 아파트보다 더 깡통이 됩니다. 아파트야 가격이 폭락해서 그렇지 환금성이라도 있지만, 전원주택은 거래마저도 안됩니다.

물론 아파트의 대지지분이 작은 건 사실입니다만, 어차피 때려부수고 재건축해서 일반분양 왕창 받을거 아니면 대지지분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즉 단독주택이 대지지분이 많기는 하지만, 그 단독을 부수고 대지지분을 활용해 원룸이나 다세대를 올려서 월세를 받아먹을게 아니라면 대지지분이라는 것도 뜬구름이나 마찬가지라는 겁니다.

만약 대지지분 많은 아파트가 낡으면? 이미 용적률이 높기 때문에 재건축 과정에서 많은 일반분양은 불가능할테고, 1:1 재건축을 하거나 대수선 리모델링을 하거나, 증축 리모델링을 해야 할겁니다. 

이 경우 집주인들의 재정상황에 따라 방향이 달라지겠죠. 집주인들이 돈이 썩어넘치게 많은 동네라면 분담금 3~4억원씩 각오하고 1:1 재건축을 할 것이고, 그게 아니라면 배관 및 보일러, 도색, 철근 보강, 주차장 리모델링 정도에 그치는 대수선 리모델링을 하겠죠. 기존에 모아둔 수선충당금에 합쳐서요. 그런데 이건 아파트 뿐 아니라 다세대나 단독주택도 마찬가지입니다. 오히려 리모델링 비용에서는 수백가구가 모여 있는 아파트가 한꺼번에 공사를 하는 것이 단독보다 더 싸게 먹힐 수도 있죠. 

따라서 현재 초토화된 부동산 시장의 실상을 표현할 때 '아파트는 한물 갔다'고 하는 것 보다는 '주택은 한물 갔다', 또는 '부동산은 한물 갔다'고 하는 게 설득력이 있을 듯 합니다.

IP : 121.166.xxx.135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2.7.13 4:07 PM (115.21.xxx.185)

    단독주택은 '대지지분'이 있는 게 아니라 '등기 된 자기 땅'이 존재합니다.
    아파트는 자기 땅이 없어요. 건물만 있는 거라서 사실상 '부동산'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건물을 허무는 순간, 아파트 소유자분들에겐 땅은 사라지는 거에요.
    자기 땅 지분에 자기 마음대로 뭘 할 수 없어요.

    아파트 소유자분들이 착각하시는 게 '대지지분 = 내 땅'이라는 겁니다.
    두 개는 법적으로 아예 달라요.

  • 2. ...
    '12.7.13 4:34 PM (218.236.xxx.183)

    전원주택이 들어갈 때 마음하고 달리 이래저래 나오는 분들도 많고
    막상 팔려고 하면 들어간 돈도 못받는 일 많은건 맞아요...

  • 3. ㄹㄹ
    '12.7.13 5:51 PM (110.14.xxx.201)

    뭐 이런 생각하시는 분은 하는거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1729 프랑스 파리에계신 82님들께 여쭤볼려는데요~~ 3 궁금 2012/07/17 2,017
131728 얼어버린 상추 구제 방법이 있을까요 ㅠㅠ 8 건망증 2012/07/17 15,687
131727 쥐동설 5 샬랄라 2012/07/17 1,318
131726 정치메시아 안철수 씨가 12월 대선에서 승리한다고 정감록에.. 5 paran5.. 2012/07/17 2,246
131725 베이비시터 퇴직금 2 궁금 2012/07/17 4,998
131724 캐리비안베이...준비물중 아쿠아슈즈... 8 rksl 2012/07/17 7,779
131723 베이비시터.. 소개해 주실 분 안계신가요? 3 구합니다. 2012/07/17 2,245
131722 치아의 금으로 떼운 부분이 다 벗겨져버렸는데 치과에도 책임이 있.. 4 나오55 2012/07/17 2,468
131721 서울에서 아이 다섯과 엄마 네명이 놀 수 있는 방(?) 있을까요.. 9 동이 2012/07/17 2,362
131720 (급)애플 ID만드는 법 좀 알려주세요 꿀벌나무 2012/07/17 2,087
131719 구기자 4 ㅠㅠ 2012/07/17 2,500
131718 부가세 신고 관련 질문입니다(초보) 8 궁금... 2012/07/17 1,723
131717 코스트코 커피중에 더치로 내릴만한 커피? 4 더치커피 2012/07/17 2,255
131716 감자탕? 끓이는중인데, 우거지가 없어요. 9 급질 2012/07/17 2,321
131715 베이비시터 이모님 급여인상 질문이에요. 7 질문 2012/07/17 3,171
131714 사는게 너무 외로워요....... 4 살구56 2012/07/17 4,495
131713 베스트글 어디서 찾을 수 있나요? 4 예전 2012/07/17 1,280
131712 가정식 어린이집이요.. 4 나야나 2012/07/17 1,878
131711 아이들이 좋아할 한그릇 음식 추천 부탁 드려요 4 음식 2012/07/17 2,335
131710 신랑의 장난ㅔ 5 제발 2012/07/17 2,257
131709 `광우병 발생시 즉각 수입중단' 법안 논란 7 세우실 2012/07/17 1,555
131708 부산분들 답해주세여~~ 22 장미 2012/07/17 3,896
131707 발레동작 배울만 한곳 3 2012/07/17 1,804
131706 매실액에 거품이.. 수국 2012/07/17 3,146
131705 도자기 그릇은 어떤가요?? 2 새댁 2012/07/17 2,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