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무상보육이 왜 필요한가요?

??? 조회수 : 3,578
작성일 : 2012-07-04 22:25:56

저도 7살 5살 애키우는 전업주부 엄마 입니다.

도대체 무상보육이 왜 필요합니까?

엄마가 전업주부인데 왜 국가에서 지원을 해주면 어린이집에 애를 맡기라고 하나요?

직장을 다니는 분이라면, 당연히 보육기관이 필요하거나 도와주는 분이 필요합니다.

아이키우면서 수많은 육아서적을 읽었지만 그 모든책이 36개월 까지는 엄마의 사랑이 가장 필요한 시기이고

애착관계가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되도록 엄마가 키우도록 하라고 합니다.

어느 교육이론에 근거해서 전업주부도 소득에 상관없이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기지 않으면

나만 손해 보는 시스템을 만들도록 했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오히려 직장맘들이 늘어난  아이들때문에 보낼곳이 없다더군요.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보육기관이란 엄마가 아이를 볼수 없는 사정이 있을때 대신해주는 기관아닌가요?

그럼 엄마가 아이를 볼수 없는 사정이 있는 아이만 지원을 해주면 되고,

그것도 저는 엄마의 소득이 높다면 지원해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요.

엄마의 소득이 천만원인데 이십만원 지원해줄 필요있나요?

서초구가 무상보육 지원금이 고갈될 처지에 있다는 기사를 보고 그 지원 금액의 어마어마함을 보고

그 돈이면 아이들 급식질도 높일수 있을것이고, 장학금 지원도 해줄수 있을것이고 얼마나 많은 일을 할수 있을까 싶어

화가 나려고 해요.

저만 이리 생각하는 건지요...

어린 아기들 보육기관에 맡기는게 뭐가 좋다고 전업주부까지 맡기라고 지원을 해주는건지...

왜 소득제한은 하지 않습니까.... 상위 30% 제한은 왜 없앴건지...

IP : 1.235.xxx.86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러니
    '12.7.4 10:29 PM (110.70.xxx.117)

    그러니 ㅂㅅ같은 정부에 ㅂㅅ같은 정책이죠

  • 2. ..
    '12.7.4 10:31 PM (112.186.xxx.17)

    저도 솔직히 그건 아직 시기상조 같던데요..
    그 돈으로 차라리 직장 다니는 엄마들 편하게 보육시설이나 더 늘리고 그랬으면 좋겠어요

  • 3. ..
    '12.7.4 10:33 PM (124.51.xxx.163)

    저도 원글님 같은 생각이들더라구요..
    눈가리고 아웅 하는 정책때문이죠..
    근본적으로 교육을개편해야하는데 반발이많잖아요..
    학원등등.. 유치원무상교육한다고 애더낳을사람도
    소수일뿐이고 이걸로는 애안낳는문제 해결되지않지요..

  • 4. 저도
    '12.7.4 10:33 PM (220.93.xxx.191)

    정말 화가납니다.
    그게 진정 누굴위하는것인지
    직장다니는데 근처에 구립은 다닐수가없어요
    사설보내고 그것도 마을버스로 6정거장
    매일데려다주고 데려오고
    회사가는 반대방향이라 시간도 시간이고
    너무 지쳐요
    둘째요~낳을 생각도 없네요ㅜㅜ

  • 5. ..
    '12.7.4 10:36 PM (203.228.xxx.24)

    영아기는 가정보육이 가장 좋죠.
    만 24개월 아동까지는 아동양육수당으로 해서 집에서 키우던 어린이집에 보내던 같은 금액을 부모 통장으로 바로 쏴주는게 가장 좋아요.
    그럼 안 다니는 아이 등록해놓고 보조금 받는 일부(극히일부) 어린이집 비리도 원천봉쇄됩니다.
    그 간단한 방법을 왜 안하는지 이해불가.

  • 6. 그게요
    '12.7.4 10:37 PM (110.47.xxx.150)

    그런 측면에서 보면 .... 무상보육 자체를 없애야 해요.
    사실... 전업엄마들 경우.
    육아를 위해 직장을 포기한 경우도 많잖아요.
    남의 손에 맡기나 내가 키우나 그 돈이 그돈이라고.
    근데 육아가 아닌 직장 다니는 사람들 역시 자기 선택에 의해 육아를 남에게 맡기기로 했으면 그비용은 자신이 책임지는게 맞죠.
    직장 다니면서 돈은 돈대로 벌고 육아비용은 나라에서 대준다 그럼 전업하는 사람들 역시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 밖에 없겠죠.
    육아가 더 체질에 맞아서 육아를 택한 사람들은 당연히 무상보육을 해도 자기 손으로 기를 거예요.
    근데. 돈을 벌고 싶고 벌어야 하지만. 육아의 책임을 더 크게 느껴서 육아를 했던 사람들은
    아이를 맡기고 돈을 벌기 위해 구직활동을 하거나 구직을 위한 자기 계발을 하거나
    또는 애가 많아서 혼자 힘으로 육아가 힘든 사람들은 도움을 받으려고 하겠죠.
    비용의 문제때문에 도움을 받고 싶어도 받지 못했던 사람들이 받는다고 봐야지.
    전업이 애 맡긴다고 ...애보기 싫어서 놀고 싶어서 맡긴다고 하는 건 좀...그래요.
    제도 시행이 좀 주먹구구식으로 돼서 효과를 제대로 못보고 있다고 봐야지.
    그렇다고 직장다니는 사람들만 혜택을 주는 건 아닌거 같아요.
    없던 것으로 돌리고 맞지.

  • 7. sssss
    '12.7.4 10:37 PM (218.52.xxx.33)

    야당에서 무상보육 정책 얘기 먼저 꺼내고 반응 좋은 것처럼 보이니까
    정부에서 먼저 시도 하겠다고 나섰고 ..
    아주 개판으로 만들어서 아이들에게 전혀 도움이 안되는걸 후다닥 실행 시킨거지요.
    무상도 아니고 실제로 각 가정에서 지원 받는 금액 이외에 내는 돈도 십여만원 되는데,
    '전면무상보육'이라는 이름으로 잘난척도 몇 개월밖에 못하네요. ..
    지원 받는다고 어린 아기 맡기는 엄마들은 지원 못받으면 집에서 자기가 아기 데리고 있으면서도 제대로 된 보육은 안하는 무리들일테니 그 엄마들 얘기는 따로 꺼내기도 심난하고요.
    이건 차등 지원이 맞는 문제라고봐요.
    타이틀에만 연연하고 혹세무민 하는 것 좀 그만 했으면 좋겠어요.

  • 8. ....
    '12.7.4 10:37 PM (1.238.xxx.180)

    음. 전 학교다니는 전업주부인데요....
    저도 무상보육 반대합니다..

    그냥 제 돈 주고, 아이 어린이집이나 기관에 자유롭게 맡길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전업주부가 집에있으면서 왜 무상으로 맡겨? 이런 시선안받게요.
    그냥 내 돈 내고 맘 편하게 맡기고 싶습니다.

  • 9. ...
    '12.7.4 10:37 PM (168.154.xxx.35)

    진짜 눈가리고 아웅하는 정책들때문에...

    왜 사람들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이상한 정책을 하는걸까요?

    대선이 중요...

  • 10. 마니또
    '12.7.4 10:39 PM (122.37.xxx.51)

    시기상조라기보단 우리실정에 안맞는 정책이었죠
    실업문제로 결혼미루고 애안낳으려하는데 출산정책이라뇨
    당장 실업문제부터 풀어야죠
    무상급식도 조정해야되구요

  • 11. 겉만 번지르르
    '12.7.4 10:42 PM (121.134.xxx.90)

    선심성 무상정책을 너무 남발하는 것 같아요
    공짜라고 무조건 다 반길수는 없는데 말이죠
    그 비용들이 결국은 어디서 나가겠습니까...
    현실을 무시한 비효율적인 정책들로 인한 부작용은 고스란히 국민의 몫이구요

  • 12. 이 정책
    '12.7.4 10:46 PM (110.14.xxx.215)

    발의자나 사인한 인간이나 쓰레기예요.

  • 13. ..
    '12.7.4 10:47 PM (183.98.xxx.151)

    고등학교도 무상교육추진하겠다던데..
    곽노현님... 다른 중요한것도 많아요
    고등학교 무상교육은 누구 돈으로 하나요?
    짜증나요

  • 14.
    '12.7.4 10:50 PM (110.47.xxx.150)

    보편적 복지를 반대하는 편은 아닌데.
    그냥 생각나면 안건내서 시행하지 말고
    예산을 좀 충분히 마련하고 시설도 확충하고
    모두가 맘편하게 누릴 수 있을 때 시행하면 얼마나 좋을까요.

  • 15. 콩나물
    '12.7.4 11:02 PM (211.60.xxx.10)

    저도 그럴돈 있음 돈없어서 고등학교 졸업 못하는 아이들 학비나 보태줬음 좋겠어요

    정말 말도 안되는정책이라고 생각해오

  • 16. 무상보육 찬성
    '12.7.5 12:29 AM (180.66.xxx.63)

    전업이라도 쉴 틈은 있어야 하잖아요. 애 키우느라 생긴 허리,어깨,손목 통증 치료 받을 수 있게 병원다닐 여유는 있어야지요. 잠시 기관에 가 있는 사이 집안일도 좀 하고 쉬게요. 문화생활도 누리면 어떠냐하면 돌 맞을 분위기인가요?

    만 24개월 아동까지는 아동양육수당으로 해서 집에서 키우던 어린이집에 보내던 같은 금액을 부모 통장으로 바로 쏴주는게 가장 좋아요. 22222222222 (기관 못 믿겠으면 아이 돌 볼 손이라도 빌릴 수 있게요)
    그럼 안 다니는 아이 등록해놓고 보조금 받는 일부(극히일부) 어린이집 비리도 원천봉쇄됩니다.
    그 간단한 방법을 왜 안하는지 이해불가. 222222222222222222222

  • 17. ..왜
    '12.7.5 6:12 AM (183.118.xxx.189)

    왜 세금은 같이 내는데 직장맘에게만 우선순위를 줘야하는지 돈은 자기가 벌고 애는 왜 나라가 키워야 하나요

  • 18. ..
    '12.7.5 10:09 AM (121.186.xxx.42)

    나라를 위해서 돈 버는것도 아니고
    자기집을 위해서 돈 버는건데
    맞벌이라고 우선순위는 말이 안되지요
    소득수준별이 ㅣ맞다고 생각해요

    전업이라고 안되다는 논리는 너무 웃겨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8743 야구장 예매문의드려요 5 .... 2012/08/06 1,313
138742 아이라인 6 문신 2012/08/06 1,159
138741 너무 단 시판 단무지 어떻게 하면 되나요? 2 한번만 2012/08/06 936
138740 與, '공천헌금 수수' 의혹 현영희·현기환 제명 결정 (종합) 세우실 2012/08/06 597
138739 여기 글 보면 결혼생활 참 갑갑해보여요. 21 .. 2012/08/06 3,735
138738 안그러던 사람이 본인 와이프 자꾸 외모 지적하면... 6 .... 2012/08/06 2,915
138737 욕실누수인데, 실비보험 일상생활배상책임으로 보험료 받을 수 있나.. 9 메리츠화재 2012/08/06 13,005
138736 미혼으로 계속 살면 부모님과 함께 살아야하는 건가요? 10 .. 2012/08/06 4,671
138735 세탁기 청소용 세제로 세탁기 청소 해보신분! 3 더위 2012/08/06 3,427
138734 쿨매트 오프라인 파는 곳!! 에스오에스 2012/08/06 2,210
138733 오늘 부터 직장인 집에서 일하긴 하지만..(비위조심) 1주일의 휴.. 2012/08/06 861
138732 점심 먹다가 당함;;; 1 :-) 2012/08/06 1,621
138731 웃겨서 혼을 내기 힘드네요^^ 이럴때 어떻게 해야하는지 좀 알려.. 7 강아지 2012/08/06 1,785
138730 안검하수(눈꺼풀이 내려오는 증세) 수술 경험 나눠주세요 3 다 잘될꺼야.. 2012/08/06 2,898
138729 더운 여름에 출근복으로 뭐 입고 다니세요? 6 푸우 2012/08/06 1,793
138728 불가리스 6 일 지난거 1 ㅇㅇ 2012/08/06 701
138727 19평 복도식 에어컨 벽걸이 아니면 스탠드형? 뭐가 좋을까요? 16 고민 2012/08/06 6,399
138726 돌아가신 친정엄마가 자꾸 꿈에 나오세요. 6 바보 2012/08/06 10,221
138725 평범한 45세 세아이의 아빠로.... 6 160032.. 2012/08/06 3,455
138724 50살,60살이 되면 30살,40살때의 일도 그리운 추억이 되나.. 10 .. 2012/08/06 2,844
138723 이번에 구속된 이 여자 진짜 넘넘 예쁘네요 3 호박덩쿨 2012/08/06 4,017
138722 님들 아파트도 음식물쓰레기 봉투째 던져놓는 사람 많나요? 2 ㄴㄴㄴ 2012/08/06 1,586
138721 아파트 베란다방충망밖. 집앞벽에 벌이 집지어요.ㅠㅠ 8 얼음동동감주.. 2012/08/06 1,649
138720 너무 더우니 강아지 찌린내가 진동해요 9 ㅇㅇ 2012/08/06 3,392
138719 제주도 렌트카 추천 바래요 3 여행 2012/08/06 1,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