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여러분은 혼자서 집계약 하세요?

집계약 조회수 : 2,092
작성일 : 2012-06-21 11:02:25

제 남편은 본인이 다 알아서 하는 스타일입니다.

어릴때부터 그랬다네요. 물론 시부모님도 성격이 자식을 챙기는분들이 아니라 본인이 알아서 뭐든 해왔기에

그게 몸에 밴거 같아요.

 

살아보니, 저는 참 편해요. 가령 집에 자주 쓰지 않는 가전제품이 고장이 났다 그럼 결혼전에는 당연히

부모님이 알아서 고치셨고, 결혼후에 제가 크게 쓸일이 없다면 좀 방치해서 알아보고 수리하고 그러는데,

남편눈에 들어오면 당장 바로 수리센터에 가져가 고쳐오거나 본인이 합니다.

 

제가 말하기 전에 그냥 본인이 알아서 합니다.

형광등 불이 조금만 이상해서 당장 연장 들고와서 고쳐버리고, 수도꼭지나 기타등등 본인 레이다망에 들어오는건

다 알아서~~ 뭘 신고해야 하거나 집안 세금 납세하는것도 본인명의로 되어 있는건 단 한번도 연체나 기간어긴적

없게끔 철저하게 다 처리하고, 전 신경 쓸 일이 없어요.

은행에 가서 처리해야 하는것도 대부분 회사 휴가내고라도 본인이 알아서 해버리고,

그럽니다.

 

본인 성격이 그러니 그렇지 않은 사람들 보면 좀 답답해 보이겠지요.

전 반대 성격이라서 오히려 편하고 좋아요. 잔소리하거나 제게 닥달하지 않고 그냥 소리없이 본인이 처리해버리니

좋습니다.

그리고 전 대부분의 사람들이 결혼전에는 부모님이 해주셨고, 결혼후에나 본인들이 일처리 하는것이 일반적이라

생각하고 있고, 제 경우는 부모님에서 남편으로 넘어간 차이뿐이라 생각하거든요.

 

남편명의로 월세받는 오피스텔이 있는데 1년단위로 계약을 합니다. 주로 젊은 20대후반에서 30대 직장 남자분들이세요.

집이 지방인분들이 꽤되고, 오피스텔이 복층이고 주변 환경도 좋아서 대기업 직원이나, 젊은 의사분이 계약하세요.

 

계약할때 역시 저는 언제 하는줄도 모르게 남편이 회사휴가내고 일처리 다 합니다.

남편도 잠시나마, 혼자서 자취할때 있었는데 그때마다 역시 알아서 방구하고, 계약하고 그랬나봐요.

헌데, 오피스텔 계약하러 오는 사람들 모두 다 지방에서 부모님 대동하고 온다며, 한심하게 생각하더라구요.

오피스텔이라 보증금이 꽤 되긴 해도 은행 자동이체 시키는거고, 월세라 매달 또 자동이체 시키면 되고,

집주인인 본인이 신분증 가지고 부동산에서 계약하는건데도 멀리 지방에서 부모님이 올라와서 30넘은 아들과

함께 일처리 하는게 남편 눈에는 한심해 보였나봐요.

 

대부분 오면 그곳에 살 주인인 아들들은 아무말도 안하고, 부모님들이 주도하고, 수동적으로 따르는 모양이다 보니

더더욱 그렇게 보였나봐요. 지금 몇번째 계약인데, 단 한번도 부모님과 같이 안온 사람이 없다면서, 혼자서 그런것도

못한다면서 타박을 합니다.

 

20대 후반 처음 직장생활하는 사람이야 이해하지만, 집떠나 자취생활하는게 몇년이면 이젠 혼자서 해야 할 일임에도

못하고 저렇게 부모님 뒤에서 모든걸 바란다며 한심해 합니다.

 

근데 전 그분들 다 이해되거든요. 저라도 아무리 혼자서 몇년을 살아도 돈 몇천이 가진거 전부인 직장인 미혼이

혼자서 집계약 같은거는 정말 엄두도 못낼 일 아닌가요?

제가 다른것도 아니고 집계약같은거야 당연히 부모님하고 하는거지 그런걸 혼자서 하는 사람이 어디에 있냐고 뭐라했어요. 결혼할때 작은 18평 아파트 사서 시작했는데 그때도 본인이 집알아보고, 혼자서 계약하더라구요.

계약할때 저랑 우리부모님이 함께 가셨어요. 우리부모님은 당연히 본인들이 같이 가야 된다고 생각하시고

오히려 시부모님 되실 분들이 큰돈을 자식에게 주고 알아서 하라는게 도저히 이해가 안되서 당시 제게 한소리 하셨어요.

 

여러분들도 집계약같은거 혼자서 하십니까? 제가 너무 남편그늘에 숨어 있는건가요?

IP : 121.143.xxx.126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주
    '12.6.21 11:21 AM (222.107.xxx.181)

    아주 잘 컸네요.
    남편분이 절대적으로 옳다고 봅니다.
    뭐가 문제될게 있나요?

  • 2. .....
    '12.6.21 11:30 AM (123.199.xxx.86)

    서른 가까이 되어도 미혼자라면...부모님과 동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요..
    계약사항을 제대로 주지하지 못해서라기 보다는.......집주인에게...세입자로서..신뢰감을 줄 수 있거든요..
    부모님이..계시고..부모님이 항상 지켜 주는 사람이라면...세을 줘도 괜찮겠구나..라는 생각을 할 수 있도록.말예요..ㅎㅎ.
    젊은 사람이 그냥 혼자 와서..계약을 하면.....그 사람 참 똑똑하고 야무지다라고도 생각할 수 있겠지만....
    요즘은 세상도 무섭기도하고..또..보수적인 가치관의 한국사람인지라.......똑똑한 거 보다는......사람에 대한 믿음이 우선이라서요..ㅎ

  • 3. ㄴㅁ
    '12.6.21 11:43 AM (115.126.xxx.115)

    서른 넘어서까지....아이고...

    원글님 본인이 말했든 부모한테서
    남편으로 바뀌었을 뿐이지...의존적인 삶이니
    세상이 그저 두려울 뿐이겠지만...

    혼자 계약하고 방구하는 것....그러면서'
    독립심이 만들어가는 겁니다....책임감과 함께...

  • 4. 20대초도 아니고
    '12.6.21 12:01 PM (112.168.xxx.63)

    솔직히 30대까지 부모 모시고 오는 건 좀.

    저도 남편분하고 비슷해요.
    워낙 독립적인 성격이기도 하고
    실제 일찍부터 독립해서 그렇기도 하고요.

  • 5. 다른 얘기
    '12.6.21 12:01 PM (203.233.xxx.130)

    오피스텔 세는 잘 받아지나요?
    위치가 좋은 곳에 있나봐요.. 어떤 분은 월세 밀리는 분들도 계시고 자잘한 신경 쓸게 많다고 하는 분들보구선 오피스텔 구매 맘 접었는데.. 원글님네는 그런 일은 없으셨나봐요..
    남편분이 알아서 다 한다니 부럽네요..
    전 신랑이 너무 회사 일에 바빠서 회사 일 하는것만으로도 힘들어 해서
    맞벌이지만, 제가 다 관리하고 챙기고 하느라 정신 하나도 없거든요..
    신랑분 직업군이 그나마 휴가도 잘 낼수 있나봐요.. 부럽네요..

  • 6. 지금 40대 이상 나이대
    '12.6.21 12:09 PM (121.165.xxx.55)

    뭐든 혼자 알아서 해야했지요.
    공부도, 문과 이과 결정도,
    대학결정도,
    지방출신이라면 서울에서 거주할 하숙이나 자취방도 다 20살짜리들이 알아서 했답니다.
    게중에는 부모가 와서 동행해준 사람도 있지만
    대개는 각자 알아서 했어요.
    어떤 사람은 입학식, 졸업식도 참석안하고 그저 알아서 하겠거니,
    어쩌다 학년중에 한번 어찌사나 다니러 한번 가볼까,
    머 이게 일반적이었지요. ㅋㅋ

  • 7. 또마띠또
    '12.6.21 3:43 PM (175.215.xxx.73)

    남편분 멋지네요. 저도 좀 한심하던데..
    전 제가 다 알아서 하고 남편이 암것도 몰라요... 저랑 같이 다님 다녔지(부모대신 저를 졸졸 따라다니죠) 어쩔땐 한심하고 저는 넘 피곤하고 그래요. 남편이 직접 알아서 하는게 없어서.. 근데 대신 제 맘대로 한다는건 좀 좋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8076 인간극장 김성록씨 편을 보았는데, 그분 실력이 정말 대단한 건가.. 12 궁금 2012/07/15 14,811
128075 참 사는게 낙이 없네요. 6 ... 2012/07/15 3,550
128074 인도여행 18 .. 2012/07/15 3,437
128073 허리 삐끗해보신 분께 조언구해요..너무 아파서요.ㅠㅠ 6 ... 2012/07/15 14,686
128072 강남역 근처 여성 전용 찜질방 있나요? 6 강남 2012/07/15 6,985
128071 다시 82 안온다 16 써니 2012/07/15 4,184
128070 퍼블릭 파크에서 윗몸일으키기하고 있는데 그 빈공간에 앉는 행위 17 ... 2012/07/15 3,153
128069 해지한 kt휴대폰에서 단말기 요금이 나가는 거 맞나요? 2 ^^ 2012/07/15 1,563
128068 24평 이사 견적 123만원..넘 비싼 거죠? 10 이사 2012/07/15 6,923
128067 영화 돈의 맛... 상류층..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추천.. 10 추천 2012/07/15 4,528
128066 유럽 에르메스 매장 에르백 3 ... 2012/07/15 9,404
128065 지환인가하는 꼬맹이는 작은엄마(나영희)가 입양하지 않을까요? 2 넝쿨당 2012/07/15 3,358
128064 혹시 소주 못 드시는분 계세요? 26 .. 2012/07/15 3,312
128063 손톱끝이 두장으로 갈라지는 아이, 뭐가 문제 인건가요? 4 엄마 2012/07/15 2,224
128062 바람 피면서도... 10 ... 2012/07/15 5,528
128061 사망보험금 얼마정도 걸려서 나오나요? 1 사망보험금 2012/07/15 2,076
128060 씨디롸이터, dvd롸이터, 외장하드... 뭘 달까요? 6 노트북에 2012/07/15 1,214
128059 캐스키드슨의 패기 25 2012/07/15 6,115
128058 무쇠가 녹슬었어요 2 무쇠 2012/07/15 1,558
128057 獨, '어린이 포경 수술은 범죄' 판결 논란 3 ㄷㄷ 2012/07/15 1,771
128056 이런 콩가루 집안같은 사태를 좀 봐주시고 조언좀 주세요 10 .. 2012/07/15 3,778
128055 닭백숙 잘 끓이는법 6 2012/07/15 2,858
128054 뽐뿌 겔2hd lte가격이 9 2012/07/15 1,627
128053 그림공부 4 민이 2012/07/15 851
128052 대로변 상가건물 4층이 나을까요? 작더라도 1층이 나을까요? 7 상가때문에 .. 2012/07/14 2,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