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돌잔치 후기 보면..

글쎄 조회수 : 3,956
작성일 : 2012-06-18 15:03:31
바쁜 와중에 귀한 시간내서 남의 아이 돌잔치 가준것만으로도 고마운거 아닌지...
둘이와서 축의금 5만원했다고 뒷담화..부부동반으로 오랬더니 축의금 많이 나올까봐 혼자왔다고....또 뒷담화..
부부동반해서 10만원이면 부담되지않나요?
친구부부가 참석안해서 연락했더니 자기들 애가 안생겨서 안간다고 했다고 섭섭하다고..
올것같았던 미혼들 안왔다고..지들 결혼하고 애낳아봐야 심정을 안다는둥
인간관계 다시 정리하겠다는 결심들이 아주 대단해요
댓글들은 거기에 모두들 열혈 동조...

보다보면 어찌나 자기들만 생각하는지..
정말 축하받고 행복한 돌잔치를 하려면 본전뽑고 마진남길 생각으로 할게아니라 베푸는 마음가짐으로 하면 좋을것같은데 동네방네 인맥자랑하듯 직장동료 선후배 다 부담줘가며 하는 돌잔치 제발 좀 각성했음 좋겠어요...
IP : 222.112.xxx.157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6.18 3:06 PM (119.71.xxx.179)

    진짜 무식해보여요-- 여유가 없으면 없는대로 조촐하게 가족끼리 치르거나, 여유가 있으면 대접한다 생각하고 치르면되지.. 옷 요란하게입고 수금하는거 진짜 웃김..

  • 2. ...
    '12.6.18 3:15 PM (110.14.xxx.164)

    그런사람들도 있군요...
    장사도 아니고 참... 솔직히 직계 아니면 누가 돌잔치 기쁜 맘에 가나요
    시간 버리고 돈 버리고...

  • 3. 원글
    '12.6.18 3:16 PM (222.112.xxx.157)

    보다보니 스냅,돌상,포토테이블,동영상제작비 등등 많이들어서 본전치기라고 하소연하는글에 진짜 어이없었구요...

    지난 주말에 남편 직장동료 돌잔치가서 둘이 10만원 냈는데 저희형편에는 부담되요.. 혼자보내려니 들렀다 시댁바로 가는게 나을것같아 같이갔는데 참... 재미도없고 맛도없고....

  • 4. ㅇㅇ
    '12.6.18 3:20 PM (211.237.xxx.51)

    장사하나.. 결혼식 돌잔치 다 초대같은거 하지 않는 문화로 바뀌어야 이런 폐단이 없어질듯..
    우리때부터라도 다 같이 솔선수범 해야할듯..

  • 5. 부조금
    '12.6.18 3:36 PM (122.34.xxx.11)

    금지 시키면 초대 하랄까봐 겁날 사람들 천지일텐데..이런거나 강제시행 하지 포괄수가제같은
    소리나 하지 말고;;본인들 잔치면 돈 들여 음식 베풀고 꼭 초대하고 싶은 사람들 모셔다 그렇게
    지내는게 당연한건데 도대체 주객이 전도 되도 한참 된 듯.

  • 6. 답답
    '12.6.18 3:40 PM (211.215.xxx.64) - 삭제된댓글

    제가 돌잔치 주최하는 입장이라면..축의금 많이 들어오고 손님이 적은 경우와 축의금은 적지만
    손님이 많이 온 경우중...저라면 후자가 더 좋겠습니다.
    돌잔치 가는 입장이라면..일부러 시간내어야 하고,다른곳에서 충분히 식구들 다 외식할수 있는 금액의
    2배이상을 지불하면서 까지 의무감으로 가야하는 부담이 있죠.
    5만원으로 두명이 갈수도 있다고 봅니다.적게 하는 사람이 있으면 많이 하는 사람도 있겠죠.

  • 7. 에휴
    '12.6.18 3:56 PM (121.161.xxx.37)

    원글님이 한심해하는 것이 바로 저 부분인 것 같은데요...
    아닌 말로, 누가 자기 뜻따라서 외식할 때 일인분 오만원짜리를 먹나요?
    둘이서 오만원 냈다 해도 일인분 이만오천원인데 부부 둘이서 오만원이 뭐가 어때서 그런건지...

  • 8. 요새도
    '12.6.18 4:33 PM (211.215.xxx.84)

    요새도 그런 돌잔치가 많나요? 제 주변에는 별로 못봐서..
    한 5년 전에는 좀 있었던 거 같은데..

    제 친구들이나 지인들은 다들 가족끼리 많이 하는 분위기던데요. 저도 그렇게 할 생각이고요.

  • 9. 돌잔치
    '12.6.18 4:34 PM (121.147.xxx.151)

    뭘 그리 아는 사람 모두 초청해야하나요?

    식구들끼리 아이 돌까지 건강하게 무탈하게 키운거 서로 축하해주고

    앞으로 어떻게 키울까 이런 저런 얘기하는 날이 되야지

    부부 모두 미용실에서 맛사지 받고 옷도 1부 2부 나눠 한복에 앞 파진 드레스에

    요즘 돌잔치 진짜 뭐냐는 생각이 들더군요.

    곰곰 좀 생각해보면 과연 이런 돌잔치가 옳으냐? 이런 생각 안드는지

    네 맞아요...재벌급이라 돈이 썪어나게 많아서 주체 못한다면

    조용히 그 돈 그 또래 헐벗고 굶주린 극빈가정 아이들 돕는데 기부하거나

    그러 기부가 싫으면 집안 식구끼리 즐기고 축하해주는게 맞는 거 아닙니까?

    회사 사람들까지 돌잔치 가야하는 주변 친구들이야 그렇다쳐도 말이죠.

    회사사람들이 시간까지 내가며 초대 받은 돌잔치 가야하는지

    제발 회사내 모든 사람들에게 초대장 보내지 말아주시면 참 좋겠네요.

    돌잔치 하면서 부모가 바쁘게 손님 접대 하다

    몇 시간씩 이쁜옷에 갇혀 있는 아이의 불편 생각 좀 해보시길

    그만한 나이때는 사실 몇 시간씩 외출하는 것도

    이사람 저사람 많이 모이는 곳에 가는 것도 좀 삼가해아하는 거 아닌지

    그럴 시간에 육아서 사서 아이 잘 키울 계획을 부부가 하는게 좋을 듯하네요.

  • 10. 저러니
    '12.6.18 4:38 PM (112.153.xxx.234)

    돌잔치 하는 부모 생각이 저러니, 돌잔치 초대 받으면 싫어하는사람들이 많을 수 밖에...

    황금같은 주말에 가족행사에 남 불러들인것도 미안해 해야 할 판에, 머릿속엔 계산기 두드리고 있으니

    누군들 돌잔치에 가고 싶겠어요~?

    제발 가족행사는 가족들끼리 했으면 좋겠다는..

  • 11. 그냥
    '12.6.18 4:42 PM (211.215.xxx.84)

    그냥 그렇게 민폐같은 돌잔치는 안 가면 되지 않나요?

    솔직히 너무 크게 하면서 동네방네 초대하는 사람도 그렇고요..

  • 12. ..
    '12.6.18 4:56 PM (211.253.xxx.235)

    대체 왜 밥값까지 계산해가면서 돌잔치를 가야하는건가요?
    그러면 밥 안먹는 사람들의 축의금은 돌려주나요? 돌잔치도 들러서 축의금만 주고
    아이만 잠깐 보고 가는 경우도 많은데.
    밥값 따져서 축의금 내라는 게 제일 이해가 안되는 일..
    미쳤다고 1인분에 5만원씩 주고 그런 허접한 밥 먹고 오나요.
    3만원만 가져도 제대로 밥먹고 올텐데.

  • 13. 장사하냐??
    '12.6.18 9:22 PM (118.220.xxx.175)

    요즘 돌잔치...
    애가지고 장사하는거 같아서...정말 쫌 그래요...

    돌잔치의 의미따윈 사라져버렸고...

    돈벌겠다고 하는 행사라는 의미만 남은거 같아요.

    그런데, 부부둘이가서 5만원내면 실례인가요???
    바쁜 시간내서 남의 아이 돌잔치 가주는것만으로도 고마운일 아닌가요???
    ㅎㅎㅎ
    진짜...돌잔치 싫으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7211 혹시 금수레 라는 과자 아시는 분은 안계신가요? 1 70년대 2012/07/12 1,892
127210 장마인가요? 신랑이 놀러가자는데 ㅜ.ㅜ 5 쑨대렐라 2012/07/12 1,963
127209 외장하드에 하루 종일 자료 옮겨도 되나요??? 5 ee 2012/07/12 1,397
127208 예쁜 아기 이름 아이디어 좀 주세요~ 10 dmgmgm.. 2012/07/12 2,437
127207 일산후곡마을대한통운택배기사... 6 짜증 2012/07/12 2,419
127206 말이 너무 빨라 발음이 부정확해요 1 .. 2012/07/12 1,474
127205 아기 키워보신 분, 성선설 vs 성악설 뭐 믿으시나요? 14 아기 2012/07/12 3,064
127204 혹시 시엄니 시동생편인 남편을 제 말 잘듣게 고칠수 있는 방법 .. 6 2012/07/12 1,658
127203 전원주 할마시 손자들 전부 서울대, 고려대 4년 장학생 42 역시 2012/07/12 26,965
127202 스마트폰 사용할려는데... 1 pp 2012/07/12 1,243
127201 롯데 월드,키자니아 싸게 가고 싶어요. 서울구경 2012/07/12 3,089
127200 기미치료는 포기했는데 그럼 뭘 하면 좋죠? 8 기미기미 2012/07/12 3,324
127199 고3수리 3등급 꼴찌에서 1등급 꼭대기된 딸 자랑합니다. 150 소심한자랑녀.. 2012/07/12 16,552
127198 남편의 외도 그리고 카톡 11 사생활 2012/07/12 12,747
127197 유치원비가 너무 비싸서 다시 어린이집으로 보낼까해요... 3 고민맘 2012/07/12 3,730
127196 결혼하시면.. 절대 아이부터 먼저 갖지마세요... 2 끔찍하네요... 2012/07/12 3,246
127195 SKT에서 올인원요금제와 LTE 요금제 차이가 뭔가요? 2 어리수리 2012/07/12 3,133
127194 암웨* 정수기는 왜이렇게 비쌀까요? 4 2012/07/12 2,149
127193 외장하드케이스 고르기 도움 부탁합니다. 6 검은나비 2012/07/12 1,199
127192 박지원 "김병화 대법관 후보, 집에 가라" 外.. 1 세우실 2012/07/12 2,266
127191 클린맘 빨래삶기 2012/07/12 1,119
127190 2003년경에 구입한 파브 50인치 pdp도 usb지원되나요? 2 tv 2012/07/12 1,309
127189 아이가 반성문을 썼어요 5 먼길 2012/07/12 1,864
127188 [급질]갤2개통했는데요 분실보험 가입할까요? 5 스마트폰 2012/07/12 1,609
127187 베트남 캄보디아 이런 지역은 여름에 여행가면 안될까요? 5 여름에 2012/07/12 2,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