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금 정규직인데 글로벌기업 파견계약직 이직 어떨까요?

맑은 조회수 : 7,391
작성일 : 2012-06-05 23:07:21

저는 32살 싱글이구요, 현재 중견기업에서 정규직 8년차입니다.

글로벌 기업 면접후 계약을 앞두고 걱정이 들어서요. 

 

중견기업 정규직 재직 중에..

세계인 대부분이 아는 글로벌기업의 파견 계약직으로의 이직... 어떤가요...? 

 

중견기업은 유명한 회사는 아닙니다. 연봉은 4500만원이고 복리후생은 보통수준으로 나쁘지는 않습니다.

탁아소는 없고 회사분위기가 쪼는 기업문화..이긴 하지만 결혼후에도 다닐 수는 있습니다. 

그리고 이직을 고려하고 있는 글로벌 회사는, 헤드헌팅 회사 소속으로 계약하고 2년만 근무하는 것입니다. 

 

제 생각에 장점은

워낙 굵직한 기업이라 글로벌 시스템이라든가..를 익힐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하고.

또 외국계기업들 채용공고를 보니 외국계 기업에서 일한 경험을 선호하더라구요. 

2년이 짧은 기간이긴 하지만, 새롭게 전환하기 위한 좋은 기회와 경력이 되지 않을까 싶어서요. 

 

물론 이직시 단점으로는, 계약직...2년이라는....거구요,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파견 계약직은 경력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라고 하시더라구요.

이 말이 맞는지 모르겠어요. 그런데 경력으로 인정받지 못한다면 이직할 이유가 없을 것 같아요...  

 

연봉은 한 500만원 정도선에서 인상될 예정이라 연봉 때문에 이직하는 것이 아니라, 

향후 커리어를 위해 이직을 고민하고 있어요.

2~3년후 결혼을 하게 된다해도.. 저는 계속 일을 할 계획이라서요. 

 

짧은 조언이라도 감사히 경청하겠습니다.

조언 부탁드려요~~~

IP : 58.123.xxx.162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2.6.5 11:21 PM (116.38.xxx.229)

    파견직이 아닌 정규직으로 채용될 기회는 없는건가요?
    계약직으로 근무하다 성과가 좋아 정규직으로 채용되는 경우도 있기는 한데
    외국계 기업이라고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로컬화가 되기 때문에
    한번 계약직이든 파견직으로 들어오면 정규직으로 전환된다고 하더라도 그 인식이 그대로 박히는 경우가 있고 또 정규직이 아니면 기밀이나 보안 때문에 사내 시스템도 아마 제한적일 겁니다.
    현재 정규직으로 근무하다 틈틈이 외국계 정규직을 노려보시는 것이 나을 듯...

  • 2. 맑은
    '12.6.5 11:26 PM (58.123.xxx.162)

    음 님~ 조언 깊이 감사드립니다.

    정규직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해요.
    역시 좀 더 준비하다가 정규직으로 이직하는 것이 더 좋겠지요~?
    비정규직 문제가 사회화되는 것을 잘 알면서도 커리어에 변화를 주고 싶던차에
    워낙 큰 기업이라니 파견 계약직임에도 마음이 흔들리고 있었네요.

  • 3. ..........
    '12.6.5 11:33 PM (58.232.xxx.93)

    원글님 ...
    어떤것을 생각하는지 알아요.

    그런데 2년 후가 되면 34살이 되는데
    취업사이트를 보시면 32살 이후로는 채용하는곳 많지 않아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32살 전에는 40살까지 다닐 수 있는곳에 자리를 잡는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지금 당장 외국계로 가시면 좋지만
    원글님의 업무, 경력, 학력, 언어능력이 외국계회사에서 원하는지 냉철히 파악하시고
    34살 이후를 생각해보시는것이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정말 2년 후 34살이 되어서 나오면 35살까지 원하는 곳을 찾아야 할텐데 많지 않습니다.

  • 4. ,,
    '12.6.5 11:58 PM (72.213.xxx.130)

    저라면 현 직장에 계속 있을래요. 그야말로 아웃소싱인 상황일텐데 2년후에 직장생활을 고려한다면
    현재의 경력을 뒤엎는 일은 안 하겠어요.

  • 5. 분야가?
    '12.6.6 12:00 AM (149.135.xxx.26)

    외국계 정규직 다녔었어요, 원래 인사이동이 별로 없고 한 번 입사하면 정말 오래들 다니세요..

    지금은 더 공부하구 외국나와사는 데 계약직은 보통 에이전트가 돈 받아서 커미션조로 좀 떼고 적게 주잖아요, 그런데 회사=가서 일하는 데선 엄청 많이 받아내요. 예를 들면 전 시간당 $ 27 받는 데 에이전트는 회사에다 $ 40 청구해요.. 그래서 조금만 일 못해도 바로 짤리고 다른 사람 원하는 경우가 많아요.

    님이 하시는 일의 분야가 특성화 된 업무- 수출입/회계/PA 전문비서직/등등 계약직 가시면 다음 계약직 들어오기 전에 휴식도 갖고 괜찮아요, 워낙 구인이 많기 때문에요. 나이가 있어도 경력이 몇 년 되니까요..저도 애 낳고 팽팽 놀다가 다시 (간신히 )들어가거든요. 중간에 공부 좀 계획 하시고 그럼 쉬는 동안 명분도 생기고 그러지요.
    앞으로 1-3-5 년 계획을 잡아보세요, 예를 들면 전 지금 자격증 마치면 MBA 들어가요

  • 6. 분야가?
    '12.6.6 12:11 AM (149.135.xxx.89)

    또는 에이전트가 그냥 채용 까지만 받고 회사서 소개비 정도만 주고 끝나는 경우도 있어요, 그러니 계약서 꼼꼼히 검토해 보시구요.

    당장 이직 보다도 짬짬히 공부해서 자격증 맞춰 승진 해가면서 이직 하시는 게 좋아요.
    아 다르고 어 다르다구, 면접시에도 왜 회사 자주 옮기냐고 초점 맞추는 데가 있고, 몇 주라도 특정산업 경력을 좋게 보는 데가 있어요. 저도 석달 짜리 임신 중에 다니던 경력낮춰서 다니던 5년 전 임시직 경력 좋게 보여서 비슷한 계열회사서 연봉 7~8만불 하는 데 2차 면접 잡혔어요. 아는 친구는 MBA 까지 하고 일하다가 매니저 자리 생기니 바로 승진되더라구요. 자신이 잘하구 좋아하는 분야 게다가 특성화 된 거 잡아 능력을 키우셔야 해요.

  • 7. 지금 세계 경기가
    '12.6.6 12:21 AM (188.22.xxx.142)

    장난아니예요
    있는 밥그릇 꽉 쥐고 있으셔야하지 않을까 싶네요
    더구나 계약직..노노노

  • 8. ...
    '12.6.6 2:29 AM (58.143.xxx.162)

    제 회사도 엄청 큰 글로벌 기업이고 말씀하신 파견직 많이 쓰고 있어요.
    이분들 아무리 일 잘해도 2년 후에는 재깍 계약 종료입니다. 아무리 일 잘하고 신임 얻어두요. 그리고 다시 비슷한 글로벌 기업에 가서 2년 파견 계약직 합니다. 글로벌 기업들 아주 매몰차요.
    분야가 얼마나 전문분야인지 안나와있네요.
    그게 관건이라 생각되는데...

  • 9.
    '12.6.6 10:06 AM (211.59.xxx.214)

    정규직 자리 고수하세요.

  • 10. 맑은
    '12.6.6 1:51 PM (58.123.xxx.162)

    58~님, 72~님, 149~님, 188~님, 211~님~
    조언 깊이 감사드립니다. 현명하게 결정하는데에 아주 큰 도움이 되었어요.

    제가 하는 일은 마케팅기획입니다. 그렇게 전문분야라고 볼 수는 없죠~ 워낙 마케팅기획쪽이 많으니까요.
    많은 분들께서 조언해 주신 바와 같이 현재 회사에서 충실히 준비하면서
    더 좋은 기회를 기다리겠습니다.

    정말 감사드려요~
    행복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2785 가방살라다가 맘접고 짠돌이카페 텐인텐 등을 다시 가서 보고 있어.. 9 굳세어라 2012/06/30 4,243
122784 피아노 ... 2012/06/30 872
122783 고추장광고 너무 우아하게해서 별로에요. 10 ㅎㅎ 2012/06/30 3,103
122782 어제 tv에 나온 나경원 3 ........ 2012/06/30 2,115
122781 남편의 외도를 알게되었는데 너무나도 슬퍼요... 30 눈물 2012/06/30 21,547
122780 사이언톨로지교가 뭔가요? 5 소문.. 2012/06/30 3,073
122779 집 뒤에 있는 상가 소음때문에 미치겠네요. 2 aaa001.. 2012/06/30 3,509
122778 체력 좋아지려면 운동이 갑인가요? 8 아녹스 2012/06/30 3,475
122777 효도는 셀프라는 말 너무 억지 아니에요? 44 이해안됨 2012/06/30 14,693
122776 이 우스개 소리가 생각이 안 나네요 4 하루세끼 2012/06/30 779
122775 저에게 용기와 힘이 되는 격려 좀 해주세요. 부탁드려요. 10 저에게.. 2012/06/30 1,630
122774 무한도전에서 제일 재밌던 에피소드 기억나세요 ? 44 ... 2012/06/30 4,229
122773 서울근교 물놀이 할 수 있는 곳이요~ 마루코 2012/06/30 904
122772 가뭄이 해갈됐는데, 뭐라고 할지 궁금함 28 운지 2012/06/30 4,527
122771 제습기를 사야겠어요 5 제습기 2012/06/30 2,707
122770 생합이 많아요 6 생합 2012/06/30 1,436
122769 질염은 아니라는데 건조해서 가렵고 따가워요 4 비가 온다 2012/06/30 3,046
122768 노트북을 화장실에 들고 가도 되나요? 5 노트북 2012/06/30 2,106
122767 개인이 하는 농산물쇼핑몰에는 칭찬만 쓰는게 정석인가봐요?ㅜㅜ hwae 2012/06/30 820
122766 영어 번역 부탁드립니다. 2 번역 2012/06/30 854
122765 위대한 여인이 저희집에 놀러 온다네요. 29 손님 2012/06/30 19,179
122764 베스트유머 갑니다~! 일본 사우나 몰래카메라ㅎㅎㅎㅎ 3 수민맘1 2012/06/30 3,049
122763 랍스터 맛있게 찌는 방법 아시나여?^^ 2 랍스터 2012/06/30 2,820
122762 김치 담글 때 찹쌀풀 넣는 거요 10 김치초보 2012/06/30 8,939
122761 옛날 건국대 지방 분교가 있었나요? 4 건대 2012/06/30 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