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어머님들은 왜? (개콘버전~

조회수 : 2,221
작성일 : 2012-05-29 11:35:25
진짜 궁금해서 올리십니다. 어머님들 (시,친정분들)은 왜? 냉동실에서 철지난 음식들은 주시나요? 어제 시골 다녀왔습니다. 여러가지 챙겨주십니다. 사골 고아서 얼린것, 생선, 김치등등 그런데 그 중에 작년에 따서 얼린 오디, 작년가을에 쪄서 얼린 밤(말랐어요)등을 싹 넣어주십니다. 이런 경우 많습니다. 처음에는 거절 많이 했어요. 그러다 보니 쟤는 너무 까다롭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이제는 그냥 받아 옵니다..오래되고 냉동실에서 말라버린 것들은 와서 분리수거합니다. 에효..그때 그때 주시면 잘 먹을 텐데..아쉽습니다. 그리고..시월드와 가까이 사시는 분들.. 친정일이 있어 친정에 가 있는 동서에게 아침에 빨리 오라고 연락하시랍니다. 물론..저는 같은 지역이 아니라서 그런일 없지만.. 동서한테 이런 전화할때 저는 정말 싫습니다. 친정일이면 그쪽 일만 보고 가도 될텐데..꼭 시댁 들르시라는 시어머님.. 저는 이해가 안갑니다. 왜 그러시는 지요~
IP : 114.206.xxx.118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2.5.29 11:36 AM (114.206.xxx.118)

    엥? 글이 왜 이렇게 올라가죠?
    엔터 다 쳐서 끊었는데요

  • 2.
    '12.5.29 11:39 AM (114.206.xxx.118)

    친정엄마 집에서는 제가 냉장고 정리해서 버립니다.
    그리고..주실때 엄마..이거 너무말라서 못먹어 하고 바로 버려요..
    물론 그런것이 올케한테 간다면 올케도 어쩔수없이 받겠죠~

  • 3. ㅇㅇ
    '12.5.29 11:40 AM (211.237.xxx.51)

    음식 버리면 죄받는다는 마인드+ 당신들 드시긴 싫고 + 며느리 딸 들에게 주면
    뭔가 줬다는 뿌듯함= 어르신들 입장에선 일석이조의 효과 (자녀들에게 음식해줬다 + 냉장고청소)

  • 4.
    '12.5.29 11:44 AM (114.206.xxx.118)

    하긴..냉동실이 만능이신줄 아시죠.
    그리고 음식 버리는 것 싫어하시는 것도 맞는 것 같아요

  • 5. 어른 들중
    '12.5.29 11:46 AM (112.154.xxx.153)

    남은 음식 냉장고나 냉동고에 놓고 버리는거 아까와 하시는 분들 꽤 있어요. 저희 친정 엄마도 1년이 지나도 괜찮다는 말 반복... 근데 시어머니도 장난 아니더군요.... 제사 한번 지내면 쓰레기 정리까지 저에게 다 하시는 분위기.. 즉 안먹을꺼 같은 음식만 골라 주신다는... 그리고 비싸고 귀한건 안주세요... 굴비를 주는 법은 못봤어요. 전 나부랭이랑 나물 무친거 약과 .. 이딴거만 주신다는...

    게다가 옷도 그래요 40년이 넘은 옷을 저보고 입으라고 줍니다.. 정말 저도 님처럼 안받겠다고 했다가
    넌 왜이렇게 까다롭냐고 소리지르데요.. 기가막혀서

    이제 연수좀 되면 대놓고 안받을려고요 누굴 그지로 아나

  • 6. 그건
    '12.5.29 12:30 PM (121.129.xxx.179)

    음식 못버려요. 저희 친정엄마도 냉동실에 완전 쟁여놓고 흐뭇해 하고 있어요.
    밤주우러 산에 갔다가 얼마나 많이 끌고 왔는지 허리아프다고 몸져누워계셨는데,
    그래도 쌓여있는 밤을 보면서 좋아서 웃고 있지요.
    그거 쪄서 냉동실에 넣어두고, 아낍니다.
    싱싱할때 먹고 없애라고 해도 말 안들어요.
    그렇게 있다가 자식들한테 나눠주시죠. 당신은 뿌듯하고 우리는 싫죠 ㅜㅜ
    그건 먹기 싫어서 주는게 아니에요. 미워서 그러는것도 아니고..
    나눠주고 싶은거에요. 좀 불쌍하다는 생각도 들지 않아요?
    그깟게 뭐라고 그렇게 쟁여놨다가, 당신은 먹지도 못하고요...
    다 먹지 못할거 욕심은 왜그렇게 부릴까,,, 그렇게 먹고 살기 힘든 시절 보내서....
    내 눈엔 미련한 짓인데 엄마는 뿌듯하고 행복해하니까요.
    원글님 시어머니도 그러신것 같아요.
    그리고, 동서부르시는것은
    원글님이 시댁에 가면 그러신다는거죠?
    와서 형님보고 가라는거죠.
    니 형님왔다, 인사하고 가라...그러는거?

  • 7.
    '12.5.29 12:42 PM (114.206.xxx.118)

    뭐..어르신들..이해해요.
    그런데요...진짜 아끼다 덩된다는거 모르시는 건지..
    일례로 홍삼진액 비싼거..주십니다.
    집에 와서 보니 유통기한 2달 지났더군요.
    저는요...음식은 내가 받기에 기분좋은것..내 돈내고 사먹을 신선한 것을 줘야 본전이라는 건데..
    참 된장도 아니고 왜 묵히시는 건지..

    동서는요..전날 와서 보고 친정 건너 가지요
    그리고 담날 전화해서 빨랑 건너 오시라고..제일 이해 안가는게 요부분이긴 합니다

  • 8. 시골
    '12.5.29 2:07 PM (125.135.xxx.131)

    어른들은 위생관념이 약하고 냉장고를만능으로 보는 경향이 있죠.
    젊은 분들도 냉동실에 넣어두면 절대 보존이라는 생각이 있는 듯해요.
    아마 그래서일듯..
    어른들 생각에 귀해서 자식 주려고 넣어두셧을 거에요.
    그래서 오시니 꺼내주시는거죠.
    솔직히 말씀하시는게 어떨까 싶어요. 알아듣게요.
    쓰레기 처리반이 되는건 좀 아닌데..그렇게 해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0122 직장 가사 육아 그리고 명퇴 20 고민 3일 2012/06/14 3,221
120121 간질환자 만지지 말고 놔두는게 좋은가요? 9 십년감수 2012/06/14 3,221
120120 자폐증 친구에게 공격당한 후 공포가 생겼어요.. 4 인절미 2012/06/14 3,379
120119 YSL 뮤즈 투 백 라지, 셀린 러기지 라지 면세가 알려주셔요~.. 2 궁금이 2012/06/14 2,235
120118 아구 얼릴까요? 말까요? 2 2012/06/14 1,129
120117 요즘 여름옷들 다 뭐 입으세요? 소재나 가격면 여름옷 2012/06/14 1,316
120116 방탈죄송...급해요...감식초 말인데요.. 1 감식초 2012/06/14 1,942
120115 부추 겉절이 살리기 작전...도와주세요. 5 약간 헌댁 2012/06/14 1,832
120114 김치가 짜요.!!!살리는 방법 있을까요? 8 ㅠㅠ 2012/06/14 3,091
120113 초5 수학 전개도 우째야할까요 1 엄마표 힘들.. 2012/06/14 1,869
120112 대전분들 좀 알려주세요 2 ... 2012/06/14 1,465
120111 일자 허리(통허리) 어떻게 하면 라인이 생길까요? 17 오직하나 2012/06/14 12,502
120110 강수진씨 실제로 보면 얼머나 이쁠까요? 21 탕수만두 2012/06/14 12,174
120109 국민연금 대리인이 신청가능한지요? 하늘 2012/06/14 1,868
120108 조기입학시 친구사이 호칭문제 이럴땐 어떻게 해야하나요? 12 이럴땐? 2012/06/14 2,417
120107 출마예고 정동영, 지지율 '껑충' 단숨에 '야당 2위' prowel.. 2012/06/14 1,908
120106 초등학교 3,4학년 인형갖고노나요? 4 인형 2012/06/14 1,537
120105 "나 진짜 화났다" 발끈한 박원순 시장 3 참맛 2012/06/14 2,403
120104 의협 "대국민 설문조사 후 향후 행보 결정" 2 참맛 2012/06/14 1,116
120103 가장 매력적이였던 드라마 캐릭터는? 67 매니아 2012/06/14 6,870
120102 시금치 콩나물 죽이요???? 2 알려주세요 2012/06/14 1,359
120101 80년대 후반쯤 제목에 DJ 들어가는 남자가수가 부른 곡? 1 80년대 후.. 2012/06/14 1,782
120100 식혜만들때 햇반넣어도 괜찮겠지요? ... 2012/06/14 1,378
120099 82에 여교사나 교대생에게 차인 분이 있는 듯 3 ㅎㅎ 2012/06/14 3,082
120098 잇몸에 좋은 식품 & 약 5 추천해주세요.. 2012/06/14 3,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