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동서간에 어떻게 지내세요~~

아샘 조회수 : 4,442
작성일 : 2012-05-27 02:24:53

시댁에 달랑 아들 둘인 집안의 맏며느리입니다

저는   남매를  키우고 ,  동서 역시  아들 둘을 두고 있어요

집안이 단촐해서 집안 대소사는 거의 없고   설,추석때나  당일날 저희 집에서

식사하는 정도 (음식 장만 제가 다 하고 그릇세척기 돌리고 ) 동서  과일정도~깍아요

그때외는 만나는 일도 별로 없고  전화도 동서가 먼저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얼굴 볼때는 부침성 있게 하지만 그 때 뿐이네요~ㅎ

신혼때 맏아들, 맏며느리 환상을 가지신 어른들이시라 저 엄청 시집살이 당해서

시어머니와 관계가 껄끄러워서  제 할 도리만 하고  가족모임은 자주 안 만들어요

(자주 보면 관심이 너무  과하신 분이라)

그래서 그런지  동서하고는

가까운 이웃보다 더 멀게 느껴질 때도 있죠~

이렇게 계속 나이 먹어 가도 상관 없을까요?

IP : 221.148.xxx.219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5.27 2:31 AM (39.121.xxx.58)

    그 정도면 되지않을까요?
    서로 만나서 사이안좋은거 아니시고..
    어느정도 거리 지키면서 또 예의는 다 하는거잖아요..
    동서끼리 코드 잘맞아서 잘지내는 사람도 있지만
    지금 그 정도의 거리감이라면 괜찮을것같은데요^^
    너무 가까우면 또 서로에 대해 잘알게되고 실망하게 되고 기대하게되어
    생기는 불화도 많거든요.
    걱정하시마시고 지금처럼 서로 만나면 친하게 대화하시고 그럼 될것같은데..

  • 2. 동서둘인데..
    '12.5.27 2:40 AM (118.222.xxx.98)

    한명은 성격이 좀 별루인지라 만날때만 그냥 잘 지내고.. 한명은 서로 잘 맞아서 수시로 전화하고 만나고 친구나 자매처럼 지내요. 시어머니가 좀 특이하신데 그럴때마다 서로 동지있는거 같아서 좋아요 ㅎ..

  • 3. 그 정도면 좋은 관계 같네요
    '12.5.27 3:03 AM (1.245.xxx.136)

    통할 거면 벌써 통해서 가깝게 지내지 않았을까요
    그게 아니면 서로 부딪히는 것 보단 거리를 유지하고 편안히 지내는 게 나을 것 같아요

  • 4. 동서는 없어요
    '12.5.27 3:34 AM (118.44.xxx.87)

    저도 맞춤법이 헷갈릴때가 있어요.

    붙임성ㅡ>주변 사람들에게 '붙임성'이 좋다
    부침 ㅡ>부침가루
    부침 ㅡ>물 위에 떠올랐다 물속에 잠겼다 함. [비슷한 말] 침부1(沈浮).
    세력 따위가 성하고 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당쟁으로 인한 세력의 부침

  • 5. 자매간에도
    '12.5.27 5:39 AM (99.226.xxx.123)

    그정도만 만나고 사는 경우들도 있어요.
    저는 동서가 없는데 주위에 보면 동서는 완벽히 경쟁관계이더라구요.
    먼저 다가오는게 아니면 관심가져주어도 성가시다고 한다고 친구들이 기막혀 해요.
    서로 기대하지말고 지내면 그래도 싸우지는 않고 살 수 있을것 같아요.

  • 6. 그냥
    '12.5.27 8:18 AM (118.46.xxx.27) - 삭제된댓글

    만날때만 반가우면 된다고 생각하고 삽니다.

  • 7. 글속에 답 있네요.
    '12.5.27 8:35 AM (61.76.xxx.120)

    원글님도 시부모님과의 관계가 껄끄러워서 할도리만 하고 만날 기회를 잘 안 만든다 하셨죠?
    동서도 형님과의 관계를 그렇게 생각 하겠죠.
    윗동서라고 은근 받듬을 받고 싶은 심리가 있진 않으신지요.

  • 8. ㅇㅇ
    '12.5.27 9:29 AM (211.237.xxx.51)

    저도 맏며느리고 10년 일년에 8번 제사 지내다가
    지금은 시부모님 제사 명절만 지내고 나머지 제사는
    절에 맡긴지 또 10여년 된... 21년차 주부인데요?
    지금은 그냥 시부모님 제사하고 명절 상차림은 아주 간소하게 합니다.
    아니면 동서들에게 조금씩만 나눠서 해오라고 하는적도 있긴 한데
    그래도 딱 제삿상에 올릴 정도로만 조금씩 해오라고 합니다.

    대신 식구들이 좋아하는 메인 메뉴를 하나 정해서 설날엔 갈비
    추석엔 해물찜 뭐 이런식으로요...
    그걸로 맛있게 밥먹이고 바이바이 각자 집으로 보냅니다~

  • 9. 그게
    '12.5.27 9:40 AM (121.190.xxx.242)

    좋죠, 뭘 더 바라세요.
    시집관계는 평생 볼건데 가깝게 지내다
    혹시라도 나빠지면 너무 힘들어요.
    거리두고 볼때는 잘하면 아주 잘하는거죠.
    저도 맏며느리지만 제 할일 하고
    동서에겐 좋게 생각하고 이런저런 판단 안하려고 해요.
    나이들어 만난 사람들이 변할리도 없고 서로 조심하는거죠.

  • 10. ..
    '12.5.27 9:56 AM (175.116.xxx.107)

    그정도면됐죠.. 근데 음식장만을 왜 혼자서하시나요. 나눠서하세요 저도큰며느리고 곧 동서가생길거라 무지신경쓰이네요.

  • 11. .....
    '12.5.27 11:06 AM (211.246.xxx.155)

    만나면 좋고
    헤어지면 더 좋고

    저는 지금정도가 적당하다고 봐요.
    절대 사생활 관심없어요.

  • 12. 제경우~
    '12.5.27 12:44 PM (59.28.xxx.221)

    아들만 둘에 제가 장남며느리예요. 형님되죠.
    원글님처럼..우리도 딱 그정도로 지내요.
    일년에 설명절 제삿날에 얼굴보고..
    단순한 안부전화 이런거 없어요. 동서도 싹싹한 성격은 아니고..약간 내성적인 성격이고
    착한편이예요. 제가 시어머니께 안부전화하는게 조금은 껄끄러운것처럼 동서도 마찬가지겠죠
    대신 서로 챙겨줄껀 확실히 챙겨줘요.
    큰일있으면 동서가 전화해주구요.
    원글님처럼이 딱 좋은거 아닌가요?
    일부러 안부전화하고 자주만나고 그러는거..더 피곤한거예요.
    허물없이 지낸다는것도 동서지간에 힘들고..
    나쁜것없이 만나면 서로 좋고..그럼 되죠..그게 지극히 정상 아닐까 싶어요

  • 13. ....
    '12.5.27 12:58 PM (39.115.xxx.84)

    제사때 님이 음식장만하시는데..동서부부는 돈 안주나요...?
    보통 제사음식 사서 음식하고 하면, 최소 20~30은 드는데...
    10만원이라도 봉투에넣어서 주는게 도리인듯.

    그거 외에는 님 동서가 특별히 잘못하는건 없는거 같아요....^^

  • 14. ㅇㅇㅇㅇ
    '12.5.27 3:56 PM (222.109.xxx.247)

    원글님이 그러신 건 전혀 아니고요, 위 댓글 내용처럼
    아래 동서한테 작은 시어머니 노릇하려고 드는 분들 저도 종종 봐요. 자기도 시어머니 때문에 힘들어하면서, 다른 사람한테는 그런 행동을 재현하려고 한다는 게 참 씁쓸해요. 그러지 맙시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1279 목걸이에 성분표시가.. 3 스노피 2012/06/18 1,781
121278 혼자 저녁 드셔야 한다면 뭐 드시겠어요? 4 만삭 임산부.. 2012/06/18 2,469
121277 2학기 음악수행 대비 악기 배우기 7 이수만 2012/06/18 1,843
121276 요즘 집 보러 다닙니다. 29 게으름? 2012/06/18 13,550
121275 딸아이와 함께 보는 넝쿨당, 혼자서 보는 신품과 아이두... 1 ㅇㄹㄹ 2012/06/18 1,514
121274 스마트폰으로 네비게이션 쓰시는 분 질문!! jjing 2012/06/18 1,271
121273 알코올 중독자와 원숭이 검사 샬랄라 2012/06/18 1,486
121272 닭요리할때 우유에 담구라고 하잖아요? 7 치킨 2012/06/18 2,961
121271 비파열성 거대 대뇌 동맥류에 대하여 아시는분...(급) 8 2012/06/18 3,098
121270 남편 자랑할께요 ㅎㅎ 8 예언자 2012/06/18 2,259
121269 매트리스와 목화요솜 어느 것을 사야할까요? 2 바닥생활 2012/06/18 2,352
121268 나꼼수는 알겠는데....나꼽살은 또 뭔가요? 2 ... 2012/06/18 1,649
121267 드롱기오븐 정보 주셨던 분 고맙습니다. 10 민트빛 2012/06/18 2,850
121266 우리 시어머니 7 며느리 2012/06/18 3,482
121265 최신음악 다운받으려는데.. 6 .. 2012/06/18 1,524
121264 대학 등록금 20%가 거품 … 한국대학교육연구소, 20개 대학 .. 세우실 2012/06/18 1,501
121263 뷔페에서 본 볶음밥 인데요 노란색인데 카레맛은 아니에요 이름이 .. 16 queen2.. 2012/06/18 4,944
121262 빌보 고블렛 어떤 색 사용하고 계신가요? 5 지름신 2012/06/18 4,645
121261 남편은 왜 처가집과 시집에 태도 차이를 인정하지 않을까요? 4 언제쯤 2012/06/18 2,645
121260 고2여름방학에 전학은 무리인가요? 7 고딩맘 2012/06/18 3,516
121259 지현우 욕먹은게 괜히 안타깝네요.. 4 .. 2012/06/18 2,733
121258 10 5/8 in가 10.58인치인가요 ?? 5/8 이건 어떻게.. 5 단위 문의 .. 2012/06/18 1,453
121257 날파리 제거 어떻게 하나요? ㅠㅠ 4 날파리 2012/06/18 3,461
121256 저희집 대출 받아도 될까요? 10 ㅇㅇ 2012/06/18 3,347
121255 친구없는 초등아이 스마트폰 사주는거 어떻게 생각하세요? 4 천개의바람 2012/06/18 2,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