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파의 두꺼운 초록색 부분은 다 버리는 건가요???

오잉 조회수 : 13,583
작성일 : 2012-05-26 16:46:59
메인화면의 대파 손질법 보고 띠요옹~~~

원래 두꺼운 초록색 부분은 다 버리는 거였나요? 전 누렇게 삭은? 부분만 버리고 다 채썰어서 조림에도 넣고 찌개에도 넣고 라면에도 넣고 여기저기 다 넣었었는데...

그래서 제 요리가 맛이 없었던 것인가요...OTL... 
IP : 1.225.xxx.3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안써요..
    '12.5.26 4:48 PM (222.121.xxx.183)

    저도 잘 안써요..

  • 2. 아니
    '12.5.26 4:49 PM (1.251.xxx.127)

    그걸 왜 버려요?
    로산진 이라는 책을 보면요.

    재료는 신선한 걸 사서 버리는거 없이 다 쓰는게 좋다...라고 나와요.

    흰부분은 흰부분대로
    초록부분은 그대로 쓸모가 있고,
    하다못해 뿌리도 쓸모가 있는걸요.

  • 3. 오잉
    '12.5.26 4:52 PM (1.225.xxx.3)

    일부러 손질 대파 안사고 흙대파 사서 뿌리하고 많이 누런 부분만 잘라내버리고 먹었는데 그 부분이 맛이 없다하니 괜히 대파탓을 하게 되네요...야리야리한 대파를 썼어도 맛이 없었을 거라는 불편한 진실...ㅋㅋㅜ,ㅜ

  • 4. ....
    '12.5.26 4:52 PM (220.86.xxx.141)

    전 잎쪽에 누런부분만 잘라내고 다씁니다. 대파 뿌리부분도 사용하는데요.

  • 5.
    '12.5.26 4:52 PM (118.219.xxx.124)

    초록잎은 떡볶이에 넣으면 좋아요
    전 따로 얼려둡니다ᆢ

  • 6. 오잉
    '12.5.26 4:54 PM (1.225.xxx.3)

    맛에 민감하신 분들만 그러시는 거였나봅니다...저는 혹시 저만 그러는 건가 싶어서...ㅡㅡ;;
    막입이라 다행이네요!^^

  • 7. 뿌리..
    '12.5.26 4:55 PM (222.121.xxx.183)

    뿌리는 물에 살짝 담갔다가 흙 솔로 털어내고 모았다가 국물 낼 대 넣으면 좋아요..

  • 8. CC
    '12.5.26 5:00 PM (210.117.xxx.96)

    초록잎은 멸치 다싯물 만들 때 넣거나, 고등어 조림할 때 밑에 깔고 하거나 떡볶이할 때 넣으면 돼요,

  • 9. ...
    '12.5.26 5:04 PM (211.245.xxx.211)

    대파초록잎 안쓴다면,대파랑 비슷한 잔파도 초록색 다 떼고 써야는거 아닌가요?

  • 10. 저도
    '12.5.26 5:05 PM (124.49.xxx.4)

    저도 거의 버려요
    아니면 수육이나 생선찜 혹은 조림에 통으로 넣어 향신재료로 (음식말고 버릴) 쓸일있으면
    그때만 쓰구요

  • 11. 대신 잔파는
    '12.5.26 5:21 PM (110.12.xxx.110)

    잎이 부드럽고,찐득한게 없고 말끔해서 다 사용하는게 맞구요.
    대파에서 나오는 푸른잎 안쪽을 보면,
    유난히 두꺼우면서,알로에마냥 진득하고끈끈한거 때문에
    국물이 쓰고 탁해지고,별로라고 하던데요.

    평생 살면서,
    푸른잎을 쓰는건줄 처음 알았다.
    아니,,,,푸른잎을 버리는건줄 처음알았다,
    두 의견이 항상 나오긴 해요.

  • 12. @@
    '12.5.26 5:27 PM (125.187.xxx.170)

    저는 찜요리 할 때나 생으로 먹는 겉절이등에 조금 사용하고
    거의 버립니다.
    쪽파는 끝까지 사용해요 ^^;

  • 13. //
    '12.5.26 5:30 PM (121.182.xxx.101)

    푸른부분 끈적한 진 싫어하시면 물에 헹궈내고 사용하세요...

  • 14. ㅇㅇ
    '12.5.26 6:05 PM (211.237.xxx.51)

    저는 대파 사오는날은 첫날은 육계장이나 닭계장 끓이고 둘쨋날은 떡볶이 합니다 ㅎ
    하얀+ 연두 부분은 잘 썰어서 냉동시켜놓고
    파란 부분은 한번 데쳐서 닭계장이나 육계장 떡볶이에 넣어요~

  • 15. 파란 부분
    '12.5.26 6:33 PM (121.147.xxx.151)

    말려서 육수 낼때 쓰는데요...

    아크로바이오틱도 있는데 전 뿌리도 깨끗히 씻어서 육수로 ~~

  • 16. @@
    '12.5.26 7:08 PM (1.238.xxx.118)

    윗윗님~ 아크로비오틱이 아니라
    마크로비오틱(마크로바이오틱) 아닌가요??

  • 17. 저는
    '12.5.26 7:22 PM (211.196.xxx.174)

    버려요. 그냥 산 것은 아낌없이 ㅋㅋㅋ
    단 유기농 대파는 파란 부분만 데쳐서 진액 빼서 국물 내거나 떡볶이 매운 국물에 써요...
    웬만하면 정신건강을 위해 버립니다. 그냥 넣으면 맛없고, 쓰려면 전처리가 번거로워서요^^

  • 18. 네?
    '12.5.26 7:39 PM (125.135.xxx.131)

    저는 대파의 파란 부분이 더 요긴한데?
    파란 색이 모든 음식의 포인트 역할을 해요.
    파 맛을 좋아해서 색 내는 것엔 파를 넣거든요.
    가장 많이 쓰이는 건 곰탕 먹을 때 잘게 썰어서 탕에 얹어 먹는 거고 떡볶이에 듬뿍 넣어야 맛나요.
    그왼 잘게 썰어뒀다가 각족 국에 고명으로 올리고 찌개에도 넣어요.
    저는 쇠고기국 끓일때 만 흰 부분이 많이 쓰이고 그 외엔 파란 부분이 더 요긴한데?

  • 19. 왜 버리나요?
    '12.5.26 8:20 PM (116.38.xxx.72)

    국이나 기타 반찬에 고명으로 써도 파랗게 예쁘고 향도 좋구요, 경상도식 매운 쇠고기국이나 육개장 끓일때 대파 푸른 부분도 어슷썰어 듬뿍 넣어 끓이면 얼마나 맛있는데요? 고기 먹을 때 곁들이는 파겉절이에도 푸른 부분(많이는 안 넣죠. 끈끈해지니) 안쪽 점액 깨끗이 행궈서 잘 씁니다. 푸른 부분이 필요없는 부분이라면 팔 때 아예 흰부분만 손질해서 팔겠죠. 파값이 싸지도 않은데 절반이상 되는 부분을 그냥 버리나요??

  • 20. 파 키울때
    '12.5.26 8:46 PM (222.106.xxx.39)

    농약을 엄청친대요. 그래서 파란 부분은 버리라고 하던데요.전 과감하게 버려요. 농약땜시

  • 21. 버리지 않습니다.
    '12.5.26 8:59 PM (119.203.xxx.91)

    TV에서 유명한 소고기 육개장을 요리하시는 분을 봤는데..(대파를 많이 넣는)
    끈끈한 점액질을 제거하기 위해 끓는물에 살짝 데쳐서 사용하시더라구요.

    그런데, 이번 대파손질법 올라온 글을 보면
    흰부분과 초록잎의 용도를 알고 쓰시는 분들이야 괜찮지만,
    요리초보분들이 보기에 대파가 원래 초록잎 부분을 쓰면 안되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글에는 흰줄이 나는 억센부분만을 버리라고 했는데도.. 그렇게 느껴지긴 해요..

    초록잎부분을 왜 버리나요?
    어릴적부터 텃밭에서 뽑은 싱싱한 대파를 하나도 버리는것 없이 맛있게 먹어 왔어요.

    그것때문에 원글님의 음식맛이 없다는 얘기는 비약이 심하십니다요~~ㅎㅎㅎ

  • 22.
    '12.5.27 4:28 PM (1.231.xxx.187)

    전 다 써요..
    얇게 썰면 질감상 문제도 없고 맛 문제도 없어요 국에 찌개에 다 넣어 먹어요..
    그리고
    예전에 데쳐 사용하기도 했는데요 그닥 점액 나오지도 않더라구요.
    맛만 다 빠져 버려서 전 다 사용하네요 잘 씻어서 말이죠.

    그리고 농약 이야기 하시는분도 있는데 그렇게 따지면 다 먹을게 있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19557 초등학교 3학년인 아들이 어제 친구한테 받은 편지. 26 귀여운 녀석.. 2012/06/21 4,075
119556 교통사고.. 2 나일론 2012/06/21 1,208
119555 진상하니 생각나는 뷔페 손으로 집어먹던 진상손님 ㅉㅉ 2012/06/21 1,363
119554 [원전]카시와 · 오호리 강 1 마이크로 시버트 이상 현 출입 .. 참맛 2012/06/21 1,362
119553 영어공부관련 질문 3 익염 2012/06/21 1,216
119552 7세 야뇨증 4 쑥부쟁이 2012/06/21 2,125
119551 컷트 얼마만에 한번해야 깔끔하게 머리스타일 유지할 수 있나요? 6 dddddd.. 2012/06/21 3,169
119550 고양이들 닭발 먹나요? 7 냐옹 2012/06/21 2,489
119549 어른 2명,아이 2명이 300만원 정도로 갈수 있는 해외 있을까.. 6 해외여행초보.. 2012/06/21 2,751
119548 중2 아들 하루 제주도가는데 5 제주도 2012/06/21 1,499
119547 어제 감자를 사서.. 2 감자 2012/06/21 1,886
119546 어제 인천 아줌마운전 살인사건 말이에요 17 숫자 4 2012/06/21 11,228
119545 영어 웬만한거 글로 보면 내용 아는데, 1 영어 2012/06/21 1,423
119544 커버력 좋은 파우더 추천해주세요^^ 1 .. 2012/06/21 1,654
119543 남편 흰머리 염색약 어떤게 좋을까요? 2 염색 2012/06/21 1,894
119542 가난한 사람은 이제 병원도 못가네요.. 4 포괄수가 2012/06/21 2,705
119541 여러분은 혼자서 집계약 하세요? 7 집계약 2012/06/21 2,092
119540 아파트 탑층에 사시는 분들.... 6 여름 2012/06/21 3,848
119539 옵티머스 빅 사용하시는 분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2 스마트폰 2012/06/21 1,079
119538 폐가구 수거 인터넷으로 등록번호 받는 싸이트 어디 있나요? 2 의자 2012/06/21 2,351
119537 남자입장에선 본처자식이나 첩자식이나 다같은 자식이겠죠 7 박카스 2012/06/21 5,165
119536 유전자의 힘은 강하네요 3 2012/06/21 3,132
119535 봉춘장터~~앗싸~~감사합니다~~감사합니다~~ 4 스컬리 2012/06/21 1,657
119534 남자복 있는 사람은 따로 있는듯..ㅠ 7 멘붕 2012/06/21 7,503
119533 수원 안양쪽에 갈만한 계곡있나요? 6 조언 2012/06/21 1,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