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현재는 나쁘지 않은데 미래가 없는 남편

... 조회수 : 2,701
작성일 : 2012-05-24 09:45:54
남편이 공부를 좀 늦게까지 한..개천에서 난 용입니다.  저희 친정은 검소한 중산층? 혹은 서민층...
저는 전업과 파트타임잡 사이를 왔다 갔다 하고 있구요...
저 사십 초반이고 남편은 사심 중반, 중등, 초등 딸 둘 있어요..
현재 남편 연봉이 8천~9천 정도 됩니다...공기업이고 정년까지 십년 조금 더 남았네요...
그런데 저희 자산은 전세금 1억 8천이 다에요...청약저축이랑 현금까지 다 털어도 1500 만원이나 될까말까..
그것도 퇴직금 중간정산 받은거에다, 친정에서 1억 도와주셨어요..
즉, 남편이 지금 당장 직장 관두면 저희는 퇴직금도 없고, 저축도 없는거죠..
한마디로....이제부터 정말 빡세게 모아야 하는 처지인거죠...
왜 그렇게 돈이 없냐고 물으신다면...남편이 돈 벌기 시작한지 얼마 안되었고..
공부하는 동안 대출을 받은걸 관리를 제대로 못해서 이자에 이자가 붙고...휴...얼마전에 겨우 정리했어요...

전 앞날이 너무 불안해요...저축을 얼마큼씩 떼어서 어디다 해야 하는지도 잘 모르겠어요...
작아도 집은 한채 사야하고, 노후에 최저 생활비는 나와야 하잖아요...애들 교육비, 혼수비는 형편대로 한다고 해도요..
근데 남편은 연봉 받은거 다 쓸려구 해요...먹는거 노는거 너무 좋아해요..애들한테도 자꾸 뭘 사줍니다...
남편 회사 동료들 소비 수준이 높거든요...거기에 다 따라갈려고 해요..
(그 사람들은 맞벌이거나 집안에 원래 돈이 많더라구요...우리 처럼 남편 월급만으로 사는 집 별로 없어요)
물론 남편이 동료들보다는 덜 쓰니까...자기는 엄청 아낀다고 생각해요...
자꾸 어디 놀러가자, 어디 먹으러 가자..그래요...해외여행도 기회를 만들어서라도 갈려구 해요..
그래도 옷욕심 같은건 없고, 술담배도 안하고, 골프는 치고 싶어도 돈 없어서 못치니까...자기 딴엔 검소한듯??

집 사야 되지 않냐고 하면, 이제 집 값 폭락한답니다...(제가 여러채 사서 돈벌자는거 아니고..실거주 딱 1채 얘기한건데)
노후 대비는 어떻게 할거냐니까...늙으면 일찍 죽어야 한답니다...저보고 왜 이리 삶에 집착하냐는데요...
(저도 구질구질하게 병들어서 오래 살고 싶진 않은데, 전 자살은 못해요. 기독교인이라)
현재 남편 연봉이 나쁜건 아니니까...현재의 생활은 굴러가는데...
남편 퇴직하면 전 오십대 중반이고, 평균 수명으로 봐도 25년은 더 살텐데...
제가 연봉 절반만 저금하자고 하면...제가 너무 극단적이랍니다...
매달 시댁에 생활비 50만원씩 보내야 하고, 애들 교육비 들어가기 시작해서...진짜 힘드네요...휴....
자꾸 이런 얘기하면 아끼고 저축하려고 하는게 아니라 로또를 사러 나갑니다....
무식한것도 아니고...경제학 박사에요...

왜 제가 일하지 않냐고 물으신다면...
제가 일한다고 꼭 돈이 모이는건 아니더라구요...그다지 고소득도 아니었구요...
퇴근이 늦은 직종이라 애들 못 챙기고, 집안 엉망되고, 피곤하다고 외식하고...
돈을 벌긴하는데 제대로 관리 못하니까 지출도 엄청 많아지고...
암튼 제가 좀 여러가지 사정과 건강관리 문제로...올해까지는 건강관리와 애들 관리에 집중하고 내년부터 돈벌려구요...
IP : 112.121.xxx.214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살려면
    '12.5.24 10:09 AM (115.143.xxx.59)

    그럴경우...여자가 정말 빡세게 모아야 해요..벌어야 한단말이지요...
    어쩔수없어요..

  • 2. ...
    '12.5.24 10:17 AM (110.14.xxx.164)

    남편이 같이 정신차리지 않으면 힘들어요
    부부가 싸우게만 되더군요
    저도 그정도는 아니지만 남편이 고액연봉자고 집안에서 개룡이라
    나가는게 많아요
    그냥 두고 저도 적당히 살아요
    님경운 더 심각하니 쫄라매야 하는데... 잘 될지 모르겠네요
    사실 회사 동료랑 어울리는데 덜 쓰기 힘들거든요
    혹시 돈이 모아져도 남편에겐 항상 없다고 하세요

  • 3. ....
    '12.5.24 10:19 AM (121.157.xxx.79)

    저희 남편집이 무척 가난했는데,정말 미래를 위한 저축이란 개념이 없더군요.

    그래도 자산이 2억이면 많은편이네요.(물론 어떤 면에선 많은 편 아니지만.)
    미래도 중요하지만 , 현재도 중요한것도 사실이고요.

    남편분에게 너무 비관적으로 말씀하시진 마시고
    (저는 우리 남편에게 미래는 어떨것이다.이러면서 엄청 단도리 하면서 부정적인 말만 했거든요.그럴수밖에 없는게 너무 청순하게 소비하니까요. 어느순간 전 부정적인 말만 남편에게 하고 있더군요. 남편은 지레 겁먹고 있고.)
    적당히 현실을 보게하시고, 저축으로 얻을수 있는 희망과 비전을 적당히 제시하시면서 ,
    님도 너무 미리 걱정하시진 마세요.
    닥치면 다 살게 되어 있어요. 생각을 유연하게 가지시면 정말 삶은 어떤 형태여도 즐겁고 행복한것 같습니다.
    유연한 생각을 가지신다면 2억은 엄청난 기적같은 돈입니다.

  • 4. 파스타
    '12.5.24 10:23 AM (118.33.xxx.107)

    정년10년이면 50세 정도란말씀이신데, 자산이 1.8억... 좀 안좋긴하네요.
    그정도 연봉받아봐야 넉넉하게 쓸 형편은 아니신데..
    시댁에 50보내시니 연봉에서 600까이시고...

    소비성향 바꾸기전까진 답이없는데, 바꾸기는 어렵죠...
    금융공기업 같으신데, 퇴직하시고 자리하나 받으실수도 있습니다.
    그게 아니라면, 준비하셔야죠.

  • 5. 같이 버세요.
    '12.5.24 10:35 AM (112.164.xxx.118)

    슬플 것 같네요. 입장바꿔서 님 남편이 이렇게 님을 냉정히 평가하신다면 어떠실 것 같나요.
    남편분 능력 충분히 출중하고 대단하신데.. 단지 출발이 조금 늦었을 뿐 아닌가요?
    불안해 하실 시간에 같이 버실 생각을 하셔야죠.

  • 6. ...
    '12.5.24 11:22 AM (71.163.xxx.226)

    여자가 꼭 돈을 벌어야 한다고 생각하진 않아요.
    저는 사교육 별로 안 시키고 외식도 거의 안 했습니다.
    제 노동력으로 대신했죠.
    주변 사람들 만큼 쓰겠다는 남편 생각을 바꿔야죠.
    지금 연봉 높은 편인데 조금 절약하시면 됩니다.

    저도 요즘은 아이에게 덜 소비하는 삶에 대해 가르쳐야 하나 생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경제는 점점 힘들어질텐데 어른이나 아이나 소비하는 데서 삶의 의미를 찾고 있는 세태네요

  • 7.
    '12.5.24 11:34 AM (211.114.xxx.77)

    연봉이 높으니 지금부터라도 잘 모으시면 걱정 안하셔도 될것 같네요.

  • 8. 이런 경우
    '12.5.24 11:47 AM (211.114.xxx.233)

    맞벌이 하면 아마 남편은 더 신이 나서 소비를 할까봐 무서워서 돈 벌러 나가지도 못할 듯...
    지속적으로 조근 조근 말하는 수 밖에 없고요. 그래도 안 들으면 일단 주는 돈의 일정액을 적금으로 묶으세요.
    그리고 주기적으로 이번 달까지 모은 돈은 얼마다. 이제 몇달만 더 모으면 얼마 된다 하면서 어린애 달래듯 돈 늘어가는 것을 알려주세요.
    달래야지요. 집 값 폭락 한다는 당신 말이 맞다. 그때를 준비해서 좋은 집 싸게 살 수 있도록 자금을 모아놓자 하면서 달래고, 애들 고생 시키지 않으려면 우리가 준비는 해놔야 한다고 애들 얘기도 하고..
    저희도 돈을 늦게 벌기 시작해서 10년간을 저축도 없이 간신히 살았어요. 그때는 돈 더 많이 썼어요. 일단 돈이 들어오기 시작하고 모으기 시작하고 그게 눈에 보이니까 소득에 비해서 검소하게 사는 편이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15974 SES 슈의 막장 드라마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 아리 2012/06/11 2,815
115973 50대 후반에 베이비시터 1 아기 돌보미.. 2012/06/11 1,593
115972 실비 맘모톰 수술후 입원이 낫나요? 3 샤샤 2012/06/11 1,908
115971 내곡동 사저 무혐의 '백방준 검사' 누군가 보니 4 참맛 2012/06/11 1,669
115970 비듬있는 머리에 러쉬 고체 샴푸 괜찮을까요? 써보신분? 7 블루 2012/06/11 4,969
115969 상해, 홍콩, 마카오 여행기간을 어떻게 잡아야 할까요? 3 질문 2012/06/11 1,359
115968 몇일새 토마토가 많이 싸졌네요. 3 여러분들.... 2012/06/11 2,367
115967 4살 딸아이 기침하다 밤새우네요. 방법 없을까요? 13 답답해요. 2012/06/11 6,976
115966 중딩 아들넘이.... 1 ㅠ.ㅠ 2012/06/11 1,536
115965 인현왕후의 남자 대박~ 1 왕자셋맘 2012/06/11 1,660
115964 재미없고 성실하고 착한남자 vs. 다정다감한데 여자가 잘 따르는.. 5 고민 2012/06/11 5,152
115963 엘에이 기어, 엘레쎄 브랜드 아세요? 4 80년대운동.. 2012/06/11 2,125
115962 브라탑 괜찮은 브랜드.. 3 브라탑 2012/06/11 1,915
115961 빌라청소 2 청소 2012/06/11 1,598
115960 자유게시판 익명 보장 받는 것 아닌가요? 4 82 2012/06/11 1,556
115959 살은 안 빠질까요? 5 걷기운동 2012/06/11 1,921
115958 포뇨의 남주인공 애가 불쌍하네요 7 포뇨 2012/06/11 1,633
115957 제사후 남은 전 어떻게 먹어야 좋을까요? 13 .. 2012/06/11 1,624
115956 6살 아들 이럴때, 어떻게 혼내야하나요?ㅠㅠ 6 .. 2012/06/11 1,187
115955 한우 현지에서는 폭락이라는데 판매점 가격은 그대로일까요? 3 궁금 2012/06/11 939
115954 의리와 신뢰가 다른거 맞지요? 궁금 2012/06/11 673
115953 준비해야할 것 2 미국에서 결.. 2012/06/11 536
115952 '추적자'를 보면 한국 사회의 현실이 보인다 샬랄라 2012/06/11 980
115951 지휘자 카라얀과 부인.. 5 카라얀 2012/06/11 3,727
115950 양념게장 어디서 사먹으면 맛있을까요? 1 양념게장 2012/06/11 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