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집에서 입는 옷도 좋은걸로 사서 입나요???

콩콩이마미 조회수 : 6,325
작성일 : 2012-05-23 15:13:17

맞벌이 신혼부부구요. 아기 어릴때 열심히 모을려고 아껴가며 살고 있어요.

저희가 사는 동네가 지방이지만 여기에선 잘사는 동네에 속하는 편이고 소득수준이 좀 높은 동네예요.

그래서 그런건지 엘리베이터에서 마주치는 사람들이나 동네 앞에 마트나 슈퍼에 가서 사람들 옷차림을 보면

그냥 편하게 입고 나왔는데 그게 다 비싼거예요. 외출복이 아니구요.

츄리닝 같은건데 위아래로 맞춰서 쥬시꾸띄르, 노스페이스, 나이키, 폴로.. 운동화나 슬리퍼도 방금 막 산것처럼

깨끗하고 좋은것들이구요. 화장도 안하고 머리보면 그냥 질끈묶고 나온걸로 봐서 꾸민것도 아니거든요.

츄리닝도 셋트로 사면 그냥 기본이 20만원씩이쟎아요. 오래 입은것도 아니고 새것처럼 깨끗하구요.

재활용하러 잠깐 나와서 봐도 옷들이 다 외출복같이 깔끔하게 떨어져요.

신랑이랑 저랑 어제 산책하다가 주위를 둘러보고는 이동네에 우리처럼 하고 다니는 사람은 한명도 없다 그랬어요.

저는 그냥 자켓이나 코트같은건 비싸게 좋은거 사지만 그냥 티셔츠나 츄리닝 같은건 이월세일이나 지마켓에서

사거든요. 특히나 집에서 막 뒹굴면서 입는 옷은 외출복으로 입다가 후줄근해진 티셔츠같은거 입고-_-;;

이게 천이 보들보들해서 잘때 입어도 편하고 뭐가 묻어 안지워져도 버려도 되니까요.

그래서 택배같은거 오면 가디건이라도 걸쳐야하고 집에 있던 상태로 그냥 못나가거든요.

그냥 외출복 계절별로 사는것만으로도 부담되는데 집에서 입는 츄리닝까지 저런걸로 사입는다면

도대체 의복비에 얼마나 지출하는거예요?

저희가 너무 짠돌이처럼 독하게 사는건지 다들 그런가요???
IP : 183.103.xxx.91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5.23 3:18 PM (110.14.xxx.164)

    집에서 입는거랑 마트 갈때 입는건 좀 차이가 나죠
    아무래도 아는 사람이라도 만나면 곤란하니까 ...조금 신경써요

  • 2. ..
    '12.5.23 3:20 PM (1.225.xxx.124)

    누구나 마트나 하다못해 현관밖이라도 나갈때는 집에서 차림 그대로는 안나가지요
    님이 마주치는 그 사람들도 집안에서의 차림은 아니에요.

  • 3. 전 서울사는데
    '12.5.23 3:20 PM (220.93.xxx.191)

    원글님처럼 그렇게 입어요
    가끔 잠깐 외출용으로 몇벌 세트로 산것도있어요
    지금은 다시 직장다니는데
    아이낳고 2년간 집에있을때는 집에서 입는옷 위주로
    많이 구입한것같아요
    슬리퍼도 아디다스.뭐 이런식으로
    왜냐면 그땐 그게 주된 의복이였으니까요
    다시 일을하니 외출복이 주의복이되니깐
    이지웨어쪽은 또 안사고 입었던 옷이나
    길가다 편해보이는 싼옷을 사게되네요^^

  • 4. 진짜
    '12.5.23 3:23 PM (125.135.xxx.131)

    멋쟁이는요.
    표나게 정장 이런거 비싼 것만 입는 사람이 아니구요.
    아주 평범한 소재 즉 이너로 입는 면티,추리닝,운동복까지 좋은 걸로 입어요.
    티 하나에서 세련이 얼마나 차이 나는데요?
    연예인들 입은 흰 티 하나도 그냥 흰티가 아니죠?

  • 5. 그게
    '12.5.23 3:31 PM (211.224.xxx.193)

    생활수준의 차이아닐까요? 작은거 하나도 비싼거 사거나 또는 최소한 남의 눈 보이는데선느 최고로 입고 다닌다. 저도 외출복 살땐 좋은거 사는데 집에서 입는옷은 만원샵가서 사다 입어요. 또는 유니클로 실내복 입거나. 저도 동네돌아다닐때 입을 옷으로 나이키나 이런데서 좋은 츄리닝 사뒀다 입을까 생각중에요. 너무 후줄근해서리

  • 6. ...
    '12.5.23 3:41 PM (116.126.xxx.116)

    애낳고 한동안 저렴 모드로 사입었더니
    싼건 확실히 비지떡이더라구요.
    인터넷껀 특히나.

    원래도 옷은 많이 사입지는 않는 편이라서
    요즘 새로 사는 옷들은 좀 나은거 사입습니다. 추리닝까지...
    집에서 막굴리면서 입지않으면 되잖아요.
    옷은 잘입고 신경쓰면..사실 낡아서 못입지는 않으니까요.

  • 7. 제가지방에잠깐살면서..
    '12.5.23 3:59 PM (211.246.xxx.63)

    아랫지방에 발령차 잠시 살았거든요
    쇼핑을 그 시에서만 하는게 아니라 옆에 더 큰 도시로 넘나들면서 백화점을 다니고
    또 백화점에 가보면 아이쇼핑보다 구매를 많이해서 놀랬거든요
    서울에서 이사온지 좀 되는 분이 이런 현상이 나오는 이유가 지방도 전문직이 있잖아요
    도시가 좁다보니 몇 개 아파트에 몰려살고
    또 집값이 서울에 비해 저렴하니까 내집 장만 쉽게되고 어차피 그 도시 떠나살것도 아니니까
    버는대로 다 쓰더라구요
    꼭 전문직이 아니더라도 집장만 쉽게되면
    소비를 많이 하는 풍토래요
    그 말을 들은 후에야 지방도시의 소비성향을 이해했어요
    정말 쓰는 사람들은 강남 못잖게 호화롭게 누리고 살아요

  • 8. 콩콩이마미
    '12.5.23 4:18 PM (183.103.xxx.91)

    종합해보자면 결국 집안에서 막입는옷은 따로 있고 집앞에 잠시나가는 외출복(?)이 따로 있다는거네요???
    마트갈때나 집앞에 잠시 나갈때 입는 츄리닝이나 홈웨어 같은걸 따로 산다는거죠??
    저는 잠깐 나가더라도 그냥 청바지, 티셔츠 이렇게 갈아입고 나가거든요..와 그럼 도대체 의복비가 얼마나 든다는건지... 유니클로 홈웨어 저도 즐겨입는데 이런데서 사입어도 한해만 지나면 늘어나고 후줄근해져서 집밖에 나가는건 힘든데. 사람들이 의복비에 상당히 쓰겠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2356 자동차보험 2 안녕하세요 06:12:33 129
1772355 조태용 구속!!! 5 가즈아 06:04:28 1,259
1772354 경상도 사람인데 조언부탁드려요 12 생각 06:00:25 829
1772353 아래 노모에 대한 솔직한 글보고... 15 이해 05:40:18 2,099
1772352 사람끼리 파동,주파수,결이다른 느낌 아시나요? 4 결이다른 관.. 05:16:10 613
1772351 인천대, 지원자들 서류 모두 파기 일파만파 4 ㅉㅉ 04:46:29 2,119
1772350 요즘 장보기를 거의 쿠팡과 톡딜에서 해요 2 ........ 04:19:01 994
1772349 이젠 외국인들이 고구마에 김치 얹어 먹기까지 하네요 6 ..... 03:05:04 1,423
1772348 부모의 죄는 자식한테 간다 13 Ai 02:53:48 2,238
1772347 아내는 나무이고 자식은 열매 3 ... 02:53:08 916
1772346 문재인 대통령과 비슷한 김기표 의원 4 ㅎㅎㅎ 02:29:01 1,155
1772345 마늘종을 식초에 절여뒀는데 이 다음엔 어떻게? 1 알려주세요 02:27:51 277
1772344 나스닥 빠지네요. 4 ... 02:20:36 1,848
1772343 명세빈 다시봤어요 7 01:38:15 5,614
1772342 식탐은 어떻게 누르나요 3 아주그냥 01:34:35 1,265
1772341 혹시 요즘 저같은 증상 있으신분 계신가요? 1 ㅇㅇ 01:23:31 987
1772340 포천 1 ... 01:21:41 334
1772339 축의금 입금/직접 3 축하 01:09:35 773
1772338 AI 아이돌 걸그룹 뮤비 2 ........ 00:51:16 612
1772337 명언 - 모든 책임 1 ♧♧♧ 00:32:23 638
1772336 고등학교 배정 결과는 언제 나와요? 1 ... 00:30:25 397
1772335 미자는 결혼 잘한거같아요 2 미자 00:27:08 3,268
1772334 패딩이 많은데 자꾸사고싶네요 4 ... 00:22:58 2,273
1772333 모임 총무 관두려구요 5 ㄱㄱ 00:16:22 1,735
1772332 아레나 수영복 사이즈 문의드려요 4 주니 00:15:51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