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쟁을 겪은 노인분들의 마음

식당에서 조회수 : 1,339
작성일 : 2012-05-16 16:05:32

얼마전에 식당에 갔는데 옆 테이블에 나이 지긋하신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앉아서 조용히 말씀을 나누시더라구요.

워낙 조용조용 말씀을 나누셔서 옆 테이블이라도 잘 들리지 않았는데

나중에 북한얘기 나오면서 언성이 살짝 높아져서 들을수가 있었어요.

자세한건 모르겠고 전쟁때 얘기를 하시는것 같았어요.

피난중에 폭격을 당해서 불과 몇분전까지 얘기 나누며 같이 걷던 일행이

눈앞에서 죽는걸 보았답니다.

애엄마가 죽었는데 업고있던 아이만 살아서 엄마곁에 꼬물꼬물 기어가서

피투성이가 된 엄마젖을 빨고 있더래요.

그러자 할머니가

이제 그런건 그만 잊어버리라고하니

잊혀지지가 않는다고 그 와중에 사람들은 다시 짐챙겨서 피난길에 올랐다구요.

그런 애기 들으니 인간적으로 그 세대분들이 안스럽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어요.

전쟁이 싫고 다시는 전쟁을 겪고 싶지 않은 마음도 이해가 되구요.

나이드신 분들이 겪어온 삶의 한 줄을 살짝 엿본 느낌이에요.

IP : 1.236.xxx.72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쪽바리쥐
    '12.5.16 4:24 PM (119.82.xxx.24)

    실제 목격한 것보다는 반공 세뇌교육이 더 주효하지 않았나 생각해요. 전쟁을 겪지 않았던 저조차도 어렸을때는 북한 사람들은 머리에 뿔 달린 줄 알았거든요;

  • 2. ...
    '12.5.16 4:28 PM (121.170.xxx.74) - 삭제된댓글

    쪽바리쥐님 말씀에 동감 합니다... 어릴적 교과서에 북한사람들은 늑대였던 기억이...김부자는 돼지였구요...ㅋㅋ 세뇌교육이 무섭죠... 전쟁은 우리나라만 한건 아니죠... 유럽을 보세요...

  • 3. 전 그래서
    '12.5.16 4:29 PM (14.52.xxx.59)

    전쟁겪은 분들은 뭐라고 못해요
    박완서님 성향 가지고 여기서는 뭐라고 하지만,,,아버지 없이 집안의 기둥이던 오빠가 그리 된다는건 상상도 어려운 일이잖아요
    저희 엄마도 시체 헤치고 피난통에 고등학교 다니셨다고 합니다
    아버지는 지난 세월 떠올리면 전쟁 재건 이런것밖에 기억이 안난대요
    두분 다 고등교육 받고 교수되신 분들인데도 풍요로운 기억이 안 나더라구요 ㅠ

  • 4.  
    '12.5.16 4:48 PM (183.102.xxx.179)

    다른 나라가 쳐들어오는 거랑, 같은 민족이 싸우는 거랑은 트라우마가 틀려요.

  • 5. fd
    '12.5.16 4:51 PM (61.72.xxx.112)

    직접 전쟁겪은 분들의 그 생각은 세뇌가 아니에요.
    자기 가족과 친구들이 비참하게 죽고 하는걸 봤으니
    그 트라우마가 아주 강하죠.

    그래서 전 다른데서는 어쩌구 저쩌구 마구 말해도 그런 어른들 앞에서는
    그냥 입다물로 듣고 있어요. 저게 아닌데 싶어도...그 고통을 겪었으니
    말해도 안될테고 말하는것도 예의가 아닌거 같아서요.

  • 6. 어휴
    '12.5.16 6:22 PM (115.136.xxx.27)

    저희 할머니가 저 어릴적에 전쟁 얘기 많이 들려주셨는데요.. 거리를 나갔는데 불에 타 죽은 시체들이 진짜 거리에 널려있었다고.. 지금도 자다가도.. 그 죽은 사람.. 발이 뒤틀려져 있는 발이 보인다고.. 무섭다고 하세요.
    그리고 불에 그슬린 고양이도 꿈에 보인다고 하세요.

    그리고 옆에 가던 사람이 억하고 쓰러지는데 정말 옆자리에서 쓰러지는데 피가 튀었다고.
    너무 소름끼치고 무서웠다고 하시더라구요.

    하지만 시체보다 무서운게 배고픔이었다고 하셨어요.. 저희 아빠랑 작은 아빠랑 밥달라고 어찌나 울던지
    본인도 배고프고 아이들 줄 것도 없어서 바다에 빠져죽을까 하고 생각하셨대요..

  • 7. ----
    '12.5.16 9:48 PM (92.75.xxx.1)

    울 나라 아니지만 친한 제 독일 베프 할아버지가 18살 때 폴란드 어디더라..? 거기부터 독일 남부 뮌헨까지 혼자서 걸어서 왔답니다. 부대에서 혼자 살아남아서요...폴란드에서 독일이 바로 가까운 듯 해도 기차로 얼마 걸리더라...? 북한 끝에서 제주도 끝보다 더 먼 거리에요. 그 얘기 듣고 전쟁 정말 후덜덜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13496 숙제 도움 요청이요 호주하면 떠오르는것 하나만 써주세요 25 라일락 빌리.. 2012/05/25 2,113
113495 일반 민간 어린이집도 방학기간이 있나요? 5 .. 2012/05/25 1,484
113494 더킹에 미안하네요. 17 샬랄라 2012/05/25 3,008
113493 어제 '옹정황제의 여인' 줄거리좀 알려주세요 ㅠ 4 올레 티비로.. 2012/05/25 7,033
113492 두 문장의 동명사의 위치가 맞는지요. 3 영어질문 2012/05/25 1,114
113491 한미 FTA로 건축사 수의사들은 좋을거 같아요. 4 ... 2012/05/25 2,418
113490 전세 계약기간 이전 이사할 경우 세입자의 의무는? 3 당황스럽네요.. 2012/05/25 4,094
113489 한지민씨 말이에요 3 2012/05/25 2,876
113488 사람들이 고현정씨에게 관심이 많나요?^^;; .... 2012/05/25 1,609
113487 1위 탈환 김한길, 이해찬 흔들고 역전 드라마? 3 세우실 2012/05/25 1,777
113486 남편이 화를 심하게 낼때? 5 화? 2012/05/25 1,958
113485 서울에서 지방으로 에어컨 보내기? 3 중고에어컨 2012/05/25 1,425
113484 영부인이 집에 오는 꿈 8 사과 2012/05/25 6,538
113483 전라도지역에 여행지 추천좀 해주세요 초1 2012/05/25 1,126
113482 (급)시어머님 생신상 메뉴 추천해주세요!!!! 11 초보주부 2012/05/25 3,658
113481 여수 엑스포 다녀왔어요~ 좋은 곳 추천합니다~^^ 80 분당시민 2012/05/25 10,339
113480 [131회] 민주당대표경선 "문재인을 막아라?".. 5 사월의눈동자.. 2012/05/25 1,459
113479 어른도 감기심하면 눈꼽끼나요?? 2 옮아서.. 2012/05/25 5,962
113478 애들이랑 어디를 다녀올까요? 1 연휴 2012/05/25 944
113477 흑염소 농장 아시는 분 소개해주세요.~ 동글이 2012/05/25 1,723
113476 어제 상추국으로 급히 글올렸다가.. 국 필요하던.. 2012/05/25 1,338
113475 5월 25일 [손석희의 시선집중] “말과 말“ 세우실 2012/05/25 832
113474 박유천의 발견~ 8 ㅎㅎ 2012/05/25 2,380
113473 눈밑지방때문에 성형외과에 상담하러 갔는데 2-3년뒤에 오라고 하.. 5 ....? 2012/05/25 2,577
113472 정말 재밌게 보신 드라마! 추천해주세요!! ^^ 40 ..... 2012/05/25 3,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