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빈곤의 다문화화와 위선

별달별 조회수 : 1,028
작성일 : 2012-05-09 07:12:25

http://news.hankooki.com/lpage/opinion/201205/h2012050721022381920.htm

이자스민씨의 새누리당 국회의원 당선과 수원 살인사건은 한국식 다문화주의의 허구를 가감 없이 드러냈다. 두 사건을 계기로 수없이 많은 네티즌들이 살벌한'제노포비아'(인종차별의식)를 표출했다. 그러자 점잖고 인권의식이 '올바른' 지식인들은 물론, 진보ㆍ보수를 초월한 모든 언론이 나서서 국수주의와 인종주의에 찌든 '찌질이'들을 비판하고 걱정했다. 그런데 뭔가 좀 이상하지 않은가. 오늘날 한국에서 진보와 보수가 이렇게 '화합'하며 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사안이 있던가.

필자는 '원론적으로' 다 옳고 마치 입을 맞춘 듯 점잖은 꾸지람들에 오히려 한국 다문화주의의 모순과 위선이 담겨있다고 느꼈다. 게다가 며칠 전 이명박 대통령 각하께서 친히 다문화정책을 열심히 펴겠노라 공언하시니 더 깊이 의심을 품지 않을 수 없었다.

'무식하고 인권의식이 낮은 초딩' 취급 당한 네티즌들뿐 아니라, 기실 대한민국 전체가 다문화의 실제에 관한 한 초보급이라 본다. 왜냐하면 우리 '단군의 자손들'은 이민을 받아본 적도 없고,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자가 많아졌다지만 아직 인구 비율이나 '영향력'에서나 새발의 피도 안 된다. 경험이 없기 때문에 '개념'도 '법'도 없다. 교육ㆍ노동ㆍ결혼 등 이주자의 권리와 의무 등의 실제적인 문제에 대해서 준비가 거의 돼 있지 않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국적법과 노동관련 법처럼 배타적인 법이 다른 나라에 또 있을까.

다문화사회는 정말 좋은 것인가. 왜 좋은 것인가, 또는 불가피한 것인가. 다문화사회란 것이 진짜 한국에 가능한가. 이런 근본적인 물음에 대한 답이나 토론은 거의 없었다. 어떤 다문화 사회를 지향하고자 하는 것인가에 대한 상도 물론 없다. 미국식? 혹은 프랑스식이나 호주식?

그런 와중에 '위로부터의' 혹은 '관변의' 한국식 다문화주의가 얼렁뚱땅 창조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매우 원론적이고 관념적인 인권 담론과 엄청난 위선을 더해 구성된다. 기실 이자스민을 공천한 그 세력이야말로 현재 수준의 한국식 다문화의 가장 큰 혜택을 누린다. 그러면서 동시에 참혹한 인종주의를 실천한다. 그것은 지독하게 싼 임금과 연수생 제도 등의 차별을 통해 지탱된다. 그 효과는 아래로부터 노동을 '다문화화'하는 것이다. 물론 노동의 다문화화는 기업이윤을 높이고 노동자의 단결을 저해하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면서 부자 당의 대표와 대통령이 마치 똘레랑스의 화신인 양 다문화주의를 '계몽질'한다. 그들은 이주노동자의 노예노동 같은 문제에 대해 입 한번 대지 않고 이자스민씨 하나로 코스모폴리탄적 양심과 인권을 돌보는 세력인양 전세계에 광고했다. 이 얼마나 이문이 크게 남는 장사인가.

이것이 오늘날 한국식 다문화주의의 제1형식이 아닌가 싶다. 한국식 다문화주의는 내국인과 이주민 모두에 대한 새로운 노동착취구조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 다문화주의는 '노동의 다문화화'혹은 '빈곤의 다문화화'에 다름 아니다.

한편 주로는 가난한 나라 출신의 사람들과 함께 일하고 직접 부대껴야 하는 평범한 국민들도 나름의 방식으로 다문화상황을 맞고 다문화주의를 실천한다. 농촌의 남성과 노인들이 동남아와 가난한 이주여성들을 가족으로 맞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현장에서는 가난한 노동자들이 역시 다양한 인종의 가난한 노동자들과 함께 살아간다.

반면 '위'로 갈수록 인종ㆍ학력ㆍ언어의 '넘사벽'(넘을 수 없는 4차원의 벽)들이 설치돼 있다. 새누리당 의원들이나 한국의 지식인들 중에 과연 동남아 출신의 사위나 흑인 며느리를 맞을 수 있는 '똘레랑스'를 가진 분들이 얼마나 될까. 오히려 한국의 상층 문화는 이전보다 더 백인화 내지는 미국화되고 있다. 그들이 얼마나 FTA와 미국 유학과 미국산 쇠고기를 편애하시는지를 보라.

다문화라는 말 자체에는 아무 내용이 없다. 다문화의 경험과 인식 또한 철저히 계급적인 것이고, 문화적 위계가 깊게 아로새겨진 어렵고 힘겨운 과정이기 때문이다. 적지 않은 국민이 부자 정권의 다문화 '드립'에 대해 화를 내고 있는 것은, 바로 이 '노동과 빈곤의 다문화화'를 감지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점을 잊지 않아야 하겠다.

천정환 성균관대 국문과 교수

- 2012년 5월 7일자 한국일보

 

=====================================================================================================

양심있는 석학들이 드디어 펜을 들기 시작했군요. 일반 시민 차원에서 적극 추천하고 지지해야 합니다.

 

IP : 220.122.xxx.164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13338 집중이수제 왜 하는걸까요? 15 집중이수제 2012/05/24 2,057
    113337 누나가 오늘 출산했는데 어떤선물이 좋을까요? 9 피스 2012/05/24 1,975
    113336 부산역서 국제시장까지 얼마나 걸리나요? 6 부산가요~ 2012/05/24 4,469
    113335 한때는 빵 참 좋아했는데... 7 2012/05/24 2,489
    113334 엄마야.., 미안해 (펌) 1 ㅠㅠ~~ 2012/05/24 898
    113333 누우면 배가 아프고 앉으면 안아프다고 하는데요. 2 T.T 2012/05/24 2,807
    113332 굳은 결심-쌤플 너부터 다 써주마... 2 파란토마토 2012/05/24 1,358
    113331 다리 날씬해지고 싶어요... 3 종아리 2012/05/24 1,746
    113330 김연아 매일 교생실습 나간다는데 황상민 교수가 잘못 알았나 보네.. 102 dd 2012/05/24 13,547
    113329 옷사이즈 완전 이상해요.ㅠㅠ ㅠㅠ 2012/05/24 748
    113328 카드결재 내역 확인 방법 좀 알려주세요..ㅜ.ㅜ 9 카드결재내역.. 2012/05/24 2,467
    113327 재신 공주 이윤지 참 괜찮은거 같아요.. 13 .. 2012/05/24 3,493
    113326 채칼..손가락 꿰맸어요 22 무서워 2012/05/24 4,969
    113325 카카오스토리 스토리 친구 공개 좀 하지.... 3 ... 2012/05/24 3,281
    113324 급질문!! 싱거운 깍두기 1 깍두기 2012/05/24 1,746
    113323 이태리로마혹은독일에서 일리머신살수있는곳알려주세요 4 2012/05/24 938
    113322 pmp 추천해주세요 1 pmp 2012/05/24 879
    113321 어디로 이사해야할까요 2 갈팡질팡 2012/05/24 1,199
    113320 아까 약국 잘못으로 약 두배로 먹었다는 후기예요 11 가만 안둘력.. 2012/05/24 3,242
    113319 자존심을 지킬줄 아는 지상파 수목 드라마.... 4 나무 2012/05/24 1,949
    113318 십리가몇키로인가요 3 zzz 2012/05/24 4,509
    113317 화장품을 충동구매했어요ㅠㅠ 4 cccccc.. 2012/05/24 1,772
    113316 보안카드 외워 쓰는분도계실까요 3 심심 2012/05/24 1,449
    113315 6월말에 이사를앞두고 있는데 장마가·‥ 장마 2012/05/24 757
    113314 셀프염색 망쳤어요 어쩌나요 ㅜㅡㅜ 1 ㅡㅡ 2012/05/24 2,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