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꼭지에 집 산 하우스푸어에요

빚순이 조회수 : 11,748
작성일 : 2012-04-27 20:56:34
2006년도 가을 결혼 시 꼭지 때 집을 샀어요
그 땐 집 사는 게 재테크에 유리하다고 너도 나도 할 것 없이
빚 내서 집을 사던 때라 집 값이 엄청 올랐어요
1기 신도시라 살기 좋은데.
결과적으로 일억이나 떨어지고 이자 비용까지 하면
손해가 1.5억이네요 ㅠㅠ
지금 팔고싶어도 매물이 쌓여있고 급급매 위주로 거래되서
거의 포기상태네요 그냥 계속 가지고 갈 수 밖에 없네요
솔직히 빚 때문에 둘째 갖기도 힘들 것 같아요
저같은 하우스푸어 계세요?


IP : 116.40.xxx.134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ㅠㅠ
    '12.4.27 9:01 PM (121.139.xxx.55)

    집 사실땐 이자 감당하실 생각 기꺼이 하셨겠지요
    같은 이자를 지금 감당하고 있어도 이집이 올랐으면
    심리적으로 그 돈이 아깝지 않을거구요

    집은 주거개념으로 사시려했다면 무리한 빗내서는 안하셨을텐데요

  • 2. ...
    '12.4.27 9:03 PM (115.126.xxx.140)

    저렇게 급등하다가 거품빠지면 꼭지에 사는 사람이 나올 수밖에 없죠..ㅠㅠ

  • 3. ......
    '12.4.27 9:06 PM (112.154.xxx.59)

    아는이도 대출을 2억안고 집을 샀는데 지금 산금액보다 2천정도 떨어졋데요. 집산다길래 전세로 하라고 말했었는데 듣지를 않더라구요. 제돈도 아니지만 생각하면 왤케 아까운지..

  • 4. ???
    '12.4.27 9:06 PM (110.70.xxx.232)

    이천육년말이꼭지엿나요? 잘기억이.
    전 실거주목적으로 서울에작은거하나마련했었어요,2007년 말에요. 빚이 아직일억이나... 그때시세보다 급매로사서, 지금 아파트실거래싸이트보니 우리단지 같은평수는 평균 7천정도오른거같더라구요.
    서울에 작은 거라도잇어서 맘이 낫구요. 애들데리고 이사안가도되니 속은편해요

  • 5. 말랑제리
    '12.4.27 9:09 PM (210.205.xxx.25)

    이런것도 물론 억울하지만 변액보험으로 손해본 액수 생각하면 자다가도 잠이 깹니다.
    온 국민이 사기당하는 느낌이예요.

  • 6. 세종이요
    '12.4.27 9:23 PM (124.46.xxx.189)

    이미 큰환란이 올것 같네요..
    이정부는 거품이 꺼지지 않게 금리를 동결하고 있지요..아마 이명박 정부 끝날때까지 금리 동결할껍니다..
    그러다보니 빛내서 내집마련 하라고 부추기도 하고 금리동결되니 사람들이 무뎌자지요 이자에 대해서..
    그러나 물가는 계속 천정부지로 오를수 밖에 없지요..
    금리는 동결하고 환율은 정부 개입으로 고환률정책이니..
    총알 떨어진자는 망하고 총알 준비해놓은자는 또한번 대박현실이 다가오고 있지요..

  • 7. 무서워요
    '12.4.27 10:03 PM (118.91.xxx.85)

    정말 거품 빠지는가 봐요... 이러면 후유증도 만만치 않을텐데 걱정되네요.
    97년 IMF 때를 생생히 기억해요. 다들 위태롭게 하루하루 넘기는 분위기가 한동안 이어졌지요.
    제 지인도 2007년도에 재건축 예정인 대단지 아파트를 고점에 사서 현재 손익분기점에서
    한참 멀어졌다고 해요. 그나마 직장다니니까 감당은 한다고. 원글님도 힘내세요...

  • 8. 요즘
    '12.4.27 10:08 PM (121.147.xxx.151)

    신규 아파트 실거래가가 분양가보다 훨씬 밑돌아 난리랍니다.

  • 9. ...
    '12.4.27 11:42 PM (118.36.xxx.59)

    저희도 신도시인데 집값이 사년전 살때에 비해1억이상 내렸어요.
    팔려고 내놔도 거래도 안되고..집생각하면 우울해요.

  • 10. @@
    '12.4.28 12:38 PM (115.136.xxx.59)

    제 친구랑 저랑 딱 그때 집을 샀어요..그 친구는 대출 끼고 수지에..저는 용산 쪽에 대출 없이 샀고요..
    수지는 정말 너무 떨어져서 친구가 속상해 하는데..더 문제는 그 이후에도 아파트를 너무 많이 지어서 앞으로도 안오를거라는거죠..제가 사는 용산쪽은 그래도 여러가지 호재가 있고 서울 중심이라 떨어져도 낙폭이 크지 않은거 같아요..앞으로는 철저히 지역차가 완연해질거 같아요..집을 사려면 이점을 꼭 고려해야 될거 같아요..
    뭐 거품이 무너져서 반토막 나길 바라는 사람들 바람대로 된다면 우린 다같이 망하는거구요...
    그냥 제개인적인 촉으로는 한 번 정도는 살짝이라도 오를 기회가 오지 않을까 싶은데..힘내세요!

  • 11. 분당 아줌마
    '12.4.28 1:52 PM (112.218.xxx.38)

    집값이 안정되어야 하지만 이런 분 사연은 또 안타깝습니다.
    그러나 집값은 떨어질 수 밖에 없고 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거품이 빠지는 건 정말 큰 일이고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한 일인데 이 정부는 그거 시간만 끌고 있다고 봅니다.
    지금보다 앞으로가 더 걱정입니다.

  • 12. 2008년 봄에
    '12.4.28 2:15 PM (122.34.xxx.11)

    샀는데도 산 금액에서 5천 가까이 빠졌어요.그당시 단지 안에서 제일 싼 매물이었고..
    고점 대비 6~7천이나 빠진 상태라 꼭지도 아니라 여기서 또 이렇게나 많이 떨어질건
    상상도 못했거든요.아무리 실거주라지만 대출도 1억 6천이나 받고 갈아타다보니 4년
    동안 이자 나건 금액까지 치면 8천 날린 셈이지요.서울도 아니고 경기도인데..지하철
    개통 되도 급매물이나 가뭄에 콩 나듯 하나씩 거래 되니 급매가 맞춰 내놔도 보러도
    안오네요.꼭지에 산것도 아니고 대체 왜 이리 많이 떨어지고 거래도 안되는지..평수
    작더라도 빚 털어버리고 저축 좀 해보고 살고 싶어서 손해 많이 보더라도 팔려 하는데
    거래도 안되고 답답해요.

  • 13. .....
    '12.4.28 3:06 PM (218.158.xxx.108)

    옛날부터
    아파트 원가공개 원가공개 하더니만
    왜 여태 못하고 있나 몰라요
    저두 집 샀지만 집값 떨어져야 맞다고 봐요
    우리엄마 모실려면 이제 더 넓혀가야 하거던요..

  • 14. 지방은
    '12.4.28 5:45 PM (112.158.xxx.196)

    투기세력이 활개치기 쉬운 곳이라
    내리막을 타면 급속도로 떨어질거라고 해요
    그나마 서울은 그래도 유지할거라고 셍각되구요.

    지방이 계속올랐다고 하시면
    서울로 갈아타세요

  • 15. 서울인데
    '12.4.28 6:56 PM (220.86.xxx.73)

    영등포랑 목동에 동생들이 한 집씩 샀어요
    거래는 뜸한데 부동산에서 부르는 가격은 일천만워도 떨어지지 않았어요
    2006년도에 샀구 그동안 편하게는 살고 있죠. 이자는 조금씩 내더라도...
    어차피 서울에서 살때는 집은 있어야 한다고 봐요
    가족끌고 이사다니지 못해요. 깨지는 돈에 시간에.. 이자 내고 내 집에 사는게
    그냥 최고라는 결론이에요

  • 16. ...
    '12.4.28 7:55 PM (118.219.xxx.53)

    집사고 가격이 똑같으면 떨어진거지 떨어지지않은게 아니지요 물가가 배로 올랐으니까요 항상 거시경제의 흐름을 보고 행동해야돼요 미시적으로 잠깐 집값이 오른다 한들 결국 거시경제의 흐름대로 집값은 내릴테니까요 지금거시경제의 흐름대로 볼때 집값은 내릴수밖에없네요 부산이야 일본사람많이 들어가서 사니까 당분간 안내리겠지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15594 영어 답 좀 가르쳐 주세요 6 문제 2012/06/01 1,008
115593 지워진글 낚시인가요? 3 .. 2012/06/01 968
115592 정말 요즘 다 어려운거 맞나요? 58 정말 2012/06/01 14,096
115591 여권하나 발급받는데... 55000원. 10 비쌈 2012/06/01 3,051
115590 동대문에서 하계역 을지병원까지 자전거나 도보로 간다면? 1 ..... 2012/06/01 922
115589 소개팅 했던 사람 흉 좀 볼께요. 13 노처녀 2012/06/01 5,638
115588 미국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어떤 장점, 단점 있을까요? (이주).. 3 --- 2012/06/01 2,789
115587 이웃...고민이에요. 1 답답이 2012/06/01 1,000
115586 산모도우미 여쭈어요 4 초보맘 2012/06/01 1,521
115585 텍사스 휴스톤으로 이사를 가야합니다. 4 이사준비 2012/06/01 2,138
115584 잘사는 사람들에 대해 안좋게 보는 분들 계신가요? 27 제가 아는 .. 2012/06/01 4,848
115583 아 대한민국은 미국의 식민지인가? 꼼수의 달인.. 2012/06/01 1,160
115582 살이 정말 드럽게 안 빠져서 죽고 싶네요 28 살아살아 내.. 2012/06/01 8,687
115581 찜갈비 해보려고하는데요..코스트코 호주산 찜갈비 어떤가요??? 2 코스트코 2012/06/01 3,530
115580 블로그에서 조금만 인기얻으면 쇼핑몰 하는거... 11 ..... 2012/06/01 4,605
115579 끈 떨어진 연... 생일에 혹독히 느낍니다. 13 ㅜㅜ 2012/06/01 4,328
115578 부부동반이 싫어요 9 괴로움 2012/06/01 3,753
115577 아이 중이염이 3주째 계속인데 유치원을 잠시 쉬어야 할까요 3 ,, 2012/06/01 1,139
115576 열날땐 벗겨놓고 재워도 되나요? 10 2012/06/01 3,189
115575 kbs에서 시청자 2012/06/01 651
115574 통장 비번을 잊어버렸어요 2 통장 2012/06/01 1,184
115573 임성민이 강호동과 소개팅했던 얘기 18 g 2012/06/01 13,268
115572 (19금)남편때문에 몸이아파요. 저어떻게 해야할까요? 48 .. 2012/06/01 47,851
115571 남편 몰래 살짝 영양제라 하고 비아**를 먹이면 괜찮을까요? 11 2012/06/01 3,303
115570 지금 저거 베네딕트 컴버배치 아닌가요? 2 오??? 2012/06/01 1,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