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도 쓴 적이 있는데요..
알랭드보통 책들이 너무 좋아서 몇권 사서 읽고 이는데
읽으면서 드는 생각이... 제가 이런 책류나 철학책을 좋아하거든요.
읽어도 이해가 되는것 같으면서도 잘 안되면서, 그래도 읽으면서 집중이 되는 책들인데
그 집중하면서 읽는 과정이 무척 즐거운것 같아요.
근데 왜 저는 추상적인 언어로 쓰여진 수필이나, 시는 그렇게 싫어하는 걸까요?
추상적인 언어를 좋아한다면 역시 시도 좋아해야 하지 않을까요?
예전에도 쓴 적이 있는데요..
알랭드보통 책들이 너무 좋아서 몇권 사서 읽고 이는데
읽으면서 드는 생각이... 제가 이런 책류나 철학책을 좋아하거든요.
읽어도 이해가 되는것 같으면서도 잘 안되면서, 그래도 읽으면서 집중이 되는 책들인데
그 집중하면서 읽는 과정이 무척 즐거운것 같아요.
근데 왜 저는 추상적인 언어로 쓰여진 수필이나, 시는 그렇게 싫어하는 걸까요?
추상적인 언어를 좋아한다면 역시 시도 좋아해야 하지 않을까요?
아.... 정말 그러네요.
이유가 간단하군요!
차이가 아니라 감수성 차이, 취향의 차이 아닐까요.
일단 보통의 글은 기존 한국쪽 익숙한 수필이나 시와는 분위기부터가 다르잖아요.
추상적 단어가 쓰여진다고 해서 그 글이 추상적이 되는 건 아니니까요.
추상적 단어들이 들어가도 얼마든지 시니컬할 수 있고 건조할 수 있거 분석적일 수 있는 게 각각 작가들의 개성이죠. 반대로 건조하고 평범한 단어인데도 그걸 어떻게 조합을 하고 문체로 이끄냐에 따라
무척 감성적이고 가슴을 울릴 수 있기도 하고요.
전, 철학서랑, 번역소설보단 수필, 한국문학, 시들을 좋아하는데..^^
특히 황지웅의 나무란 시도 멋있잖아요. 마치 벌받는듯이 나무들이 서있는다는 사고도 그렇고, 공광규의 시중엔 산수유열매를 먹으러 온 두마리 새의 모습이라던지, 함민복은 새가 하늘과 땅사이를 오르내린다고 쓰고, 김영랑시인같은경우는 이 봄이 다 가고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리는 날로 가는 봄을 아쉬워하잖아요.
정말, 워즈워드라던지 랭보보다 얼마나 아름답고 멋있는 시구들인가요^^..
언어의 차이라기보담은, 자기에게 꼭 맞는 시집을 못찾아서 그래요.
사랑하고 실연하고 나면 세상 유행가가 다 자기얘기인거처럼 들리는 때가 있거든요.
시집도 그렇게 와닿는 시집을 발견하고 나면,
가랑비에 옷 젖듯이 조금씩 젖어 들어요.
저는 친구들이다 문학과지성 시집 한권씩 들고다닐때 시가 와닿지 않아 스트레스 받았는데
오규원의 사랑의 감옥, 이런 시를 읽고나서부터 시가 조금 좋아졌어요.
시집 전체에서 좋아하는 시 한 개를 찾는다 생각하시고 가벼운 마음으로 보세요.
전체를 다 좋아하려고 하시기보담은.
시가 추상적인 언어가 아니예요.
의미가 함축되어 있는 언어이고 분명한 대상이 있죠.
말씀하신 철학적인 책들은 어떤 가설을 세우고 보편적인 사실들을 엮어서 가설을 증명하는 식이지만
시는 있는 대상을 작가의 능력으로 표현하는 거에요.
접근하는 방식이 조금 달라야겠죠.
시는 한번 읽고 전부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해요.
한편 따로 읽으시지 마시고 한 작가의 시집을 사세요.
보통 작가가 시집을 내면 한권안에 마치 소설처럼 물흐르는 듯이 의미가 있어요.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감성으로 여러 편의 시가 올라있거든요.
여러번 읽고, 되새기고, 마음속으로 느껴보면 시인이 말하려는 표현하려는 것이 보여요.
어떤 때는 딱~ 한구절, 또는 한편의 시가 마음에 팍~~ 와닿는 것이 있는데요.
그 시를 쓸때 시인의 감성과 읽을때 본인의 감성이 맞아떨어지면 그래요..^^;;
ㅎㅎ 전 정말 알랭 드 보통이 울 나라에서 인기가 있는 게 이해가..
알랭 드 보통도 놀랄 일이지요.
번역서는 한계가 있어서 울림이 작아요.
추상적인건 스토리가없어 재미없어요
알랭 드 보통 작품중 반박이라는책
정말 재미있어요 한번 읽어모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