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어린 날의 도둑질...

보라 조회수 : 1,993
작성일 : 2012-04-03 16:20:07

 

밑에 어느 어머니가 쓰신 엄마로서의 상처 치유에 관한 글 읽고...

갑자기 제 어린시절이 생각나서 글을 씁니다.

댓글로 쓸까 했는데 그러면 글 내용상 웬지 원글과 맞지 않을 것도 같고 해서

그냥 따로 글을 내어 써요. 그냥 옛 기억 더듬고 싶어 두런두런 써봅니다.

 

제게서 도벽이 시작된 건 초등학교 2~3학년 무렵이었어요.

처음에 무엇부터 훔치기 시작했는지는 잘 기억나지 않아요.

저는 아파트에 살았었는데, 아파트 단지 앞에 수퍼마켓을 비롯 여러 상점이 모인 상가가 있었어요.

거기가 주 무대였죠.

주로 제가 훔친 것은 먹을 것이었어요.

특히 수퍼마켓에서 낱개로 풀어 파는 과자들이 주로 제 목표물이었어요.

아직도 기억나요. 빅파이 낱개 봉지...

그때 기억으로 끽해야 빅파이 낱개 1봉지가 50원이었으니

충분히 돈 주고 사먹을 만한 값이었는데

굳이 훔치곤 했어요.

저희 집이 넉넉하지 않았던 것도 아닌데 말이에요

 

1층과 지하에 수퍼마켓이 각각 하나씩 있었는데

번갈아 드나들며 훔쳤어요

신기할 정도로 들키지 않았죠.

제가 정말 갖고 싶었던 것들은 사실 1층의 문구점과,그에 맞붙어 있는 장난감 가게의 물건들이었어요.

인형 손톱에 매니큐어를 바를 수 있는 키트와, 부동액이 채워져 있는 모형 수중 도시가 붙은

지갑이 가지고 싶었어요.

그 새파란 부동액이 얼마나 신기했던지...

저희 부모님이 다른 것에 비해서는 장난감을 잘 사주시지 않는 편이긴 했지만,

꼭 그런 부모님께 불만이 있어 장난감을 탐냈던 것은 아니었어요.

하지만 점점 도둑질이 손에 익어가던 저에게도 문구점과 장난감 가게는 철옹성과 같았죠.

주인 아주머니가 유난히 눈이 밝으셨고, 가게도 좁았거든요.

결국 제가 목표한 물건들은 훔치지 못하고, 애먼 과자들만 훔치곤 했어요.

점점 뭔가를 돈 주고 살 필요가 있는지 의문을 갖게  될 지경에 이르렀죠.

제가 생각해도, 제가 과자를 훔치는 기술은 나날이 발전했고, 한번도 들킨 적이 없으니

이대로 필요한 과자들은 제돈 주고 살 필요없이 훔쳐 먹으면 되겠다..하는 생각까지 들 무렵이었어요.

 

 

어느 날, 엄마가 새로 사다주신 예쁜 보라색 스키점퍼를 입고

1층 수퍼마켓에 갔어요.

이제는 꼭 식욕 때문이 아니라도, 심심풀이 비슷하게 과자를 훔쳤다가

드디어, 수퍼마켓 아저씨에게 뒷덜미를 잡히고 말았죠.

아줌마한테 먼저 잡혔다가, 아저씨에게 넘겨졌는지도 모르겠어요. 기억이 불분명해요.

아저씨는 저에게 절대 욕설 섞인 말도 하지 않으셨고, 동네 떠나가라 혼을 내지도 않으셨지만,

분명 저를 '도둑'으로 지칭하면서 협박조로 야단을 치셨어요.뭔가 구체적으로 협박을 하신 건 없고,

말투가 그와 비슷했다는 뜻이에요.

저는 아저씨 손에 잡혀 흔들리며 야단을 듣다가, 아저씨 손을 뿌리치고 도망갔어요.

 

그로부터 1주일은 제게 지옥과도 같았죠.

상가 1층 수퍼마켓을 피해다니기만 하면 아무 일 없는데 ,

마음이 지옥이었어요.

그날 입었던 보라색 스키점퍼는 혹시 누가 알아볼까봐 다신 입지 못했어요.

엄마가 일부러 여동생과 자매답게 맞춰 입으라고 저는 보라색,동생은 분홍색으로 사주신 건데 말이에요.

그러다가 정확하게 기억은 나지 않는데, 1주일쯤 후에 저는 결국 못 견디고 엄마에게 자백을 했어요.

 

저희 엄마는 뜻밖에도  크게 소리치거나 야단법석을 떨면서 저를 혼내지 않으셨어요.

다만 제가 한 짓인지 얼마나 나쁜 일인지를 이야기하고,일단 아빠에게도 잘못을 고백한 후

수퍼마켓 아저씨 아줌마에게 사죄드리러 가자고 하셨어요.

아빠에게 쭈볏쭈볏 제가 잘못한 일을 고백하니, 아빠도 중학교 때 문방구점에서 문구를 훔친 적이 있다며

다신 그러지 말라고 타이르셨어요.

저희 부모님은 소위 '말로 조근조근, 그러면 안돼요 이러면 안돼요-' 이러시는 분들이 아니에요.

특히 저희 엄마는 소리높여 저를 혼내키실 때도 많았고, 잔소리도 많은 분이셨거든요.

지금 생각해보면 저런 대처방법이 참 의외고, 또 감사학도 해요.

 

그리고는 엄마와 수퍼마켓에 갔어요.

아줌마에게 먼저 가서 잘못했다고, 다신 그러지 않겠다고 빌었어요.

아저씨께도 제가 잘못했다고, 다신 도둑질하지 않겠다고 고개 숙여 사과드렸구요.

아주머니는 선선히 받아들여 주셨고,

아저씨도 제 머리를 쓰다듬어 주시면서 '네가  본래 이쁜 아이 같아서 이번 한 번만 하고 봐주는 거야,

다시 그러면 안 된다' 라고 웃으며 용서해주셨어요.

(저 이쁜 아이란 말

아직도 기억이 나요. 저런 상황에서도 저런 류의 칭찬만큼은 잘도 기억하는 걸 보면

예나 지금이나 이쁘다는 말에 집착하는 못난 면이 드러나네요 ;;)

 

그 후로 다시 1층 수퍼마켓을 드나들게 되었고,

지하 수퍼마켓에서도 물론 물건을 훔치지 않게 되었어요.

지금 생각해도 어린 저의 도둑질은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손놀림으로 이루어졌는데,

그 이후로는 다시는 그런 마음을 먹지 않았다는 게 신기해요.

도둑질을 그만둔 이후 종종 수퍼마켓의 과자들을 보면서  '사실 내가 마음먹자면 저 정도 금방 훔쳐낼 수

있는데...'하면서도, 결코 손을 대지 않았어요.

20여 년이 흐른 지금요? 아마 손도 신경도 다 둔해져서 반드시 들키고 말걸요. 이제는

남의 물건을 훔친다는 것에 대해 생각조차 하지 않지만.

 

그렇게 수퍼마켓 아저씨 아줌마께 용서받고 난 다음에도

이상하게 보라색 스키점퍼는 즐겨 입을 수가 없게 되었어요

그 사건 이후 가족과 함께 눈썰매장에 갔을 때나 한번 입은 정도.

그때 찍은, 역시 분홍색 스키점퍼를 맞춰 입은 동생과 눈썰매 위에서 찍은 사진을

그후로도 가끔 보는데, 그 때마다 눈썰매장에서의 즐거운 기억보다

보라색 스키점퍼를 입을 수 없었던 제 어린 마음이 먼저 떠올라요.

IP : 113.10.xxx.139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4.3 4:30 PM (119.207.xxx.112)

    글이 찡한 감동을 주네요.

  • 2. ..
    '12.4.3 4:34 PM (121.170.xxx.230)

    부모님이 현명하셨네요. 어린시절에 그런맘 누구나 한번쯤은 가지지 않을까 싶네요...

    저는 ...안방 화장대 아래나 서랍에 있는 동전들이 어찌나 가지고 싶던지...
    정말...한 세시간은 그 앞에서 얼쩡 거렸던 기억이 납니다. 식은땀 흘리면서...
    소심해서인지 가져 가진 못했어요. 엄마가 다 아실거라는 생각에...

    그때 기억이 너무 생생하고 아파서...우리집 동전은 몽땅 아이 차지 입니다.
    900원이 있던 10원이 있던 떨어져 있던 내 호주머니 지갑에 있던...
    동전은 다 니꺼....남편 동전도 다 아이꺼...

    제 경험때문인지....용돈도 넉넉하게 주게 되네요..

  • 3. 그러게요..
    '12.4.3 4:36 PM (203.235.xxx.131)

    저도 초등 저학년때 정말 아무 생각없이 손버릇이 나빴던거 같아요

    그러다 어느순간 멈춰지더라구요.. T.,T

    창피해서 어디다 말못해요~

  • 4. ㅇㅇㅇㅇ
    '12.4.3 5:09 PM (121.130.xxx.78)

    애들 키우다보면 별일이 다 있죠.
    아이가 어떤 잘못을 했을 때 세상이 무너진듯 난리를 치는 건 결코 그 아이의
    잘못을 고치는데 도움이 되지 않더라구요.

    사림이 살다보면 그럴 수도 있다는 걸 전제로 그래도 그리 해선 안된다는 걸
    자분자분 이해시키고 부모가 아이의 잘못을 함께 진심으로 사과하는 태도를 보이는 게
    아이의 잘못을 교정하는데 도움이 될 듯 해요.

    저도 어렸을 때 동네 가게 하드통에서 하드 꺼내서 그 자리에서 먹어 본 전력이 있슴다 ㅋ
    다섯살이었는데 기껏 몰래 꺼내선 그 자리에서 먹었네요 ㅋㅋ
    근데 주인한테는 안들켰고 유치원 다녀오던 언니한테 들켰어요.
    너 그거 어디서 났냐고!! 여기서 꺼내 먹었어. 그랬네요.
    그리고 엄마 지갑에서 돈 꺼내서 껌 좀 사먹었었고.
    꼬리가 길면 밟힌다고 들켜서 혼났죠. 철 들고는 그런 짓 안했구요.
    엄마에게 '양심'이란 것에 대해 들었던 이야기들이 뇌리에 박혀 양심에 어긋나는 일은 안하고 살려고 합니다.

  • 5. ...
    '12.4.3 5:36 PM (59.9.xxx.253)

    수필 한편 읽은듯 잔잔한 감동이네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9101 김구라 제정신인가? 정신대 할머니까지 비하를 하다니 5 ... 2012/04/16 2,000
99100 등산하면서 얼굴 다가리는 마스크 쓰고 다니는 아줌마들 73 .... 2012/04/16 16,676
99099 외국인들이 왜이렇게 많이 늘어났쬬 요즘; 2 곱퀴벌레 2012/04/16 1,432
99098 아줌마스러움(?)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요? 6 ㅂㅂ 2012/04/16 3,177
99097 누나가 미국 시민권자면 동생아이(조카)입양 가능한가요? 13 ... 2012/04/16 5,678
99096 남편이 무심하다 느껴요, 우울증에 힘들어요 2 ........ 2012/04/16 1,888
99095 헬스클럽에서 pt 받으라는 트레이너때문에 정말... 5 자꾸 2012/04/16 3,772
99094 오늘 넝쿨당 4 넝쿨당 2012/04/16 2,605
99093 다문화사회 적응 못하는 한국인 2 한 목소리 2012/04/16 1,002
99092 황당...초3 딸내미 입에서요... 2 blue 2012/04/16 2,622
99091 신세계 몰에서 구입한 기순도 된장 4 몰라서 물어.. 2012/04/16 11,662
99090 자전거탔더니 무릎아파요 ㅠ 16 에고 2012/04/16 2,638
99089 밖에서 직설적이고 까칠한 사람이 자기 가족한테는 잘한다는 거 18 ... 2012/04/16 4,484
99088 성공회대가 4년제 신학교인가요? 11 탁현민 2012/04/16 3,355
99087 세탁할때 검은 옷에 묻는 먼지 5 살림고수님들.. 2012/04/16 3,196
99086 김현식vs하하 8 김현식 2012/04/16 1,758
99085 멋지네요. 1 윤시내 2012/04/16 880
99084 이런경우는 재시험 하게해줘야하는거 아닌가요? 5 상담 좀.... 2012/04/16 1,465
99083 농협 대출이 될까요? 2 알려주세요 2012/04/16 826
99082 중등 수학과 고등수학 연관성이 얼마나 있나요? 7 중2맘 2012/04/16 2,760
99081 남편이 살찌는 게 싫어요 ㅠㅠ 5 못된 여자 2012/04/16 2,101
99080 하나은행 인터넷가입되어있으시면 3 빨리요!!영.. 2012/04/16 1,247
99079 어린나이에 운동신경있는지는 어떻게아나요? 12 운동신경 2012/04/16 3,331
99078 '혈서 지원' 박정희, 친일인명사전 실린거 아셨던 분 6 나 알바아님.. 2012/04/16 1,134
99077 이 사이트에서 유용한것 많이 얻어갈것 같네요 2 두아들들 2012/04/15 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