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이 눈썹 봉합 수술 후, 봉합선을 따라 들어간 부분은 회복이 안되나요..

엄마마음 조회수 : 1,726
작성일 : 2012-03-29 14:14:21

아이 다친 문제로 벌써 세번째 글을 올립니다....

 

지난주에 봉합수술을 받고

어제까지 세번에 나눠서 실밥을 제거했어요.

오늘 흉터 전문 병원에 다녀왔는데,

거기서는 앞으로 3개월간 테이핑을 잘 해주라고 하시네요.

벌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시면서요.

단, 봉합선을 따라 함몰될 수 있고 그건 없어지지 않을거라세요..

상처가 깊고 길다보니까 걱정이 됩니다.

 

82에서 콘투라투벡스를 알게 되었는데

검색해보니 그건 두터워진 흉터에 효과가 있다고 그러네요.

그럼 저희 아들처럼 봉합선이 함몰된 경우에는 효과가 없는걸까요..

깊숙히 들어간 봉합선이 평평해진 분은 혹시 안 계신가요....

켈로코트는 들어간 상처에도 효과가 있다는데

테이핑 하면 연고를 바르지 말라셔서요..

벌어지지 않는게 우선이겠지요?

 

의사선생님께 많이 여쭤보고 싶었는데

진료시간이 10분도 채 안되네요.

아침부터 애 챙겨서 1시간 거리를 달려간거였는데

기다리라는 말만 듣고 왔어요..

 

의사선생님이 기다리라고 하시면 기다려야 알 수 있는 거겠지만,

비슷한 경험이라도 하신 분들

봉합선이 함몰된 경우에 혹시 평평해지는 경우도 있는지

너무 걱정되서 여쭙니다.

3개월 후 테이핑을 다 끝내고 흉터 연고를 바를 수 있는지도 궁금하구요...

 

조금이라도 알고 계신분,

저에게 좀 알려주세요...

고맙습니다.

 

IP : 121.190.xxx.237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3.29 3:03 PM (1.225.xxx.16)

    일단 봉합선이 안 벌어지는게 우선이고요.
    벌어지면 마치 터진 팝콘처럼 터져나오는 살의 조성과 색이 기존 살갗과 달라서 허옇게 눈에 띄어요.
    함몰이야 정 안되면 필러를 함몰 선을 따라 맞아 돋궈 평평하게 하는 방법도 생각하면 되는거니까요.
    지금으로서 가장 중요한건 살이 안벌어지게 하는겁니다.

  • 2. ....
    '12.3.29 3:53 PM (114.206.xxx.199)

    봉합선이 벌어지지 않게하는 테이핑을 3개월하는 것이 좋고
    켈로코트는 초기3개월까지 그 다음에는 콘트라투벡스 3개월 정도 사용하고
    튀어나오려는 상처에는 시카케어를 6개월 이상 사용한다고 해요.
    콜로코트와 테이핑을 같이 할 서 있는 지는 확실히 모르겠어요.

  • 3. 원글이
    '12.3.29 4:41 PM (121.190.xxx.237)

    다들 정말 고맙습니다.
    함몰에도 방법이 있을거라는 말씀도 너무 위로가 되구요,
    (아이가 클 때면 기술이 더 좋아져서 방법이 생길거라고 스스로 안심시키고 있거든요..)

    콘트라투벡스는 3개월 후에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하시니
    그 역시 정말 다행입니다.

    테잎이 무슨 힘이 있을까 싶지만, 효과가 있다고들 하시니
    열심히 붙여보겠습니다.
    부디 아이에게 짐이 되는 흉터가 남지 않았으면 하고 기도할 뿐입니다.

    또 댓글 확인할게요..
    사소한 경험이라도 좋아진 일이 있으시면 저에게 좀 알려주세요..
    고맙습니다.

  • 4. 원글
    '12.3.30 10:40 PM (1.237.xxx.59)

    엄마 댓글님
    고맙습니다.
    저도 이제 다친지 열흘이 넘어가니 조금씩 받아들이게 되네요.
    그저 아이 마음에 상처가 되지 않을 만큼의 흉터만 남으면 좋겠어요.
    성인이 되어 좋은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을때까지
    아이 마음도 아프지 않게, 제 마음도 아프지 않게 낫기만을 바래요..

    엄마라는 이유만으로 이렇게 위로해주시는 마음이 참 고맙습니다.
    따뜻한 엄마 마음 닮아 댓글 님들 아이들도 행복하길 바래요
    고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4589 이명박은 운이 좋은 것 같네요 3 ... 2012/04/12 1,240
94588 욕먹더라도 할말은 해야할듯요.. 60 핑키 2012/04/12 11,685
94587 무주택자되고 맘편히 살고싶음 8 유주택 2012/04/12 1,614
94586 힘냅시다 희망은있습니다 따스한 빛 2012/04/12 434
94585 [펌글] 강원도민이 본 강원도 전멸의 이유... 13 전략 부재 2012/04/12 2,920
94584 우린 우리를 조금더 칭찬해줘도 되지 않나요? 10 그런데요 2012/04/12 809
94583 그냥 국민 수준이 이정도 인것 같네요 8 .... 2012/04/12 1,104
94582 아니에요. 받아들이라하는사람은 그쪽편인거같아요ㅜㅜ 5 망탱이쥔장 2012/04/12 618
94581 대선으로 가는 출발인 총선이었죠. 8 장미녹차 2012/04/12 1,608
94580 강원도가 뭐 어쨋다고 자꾸 강원도를 욕하나요? 18 너무하네 2012/04/12 2,701
94579 87 대선 부정선거가 잊혀지지 않습니다 5 부정선거라면.. 2012/04/12 805
94578 구룡마을에서 봉인한 투표함이 사라졌다 4 강남을 2012/04/12 2,235
94577 울산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1 근데요 2012/04/12 836
94576 국회의원선거용지,지지정당투표용지를 왜 한통에 같이 7 궁금 2012/04/12 937
94575 이제 FTA 폐기는 물건너 간 건가요? 3 종훈이 2012/04/12 897
94574 진흙탕에서 나와야 할것 같습니다 ㅠㅠ 2012/04/12 398
94573 수입오렌지 많이 먹어도 될까요?? 8 ///// 2012/04/12 2,060
94572 새누리당 이긴게 언론장악의 힘 때문 아닌가요? 22 ... 2012/04/12 1,452
94571 지금은.. 삐끗 2012/04/12 483
94570 서울사람들이 사랑스럽게 느껴집니다 9 서울인 2012/04/12 1,909
94569 진보신당이 우물에 독을 탔습니까? 20 나거티브 2012/04/12 1,871
94568 백원우의원님 떨어지셔서 너무 속상해요 8 모모 2012/04/12 1,254
94567 인천은 부자들이 많나봐요.... 17 ,,,, 2012/04/12 2,703
94566 민주당이 왜 이기기 힘든지 확실한 이유!! 7 ㅇㅇ 2012/04/12 1,652
94565 이게 약인듯 7 어쩌면..... 2012/04/12 6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