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다신 이러지 말아야지...친구인데 대체 왜 그럴까요?

후회 조회수 : 2,453
작성일 : 2012-03-27 17:38:28

저는 식사초대 하는 걸 좋아합니다.

거창한게 아니라, 제철음식을 해서 나눠먹는게 좋더라구요.

10년도 더 된 친구들을 집에 가끔 초대합니다.

저는 주부이고, 그 친구들은 모두 직장인이에요.

친구들은 돈도 꽤 많이 버는 고소득자들이구요.

그런데, 초대 할때 뭘 바라는 건 아니지만...

몇년동안 초대를 해도, 올때마다 친구들은 빈손입니다.

저는 넉넉한 편이 아니라, 사실 초대가 부담되지만

다들 집떠나 자취를 하는 친구들이라

가끔 집밥이 너무 먹고 싶다고 해요.

그래서 이것저것 사서 차려놓습니다.

그런데 올때마다 빈손....

큰 거 바라는거 아니구요, 슈퍼 아이스크림하나도 좋습니다.

그런데 와서는 늘 하는말이 "또 빈손이네"

돈도 무진장 잘 벌면서, 늘 습관처럼 하는 말..

이제 정말 질려요.

예전에 다른 친구 한명이, 늘 빈손인 친구에게

따끔하게 집에 올때 너희 먹을거 사와 ..라고 한적이 있습니다.

(이건 초대가 아니라, 사람들이 그 집에서 모이길 원했기 때문이에요.

매일 그 집 사람이 시켜먹는 밥값을 내니 부담스러웠겠죠.

저는 밥값도 같이 내고, 꼭 먹을걸 사갔습니다)

그런데, 우리집에는 늘 빈손으로 오던 그 친구가

그 집 갈때는 과일을 잔뜩 사옵니다.

아니...사람 차별하는 건가요?

차라리 빈손으로 올거면 두 집 다 그러든지..

저한테는 늘 빈손...

자기한테 빈손이라고 뭐라고 했던 친구집 갈때는 늘 한가득....

며칠전에도 집밥 먹고 싶대서 차려줬더니..

또 빈손..

제가 뭐하는 짓인가 싶네요.

우리 남편보다 월급도 두배로 많이 벌면서............

저도 그릇이 작은지, 신경이 자꾸 쓰이네요.

이제는 초대 안해야 겠어요.

아무리 친구지만, 10번을 차려주면 한번은 천원짜리 과자라도 한번 사올만도 한데...

이렇게 신경쓰일거면 초댈 안하는게 맞겠죠?

전 그냥 친구 민망할까봐 빈손이라도 아무말 안했는데

저를 만만하게 보는 걸까요?

다른 친구에겐 안그러면서, 차별하는거 같아 참 기분이 안좋네요.

그냥...친구들보다

남편이나 아이한테나 잘해야 겠어요...

IP : 203.210.xxx.44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3.27 5:41 PM (220.76.xxx.41)

    친구들이 좀 이상한듯..
    저는 항상 다른사람의 집에 방문 할때는 과일이라도 사가는데요.
    빈손으로 가서 해주는 밥 먹고 오기가 좀 그래서..
    근데 겪어보니 안 그런 사람도 많아요. 음식준비에 밥 해 먹이고 설거지까지 다 내 몫으로 돌아오면 좀 짱나죠.

  • 2. ^**^
    '12.3.27 5:52 PM (144.59.xxx.226)

    원글님,
    그분들 친구 아니에요.
    헉! 입니다.
    친구라고 하더라도 기본이 없는 친구입니다.
    가정교육을 제대로 보고 배운 친구라면,
    최소한 남의집에 가면서,
    그것도 먹는 초대에 가면서,
    매번 빈손은 아니지요.
    초대하는 집에 매번 물어보지요.
    무엇 디저트나 전채로 필요한 것 없냐구요?

    서서히 거리를 두시고,
    다시는 초대 같은 것 하지 마세요.

    세상사 살면서 많은 사람을 앞으로 만날 수 있고,
    그 만남중에 좋은 친구 분명히 만날 수 있어요.
    너무나 현재의 인연에 대해서 연연해 하지 마세요.
    그러다 보면 원글님만 이런분들에게 상처를 받기 쉽지요.
    숫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적은 2-3명이라도 서로서로 존중하고 아껴줄 수 있는 관계가 되는 친구가 좋아요.

  • 3. ...
    '12.3.27 5:55 PM (110.12.xxx.131)

    부르지 마세요..
    한두번도 아니고 계속 빈손이라면 참 그러네요.
    서로 초대하고 교류하면 몰라도 한쪽에서만 계속 초대하는데 빈손이라니...

  • 4. ...
    '12.3.27 6:06 PM (180.66.xxx.128)

    초대를 하지 말던가, 님도 친구한테 얘기하세요.
    집밥이 먹고싶다하면...밥은 했는데 디저트꺼리가 없으니 좀 사오라고.
    아님 와서 '또 빈손이네'하면 '그럼 과일이라도 사오지~~~'라고 얘기하던지요.
    물론 웃으면서 농담반진담반으로 얘기하시고 그래도 변화가 없으면 초대하지말고 밖에서만 만나세요.

  • 5. ...
    '12.3.27 6:14 PM (110.35.xxx.232)

    심하다 정말 매번 빈손으로 집밥 얻어먹으러 오는거 정말 맞나요???
    친구 아니에요..원글님만 그렇게 생각하는거에요.에휴...
    봉이네요 봉.낮짝이 부끄러워서도 절대 빈손으로는 남에집 방문 못하겠던데..

  • 6. 이그
    '12.3.27 7:37 PM (115.93.xxx.86)

    사람들은 왜이럴까요...

    본능일까요?

    참 기회주의적인 사람 많은듯........

  • 7. 친구가 이상해요
    '12.3.27 8:07 PM (121.135.xxx.241)

    제 친구는 사오지 마라 마라 해도 항상 뭐라도 가져와요.
    그래서 저도 친구들 집에 놀러갈때는 과일이나 빵 꼭 사가는데
    그게 좋은거 같아요. 빈 손으로 먹기만 하고 가는건 휴..

  • 8. ...
    '12.3.27 8:18 PM (118.216.xxx.17)

    친할수록 예의는 지켜야죠.
    그래야..정말 친구라고 말할수 있는겁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4922 갈색으로 염색했거든요...;;;;; 2 이 분위기에.. 2012/04/12 1,116
94921 이곳에 진보라는 이름으로 들어오시는 분들께 부탁드립니다. 59 상식이 통하.. 2012/04/12 2,047
94920 티몬에서 사기당한것 같아요~!! 2 sjee 2012/04/12 6,088
94919 저의 생각입니다. 2 광팔아 2012/04/12 481
94918 성적이 오르긴 꽤 올랐지만,만점 못받아온 아들,내쫓아야할까요??.. 26 엄마의 지혜.. 2012/04/12 2,992
94917 티비에 아이 심리문제로 많이 나오던 신의진 의사? 3 .. 2012/04/12 2,105
94916 북한 소식이 사라졌다 3 인터넷 메인.. 2012/04/12 1,189
94915 돼지고기 냉동한후, 구워먹어도 될까요 3 삼겹살 2012/04/12 739
94914 총선에 대한 의의와 앞으로의 전망 6 공존의이유 2012/04/12 732
94913 검찰 오늘 원혜영당선자 사무실 압수수색. 3 바빠 바빠 2012/04/12 1,365
94912 언제까지 인상쓰고 있을순 없죠. 2012/04/12 397
94911 82cook 회원님들 감사드립니다...^^ 6 오솔길01 2012/04/12 1,058
94910 부산 선거후기(펌)....한번 읽어볼만해요... 6 부산선거후기.. 2012/04/12 1,906
94909 강남구 투표함 문제.. 부정선거 스멜 아닌가요 12 클린선거 2012/04/12 1,056
94908 과반의석이면 ... 2012/04/12 350
94907 세상은 -- 2012/04/12 345
94906 갑자기 5세후니 넘 고맙게 느껴저요.. 3 ㅋㅋ 2012/04/12 1,044
94905 140명중에 카톡 2012/04/12 416
94904 아무리 마음을 가라 앉치려고 해도 가라앉질 않아요.. 4 .. 2012/04/12 565
94903 성향이 안맞다고 이죽거리며 왜 여기 있나... 11 헐헐 2012/04/12 816
94902 실망은 딱 한나절, 아직 절망할 때는 아니라고 봐요 정치 이야기.. 2012/04/12 321
94901 거실에 카펫말고 디자인매트(엘지하우시스)도 괜찮을까요? 신디로퍼 2012/04/12 1,013
94900 그분을 어떻게 보냈는데 첨맞는 총선이 이래요ㅠㅠ 4 ㅠㅠㅠㅠ 2012/04/12 490
94899 이번에 심은하 남편은 선거 출마 안했나요? 3 궁금 2012/04/12 2,029
94898 언론장악의 힘이 얼마나 무서운지 잘 아셨을꺼라 봅니다. 1 밝은태양 2012/04/12 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