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학에 대한 경험 노하우 풀어놔주세요. 영어처럼...

할수있다 조회수 : 4,540
작성일 : 2012-03-17 23:25:15

중1맘입니다.

영어글 많이 도움되었어요.

82의 현명하신 님들...

수학 이렇게 하니 되더라.. 경험담들 쫙 풀어놔 주세요.

중1 울 딸 수학을 사랑하게 좀 만들고 싶네요. ㅋㅋ

너무 거창한가요?

 

 

IP : 180.70.xxx.131
7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원글
    '12.3.17 11:25 PM (180.70.xxx.131)

    미리 감사글부터.. 복받으실거에요^^

  • 2. 칼있으마
    '12.3.17 11:50 PM (124.56.xxx.59)

    딴소리지만..
    학원 1시간(혹은 학교 수업 1시간), 과외 1시간 마친 아이에게 오늘 몇 시간 공부했냐 물으면 '저 오늘 2시간이나 공부했어요' 합니다. 사실은 본인이 한 것이 아니라 선생이 한 것인데 말이죠.
    남(선생)이 푸는 걸 보고 있다 온 것이지 네 공부를 한 것이 아니다. 착각하지 말아라. 항상 말합니다.
    수학은 본인이 혼자서 문제 푼 시간이 몇 시간인지 그것만이 본인 공부 시간입니다. 백날 쪽집개 선생, 유명 선생한테 과외 받아도 그것은 남이 하는 걸 구경 한 것이지 본인이 공부한 것이 절대 아니라는 것.
    (제 학생들한테 물어보면 하나같이 그렇게 대답해요... 과외 받은 걸 공부한 시간으로 계산하곤 스스로 흡족해 하죠.. 오늘 적어도 한 시간은 공부했다.. 뭐 이렇게..)

    1문제 푸는데 이틀이 걸리더라도 혼자 해결해야 실력이 늡니다.

  • 3. 원글
    '12.3.17 11:54 PM (180.70.xxx.131)

    지금 학원은 안 다니고 혼자 하는데...
    중등부터 기본이 어느정도까지 풀어야 할까요?
    혼자 하다보니 시간도 엄청 잡아먹고 그러네요.

  • 4. 수학과외내공
    '12.3.18 12:03 AM (121.139.xxx.140)

    수험생 수학과외 내공 좀 있는 사람으로써 말씀드리자면
    이건 어디까지나 고3 기준의 경우인데요
    최근에 올라왔던 답안지유혹이란 글에 어떤 님이
    자기 수험생때 이렇게 했다라고 썼던데 그방법이 제일 좋아요
    먼저 문제풀고 일단 틀린것을 좌악 표시합니다.
    틀린문제는 다시 풀어봅니다.
    풀수 있는 문제인데 실수 한것과 몰라서 못푼문제가 있을건데요
    실수한것도 사실 실력이라 시험때 반복적으로 실수 할 수도 있어요
    그러니 그것도 체크해놓고 시험전에 다시한번 풀어보아야 하구요
    몰라서 못푼문제는 답안지를 보고 연구합니다
    그러면 또 답안지보고 이해가는 문제가 있고 답안지를 봐도 모르는게 있어요
    답안지를 봐도 모르겠는것은 과외쌤이든 학교쌤이든 도움을 받아야 하고요
    답안지보고 푼문제는 사실 시험에 나오면 또 틀려요
    그러니 답안지 안보고 한번 또 풀어봐야 해요
    아마 답안지 안보고 풀면 또 틀릴거에요 ㅋㅋㅋ
    답안지 안보고도 스스로 풀 수 있을때까지 반복해서 풀어야해요

    암튼 단순실수,답안지보고 이해되는 문제,답안지봐도 모르겠는것 이렇게 구분될텐데
    모두 시험전에 다시한번 쫙 정리해야해요
    3회독 이상합니다.


    근데
    제가 정말 말씀드리고 싶은것은
    기본개념을 제대로 공부하라는거에요
    고3아이들 보면 진짜 기본적인 문제나 개념등을 잘 몰라요
    그게 안되어 있는데 어려운 문제에 매달리더군요
    그런데 정말 기본적인 문제나 기초개념,늘 나오는 유형문제만 잘 되어 있어도 90점 나와요
    나머지 10점은 좀 어려운 문제이구요
    헌데 유형문제90점을 해결하려하지 않고 비유형문제 10점에 매달리는 학생들이 대부분이에요
    고3에서 90점은 중학생때랑은 다른점수에요.
    제발 유형문제부터 공부하시길.
    쉬운책을 완벽히 마스터하시길
    개념을 확실히 공부하길

    원글님한텐 별 도움 안될텐데
    혹 수험생 부모님이 볼까봐 남겨요

  • 5. 수학과외내공
    '12.3.18 12:04 AM (121.139.xxx.140)

    아,기본문제,유형문제,개념 안되어 있다는 학생들이 못하는 학생들이 아니라
    제법 공부한다는 아이들도 다 그렇다는겁니다.

  • 6. ^^ 감사해요.
    '12.3.18 12:12 AM (58.239.xxx.48)

    수학 과외내공님 감사합니다.

    요즈음 고1아들 수학학원과 과외 답지 사이에서 고민이 많았는 데 명쾌하게 정리해 주시네요.

  • 7. 체리망고
    '12.3.18 12:17 AM (211.219.xxx.200)

    저는 초2이라 뭐라 말씀 못드리지만 응용이나 심화문제는 함께 풀다가 제가 막히는척 하면서
    아이한테 물어요
    그럼 아이가 엄마가 나보다 모르네 눈을 반짝이면서 적극적으로 달려들더라구요 그때를 안놓치고 이부분이
    왜이래 설명좀 해줘 하면서 아이가 풀도록 유도하니 즐거워하면서 수학을 그나마 부담스러워하지는
    않아요
    초등 저학년을 위한 저만의 수학공부방법이에요 일단 수학을 무서워하지 않게 하는것이 저의 목표에요

  • 8. 원글
    '12.3.18 12:20 AM (180.70.xxx.131)

    유형을 꼭 해야 하나요?
    개념만 여러번 해도 된다는 분도 계시고 헷갈려요.^^

  • 9. 82러브
    '12.3.18 12:21 AM (59.5.xxx.193)

    저도 참고 할게요

  • 10. ..
    '12.3.18 12:35 AM (118.219.xxx.72)

    과외샘이 올린글 다른데서 봤는데 수학못하는 애를 수학과가고싶다고 난리나게 만든 비결이 뭔지 아세요?
    바로 스스로 해결하는거래요 고등학생인데 부모님이 맞벌이를 하셔서 과외샘이 어떻게 하든 내버려두셨대요 채근대는거없이 그래서 과외샘 맘대로 했대요 부모가 애가 수학을 워낙 못하니 반쯤 포기햇었나봐요 근데 과외샘이 나이에 맞게 수학문제를 풀게했는데 못풀더래요 그래서 고1이면 그밑에 중3것을 풀게하고 그래도 못풀더래요 그래서 계속 밑으로 내려가서 풀게했는데 결국 초등학교 4학년까지 내려갔대요 그제야 잘풀더래요 그래서 그때부터 스스로 풀게했대요 답안지 절대 못보게하구요 그렇게 5학년풀더니 6학년풀고 중학생풀고 결국은 수학과 간다는걸 전망안좋다고 말리는 지경까지 갔대요 결론은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스스로 풀게 해야돼요 답안지 절대 못보게하고요

  • 11. 수학
    '12.3.18 1:13 AM (110.15.xxx.212)

    다들 너무 좋은 말씀 많이 해주시네요.

  • 12. 좋은댓글
    '12.3.18 1:19 AM (218.50.xxx.48)

    감사합니다

  • 13. 감사
    '12.3.18 1:25 AM (211.246.xxx.157)

    고맙습니다^^ 저장할께요

  • 14. 아...
    '12.3.18 1:28 AM (58.123.xxx.132)

    능력자님들이 많은 82쿡. 정말 감사합니다.

  • 15. ....
    '12.3.18 1:39 AM (175.194.xxx.113)

    저도 감사히 저장할게요^^

  • 16. ..........
    '12.3.18 2:23 AM (211.215.xxx.44)

    그 기본개념은 교과서만 잘 풀면 되는건가요?
    우리 초등 6학년인데 수학학원을 보내지 않고 문제집을 사주었어요.
    지금 학습지중인데 이렇게만 꾸준히 나가도 될까요?

  • 17. 저장
    '12.3.18 2:31 AM (121.178.xxx.164)

    저도 저도 너무 감사합니다.

  • 18. ㅁㅁ
    '12.3.18 3:47 AM (211.246.xxx.45)

    저는 제 얘긴데요
    제가 수학공부를 하나도 안 했었어요
    원 실력으로 치면0점 ..
    수능 4개월 전 고3수학 전과정을 3개월만에 했습니다
    교재는 수학정석 두권 뿐이었구요
    원리따윈 관심도 없고 그냥 기본 공식만 외우고
    처음부터 답안이랑 풀이 보고 그대로 쓰고
    또 쓰고 또 쓰고 그 다음엔 똑같은 문제 똑같이 써보고 계속 반복 후
    또 보고 또 보고 계속 반복
    순수하게 제 실력으로 쳐도 0점실력이 3개월만에
    80점 만점 중 60점이상씩 나오더군요
    왜 그런지는 당시에도 ,지금도 몰라요
    수학도 반복 학습으로 가능하단걸 알았었네요
    수능에선 60점 후반대였습니다
    경우는 다르지만 이런 케이스도 있다고 적어 봅니다
    어떻게 그게 가능했는지는 지금도 미스터리네요

  • 19. 리사
    '12.3.18 6:39 AM (173.66.xxx.135)

    좋은 글 감사합니다

  • 20. 리사
    '12.3.18 6:39 AM (173.66.xxx.135)

    좋은 댓글이 많아요. 내가 직접 푼 문제...

  • 21. 저도 감사
    '12.3.18 8:37 AM (121.134.xxx.102)

    좋은 댓글이 많네요~~

  • 22. 마니
    '12.3.18 10:02 AM (175.115.xxx.5)

    감사해요 약이 되는 글이네여.

  • 23. ....
    '12.3.18 10:06 AM (121.254.xxx.72)

    감사합니다 수험생 입장에서 수학과외내공님 ㅁㅁ님 말씀 도움 많이되네요
    사실 저게 수학공부의 정석이고요...뭐 역시 방법은 확실한데 공부를 안해서 문제죠ㅋㅋ
    ㅁㅁ님 말에 희망 얻고 갑니다ㅠㅠ

  • 24. 저의 생각
    '12.3.18 11:25 AM (125.133.xxx.31)

    전 모든 공부의 기본은 다 똑같다고 생각해요.
    교재 하나라도 완벽하게 풀기.
    예전에 문과 고 2 어떤아이가 다른 과목 성적은 모두 우수하고 인품도 훌륭한데
    수학성적은 그저 그런애가 한명 있었어요.
    제가 그아이한테 수학공부 어떻게 하나고 물어보니 문제집 5권 정도 푼다더군요.
    그래서 제가 그 중에서 똘똘한 문제집 2권만 남기고 나머진 다 버리라고,
    그리고 그 2권의 문제집도 한권으로 모아 정리하도록 해라 하고 충고한적 있어요.
    그 다음 시험에서 그 학생 정말로 100점 맞았어요.

  • 25. 저의 생각
    '12.3.18 11:29 AM (125.133.xxx.31)

    그리고 수학에서 1등급 못받는 애들이 공통점이 있어요.
    교과서에 나오는 유명한 정리의 유도과정을 모르고 아예 관심도 없지요.
    오직 공식만 알면 모든 것을 안다고 착각.
    하지만 정리의 유도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수학적 아이디어가 내재되어 있고
    그것을 아는것이 수학적인 힘을 키운다는 것을 모르고 있어요.
    왜나? 그런 아이디어를 필요로 하는 문제는 고급문제로 가~끔씩 만 출제되기에 관심도 없지요.

  • 26. 12
    '12.3.18 11:34 AM (59.2.xxx.198)

    수준에 맞게 해야,,본인 수준을 알아야 하는거 같아요,,

  • 27. 제 딸
    '12.3.18 11:38 AM (124.49.xxx.117)

    수능 세 개 틀린 아인데요. 수학이라면 눈을 빛내면서 좋아하지요. 직장인인 지금도 취미로 고등 수학 문제 푸는데요. 이 아이 초등때 얼마나 속 터졌는 지 몰라요. 문제 하나 하나 붙잡고 늘어져서는...어떤 문제든지 혼자서 끝까지 물고 늘어져서 풀었어요. 젤 싫어 한게 선생이 푸는 거 보고 앉아 있는 거였구요. 수학 단 한 번도 학원도 다닌 적 없었구요. 그냥 좀 늦다 싶어도 혼자 열심히 풀어 보는게 왕도인 것 같아요.

  • 28. 엄마
    '12.3.18 12:48 PM (211.54.xxx.155)

    감사합니다. 참고가 많이 되엇어요.

  • 29. 회원
    '12.3.18 12:51 PM (14.41.xxx.121)

    감사합니다

  • 30. 모스키노
    '12.3.18 1:24 PM (61.77.xxx.117)

    참고 할께요^^

  • 31. ..
    '12.3.18 4:10 PM (202.150.xxx.7)

    감사합니다.

  • 32. 저도
    '12.3.18 4:24 PM (203.226.xxx.119)

    정말 감사합니다^^

  • 33. 이런
    '12.3.18 5:13 PM (121.159.xxx.11) - 삭제된댓글

    정말 도움되는 글 들 반가워요. 정치 글, 서로 다투는 글 말고 .... 감사합니다.

  • 34. 셋맘
    '12.3.18 5:24 PM (1.243.xxx.170)

    고민 끝내고 실천해보겠습니다~^^

  • 35. 여고시절
    '12.3.18 5:31 PM (116.126.xxx.205)

    수학 시간은 항상 공포에 떨었어요. 제 아이에게는 그런 경험 없이 즐거운 시간 만들어주고 싶네요.
    많이 배우고 갑니다.

  • 36.
    '12.3.18 5:51 PM (180.66.xxx.63)

    원글님도 댓글주신 분들도 모두 감사해요. 저장합니다

  • 37. ^^
    '12.3.18 7:42 PM (14.43.xxx.98) - 삭제된댓글

    감사드려요

  • 38. 공이천사
    '12.3.18 9:00 PM (211.108.xxx.120)

    감사합니다!

  • 39. ^^
    '12.3.18 9:47 PM (116.37.xxx.40)

    영어에 이어 수학까지...

    82 좋으신 선배님들 너무 많아요. ㅎㅎ

  • 40. 모두
    '12.3.18 10:35 PM (121.133.xxx.149)

    감사합니다.

  • 41. 수학까지
    '12.3.18 11:15 PM (203.226.xxx.132)

    완전감사...제가 다시공부시작하고싶은 욕구가 드네요ㅋㅋ

  • 42. sabine
    '12.3.19 12:00 AM (115.140.xxx.16)

    감사합니다!!!

  • 43. 귀한 글들
    '12.3.19 12:10 AM (122.34.xxx.11)

    감사합니다.

  • 44.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12.3.19 12:11 AM (211.234.xxx.137)

    감사합니다

  • 45. 딸둘맘
    '12.3.19 2:18 AM (125.185.xxx.178)

    감사합니다.

  • 46. ...
    '12.3.19 2:39 AM (125.184.xxx.166)

    정말 도움 되는 글이예요. 감사합니다.

  • 47. ..
    '12.3.19 9:54 AM (1.253.xxx.62)

    감사합니다

  • 48. 장대높이
    '12.3.19 11:30 AM (175.203.xxx.67)

    저에게 82는 정말 없어서는 안 되는 곳이에요.

  • 49. 에이프릴
    '12.3.19 12:13 PM (175.114.xxx.80)

    좋은 글 감사합니다.

  • 50. 안개꽃
    '12.3.19 2:46 PM (115.95.xxx.179)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 51. .....
    '12.3.19 2:51 PM (210.94.xxx.89)

    좋은 글 감사합니다^^

  • 52. ..
    '12.3.19 4:04 PM (121.134.xxx.92)

    감사합니다.

  • 53. 55
    '12.3.19 4:54 PM (211.217.xxx.165)

    감사하빈다

  • 54. 강가딘
    '12.3.19 5:39 PM (211.196.xxx.79)

    감사합니다

  • 55. 저도
    '12.3.19 10:05 PM (14.35.xxx.48)

    감사합니다

  • 56. ....
    '12.3.20 8:13 AM (121.141.xxx.9)

    저장합니다

  • 57. ㅎㅎ
    '12.3.20 9:02 AM (14.34.xxx.115)

    감사합니다

  • 58. 두리
    '12.3.20 2:25 PM (119.67.xxx.139)

    저장할께요

  • 59. 좋은 글
    '12.3.20 3:11 PM (175.210.xxx.189)

    감사합니다

  • 60. 좋은 글~~
    '12.3.20 9:05 PM (121.134.xxx.102)

    감사해요^^

  • 61. 좋은글
    '12.3.21 9:42 PM (110.10.xxx.202)

    감사드립니다.

  • 62. 좋은글
    '12.3.21 9:43 PM (110.10.xxx.202)

    감사드립니다.

  • 63. ^^
    '12.3.23 12:06 PM (115.136.xxx.47)

    감사드려요

  • 64. ^^
    '12.3.25 10:47 PM (115.41.xxx.141)

    감사드려요

  • 65. 저도
    '12.3.30 11:12 AM (112.148.xxx.78)

    감사드려요

  • 66. 홍이
    '12.3.31 6:13 PM (118.223.xxx.69)

    감사해요~~

  • 67. 멀리서도
    '12.4.2 11:54 AM (122.162.xxx.233)

    감사드려요

  • 68. ..
    '12.4.6 1:27 AM (203.226.xxx.103)

    감사합니다

  • 69. 리본
    '12.5.2 11:27 AM (110.10.xxx.206)

    좋은 글 감사합니다

  • 70. 녹차
    '12.5.7 6:10 PM (110.10.xxx.202)

    감사합니ㅏㄷ.

  • 71. 영글이
    '12.5.31 5:15 PM (220.85.xxx.71)

    감사합니다.

  • 72. 수학
    '12.8.22 12:59 PM (118.219.xxx.200)

    감사합니다

  • 73. 민준
    '12.12.7 3:54 PM (220.77.xxx.182) - 삭제된댓글

    감사합니다.

  • 74. ㅅㅅ
    '14.8.26 12:34 AM (223.33.xxx.31)

    감사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9064 이젠 MBN뉴-스 만 보겠습니다. 9 대합실 2012/04/02 1,220
89063 결혼 생활 10년만에처음으로 남편 수입보다 앞섰어요. 2 ... 2012/04/02 1,790
89062 이 여자는 과연 선수 장훈을 사랑하기는 했던걸까 3 ... 2012/04/02 5,679
89061 삼성카드 거부운동 그룹사 확산되나 6 랄랄라 2012/04/02 907
89060 변희재와 낸시랭의 토론 보셨나요? 21 ... 2012/04/02 2,884
89059 노무현 정부 당시 사찰했다면.... 2 사랑이여 2012/04/02 696
89058 참여정부 문건과 MB정권 문건 무엇이 다른가? 1 베리떼 2012/04/02 325
89057 글램*스타일러쉬 미니 쓰시는분 계시나요????? ?? 2012/04/02 384
89056 앙마기자 주진우의 명언 3 명언 2012/04/02 1,457
89055 라식 비용이 이렇게 비싼가요?? 8 라식 2012/04/02 1,614
89054 질문_ 기적의 야채스프 두 종류 3 딸기 2012/04/02 7,476
89053 보고서 지침에 "본인이 대통령이라 생각하고 작성&quo.. 3 세우실 2012/04/02 426
89052 박원순 시장이 서울시 빚을 벌써 2조나 줄였다네요. ㅋ .. 18 ^^ 2012/04/02 2,417
89051 서울에는 부름이 고물상 없나요? 5 ^^ 2012/04/02 1,327
89050 드라마보니까 권력엔 부모형제도 없고, 왜 다들 정치를 하려는지 .. 권력 2012/04/02 507
89049 이영애, 딴나라앙 후보 유세지원 나섰군요.. ㄷㄷㄷ 27 컥... 2012/04/02 5,984
89048 외출하고 싶어요.. 어디 갈까요?? 1 임산부 2012/04/02 391
89047 [단독 속보] 사정 당국자 “김미화,윤도현 조사대상” 실토 1 .. 2012/04/02 915
89046 얼굴이 피부염이라고 하는데 약 먹고 바르고 해야 겠죠... 1 얼굴피부염 2012/04/02 741
89045 근혜야... ! 성폭력과 부부잠자리는 구분할 줄 알아야지..... 3 대합실 2012/04/02 1,213
89044 빨래를 삶으세요? 4 쑥쓰 2012/04/02 935
89043 속상해요 제가 어떡해야 할까요... 6 정말정말 2012/04/02 1,088
89042 제습기를 사려고합니다 7 111 2012/04/02 1,261
89041 이영애, 남편 정호영과 선거 유세장에서… 26 JK큰일났네.. 2012/04/02 13,878
89040 남편이 마이너스통장에서 돈을 꺼내 쓰고 있어요. 2 아놔 2012/04/02 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