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등학교 비평준화의 장/단점은 무엇일까요?

고등 조회수 : 7,849
작성일 : 2012-03-13 21:56:52

제가 살고 있는 지역은 고등학교 비평준화 지역입니다.

중학교때 성적에 따라 고등학교 연합고사를 치르게 됩니다.

어렸을 때부터 결혼 후 지금까지 같은 지역에서 지내고 있답니다.

저의 학창시절에는 비평준화가 당연했고

이 지역에서 제일 상위권 고등학교를 무난히 들어가게 되어서인지

그때도 그렇고 지금까지도 비평준화에 대한 불만이 없었네요.

 

서울은 오래전부터 평준화였고

비평준화였던 근처 도시도 몇년전에 평준화로 바뀌였습니다.

요즘 '평준화' ' 평준화' 목소리가 많이 높아지고 있던데,,,

 

평준화/비평준화의 장/담점이 무엇일까요?  

 

제가 생각하는 비평준화의 장점이라면

- 공부 잘하는 아이들이 특목고가 아니여도 지역내에서 특목고와 비슷한 수준의 교육 및 환경을

  공립학교에서 받게 된다는점

(아.. 이것 뿐이네요,.제가 그 공부 잘하던 아이들 중 하나여서 솔직히 매우 만족했던 점이였네요)

 

그렇지만 이런 문제도 있겠구나..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 중학교 교육부터 지나친 교육열을 부추길 수도 있다는 점

- 조금 공부가 뒤쳐진 아이들에게 상처가 될 수도 있다는 점

 

외에 평준화/비평준화의 장/단점이 무엇이 있을까요?

 

IP : 175.124.xxx.130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는
    '12.3.13 10:00 PM (119.203.xxx.194)

    비평준화의 장점이 없다고 봅니다.
    수시80%로 대입선발하는 현 입시정책에서는요.
    강남 집값이 하락하는 원인에는
    대입정책이 달라져서라고 생각해요.
    비평준화 지역은 초등때부터 대입을 보고 달리기를 하지요.
    소수를 뺀 나머지 아이들에게 너무 불행한 제도랍니다.

  • 2. 원글
    '12.3.13 10:07 PM (175.124.xxx.130)

    아..수시가 80%이군요...
    수시가 80%라는 것은 내신의 비중이 80%만큼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인가요?
    죄송합니다,--;; 현 입시정책을 잘 몰라서요.
    저는 내신이 별로 중요하지 않던 세대이고 아직 중고등 자녀도 없거든요,,

  • 3. ...............
    '12.3.13 10:07 PM (119.71.xxx.179)

    저도 비평준화의 장점이 없다고봐요.
    죽어라 공부해도 내신에서 다까먹고, 공부해도 성적은 잘안오르고, 어중간한 성적으론 공부안하면 쭉 미끄러지고..소수에게도 딱히 좋은점은 없을듯해요. 굳이 나쁜점을 못느낄뿐..

  • 4.
    '12.3.13 10:14 PM (119.203.xxx.194)

    수시가 80%라는 것은 어느 학교 1등급이든 동등하다는것이죠.
    그래서 성적 우수자가 일부러 비평준 하위권 고등학교 진학해
    3년 내내 전교 1등해서 의대 가는 것도 봤고
    지균으로 서울대 가는 것도 봤고
    현 입시제도에서는 아이들이 공평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많이 하더라구요.

  • 5. 원글
    '12.3.13 10:16 PM (175.124.xxx.130)

    ^^ 댓글 감사합니다.
    입시제도 측면으로도 생각을 해보게 되었습니다.
    댓글을 보니 굳이 평준화에 반대할 이유는 없어보이네요,,

  • 6. 원글
    '12.3.13 10:25 PM (175.124.xxx.130)

    크림베이지님..
    '절대내신'은 대학 입시때 그리 적용한다는 말씀이신거죠?
    그럼, 고등학교를 등급화해서 내신에 차별을 둔다는 것인가요?

  • 7. ...
    '12.3.13 10:29 PM (180.70.xxx.131)

    비평준화가 사람 잡기도 하고(그 좋은 시절을 평가로 사니...) 대신 환경적인 측면도 무시할 수 없기도 하고 그런것 같아요. 님 경기권이면 대략 어딘지 알 것 같네요.
    지금 비평준화 남아있는 곳이 몇 안되어...
    절대평가이면 표준편차가 나온다고 해도 아무래도 내신의 변별력이 많지 않죠.
    수우미양가처럼 뭉뚱그려서 성적이 나와요. abcde이렇게 등급으로요...

  • 8. 평준화 찬성
    '12.3.14 2:04 AM (220.86.xxx.221)

    경기도 비평준지역 올해 졸업하고 작은 애가 고2 입니다. 둘 다 고교 다른 고교이고, 서열로 따지면 큰애 나온 고교가 우위 고교인셈인데, 중학교때 열나게 공부합니다. 체육,미술,음악 수행평가 하나도 뒤처지면 내신 불리하니 일일이 다 열나게 하고.. 체육 못하는 애 중간고사에서는 전교1등, 체육 수행 포함되는 기말에선 전교3,4등.. 물론 우리 아이 그랬다는건 아니고.. 그리고 연합고사 봅니다. 거기서 까닥 실수라도 하면 내신컷으로 지원한 학교 떨어지고 지역에서 제일 낮은 학교 들어가거나 1학기쯤 다니다 서울로 전학(온식구의 주소지가 바뀌어야겠죠) 그래도 서열 높은 학교 미련 못버리고 다시 주소지 바꾸어서 결원인원 나오면 운 좋게 들어오고.. 그래봐야 상위권은 좋은 학교 가고 그 밑에는 다 고만고만.. 이 소리는 이 지역 사립고교 졸업시킨 학부모님 말씀.. 일단 중학교때 공부 진 다빼고요, 성적별로 나뉜 학교에 그 수준이 그 수준이라 면학 분위기 차이 많이 난다는 느낌, 내신은 좀 불리하지요. 이번 입시에 정시 돌려보는 사이트 내신, 수능성적 입력해놓고 보니 그 사이트에서 수능성적으로 평준화 일반고 내신 등급 예상 산출이 나오더라는거..그거 다 필요없고 성적으로 서열화된 학교에서 기죽어 지내는 아이들 불쌍하고, 서열낮은 학교 아이들 편견으로 바라보는 시선도 불편합니다.

  • 9. 비평준지역..
    '12.3.14 10:43 AM (14.47.xxx.160)

    이번에 아이가 기숙학교에 들어갔습니다.
    이 지역에서.. 인근 지역에서도 공부 한다는 아이들이 많이 모였고..
    내신으로만 아이들 뽑았어요.
    내신 185점이 간신히 들어왔다고 합니다..
    말이 내신 185점이지 그정도면 꽤 잘하는 아이들입니다. 전과목을 보기때문에..
    이 학교를 제외하고 나머지 학교 커트라인은 150점대..
    우습게도 아이들 교복으로 공부좀 하는 아이구나.. 바라보는 시선들이 다릅니다.
    어린 학생들.. 배우는 학생들.. 아직 출발점에서 출발한지 얼마안된 학생들한테
    너무 일찍 차별의 시선에 놓이는것 같아 저 역시 불편합니다.

  • 10. 그놈 면상 싫어
    '12.3.14 11:52 AM (125.130.xxx.27)

    제가 볼때는 장점 보다는 단점이 더 많은것 같아요
    중학교때 열심히 공부하는거 좋은거죠. 그러나 경쟁이 치열하고
    그렇게 성적 좋은 애들 지역 명문 으로 가도 대다수의 아이들이 사교육으로
    대학간다고해도 과언은 아닐듯해요.
    즉 학교(특히공립)에서 딱히 해주는것 별로 없어요. 물론 공부는 혼자서 하는 거지만..
    지인 아이 비평준고교에 다닐때 공부는 학원에서,학교에서는 반이상의 아이들이 잔다는...
    물론 이게 원론적으론 잘못되었지만요.
    중학교때 진 다 빼서 고교때 공부 등한시하는 아이들도 있고요.
    이런애들 대부분 고교는 명문인데 대학네임 성이 안차서 재수 삼수한다더군요.
    다수의 아이들이 그리고 학부모도 평준화를 원할것 같아요. 물론 저도요.

  • 11. 원글
    '12.3.14 4:10 PM (175.124.xxx.130)

    요즘 학업열이 지나쳐서 그런지 비평준화 지역의 경우 경쟁이 치열한가 보군요..
    제가 다닐 때만해도 스트레스 없이 무던히 본인 할 공부하면서 학교수업 위주로 공부했었는데 말이에요..
    그래서 현재 돌아가는 분위기 파악이 제대로 안되나봅니다..
    예전 생각만해서는 안될거 같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7839 더킹때문에 김재철 쪼이트 까이겠네요. 16 밝은태양 2012/03/29 3,451
87838 낡아서 12 알려 주사와.. 2012/03/29 1,651
87837 철학관에서 결혼한다는 해에 진짜 하셨나요? 7 결혼 2012/03/29 4,209
87836 회사에서 여자 선배나 상사는 무시하고 남자 상사 말만 듣는 신입.. 11 ?? 2012/03/29 2,627
87835 “MB공약 조급증탓 무상보육 6월 중단 위기” 5 베리떼 2012/03/29 1,130
87834 제 유언은 제사 하지말아라로 할렵니다.. 14 ㅡ.ㅡ 2012/03/29 2,181
87833 사골 많이 먹으면 치매 올 가능성 높나요? 7 먹고싶지만... 2012/03/29 2,829
87832 대구 경북 새누리당 지지율이 의외로 높게 나와 여론조사 사장도 .. 9 대학생 2012/03/29 1,347
87831 코스트코 양평점에 지금 디즈니수영복있나요?? 1 수영복 2012/03/29 619
87830 쑥을 데쳐서 질기지 않게 하려면 어찌해서 넣어둬야 하나요??(냉.. 2 .. 2012/03/29 806
87829 김용민 후보 무시녀 5 불티나 2012/03/29 2,019
87828 아이 일로 많이 속상한 날입니다. 3 엄마마음 2012/03/29 1,315
87827 싱크대 실리콘 곰팡이가 심하고 막 떨어져있어요 4 ㅇㅇ 2012/03/29 3,476
87826 남초사이트에 이 글 좀 퍼날라 주시길 부탁합니다 16 2012/03/29 2,782
87825 피아노 4학년 남자아이 처음 시작하려고 하는데요. 2 피아노 2012/03/29 902
87824 사후세계 '영혼의 터널' 발견…과학계 흥분 8 호박덩쿨 2012/03/29 4,494
87823 <충격>식약청 일본 후쿠시마산 수산물 적합 판정 2 닥치고정치 2012/03/29 1,287
87822 지난번 영어 공부법 썻던...(글이 길어요) 27 각자의 개성.. 2012/03/29 3,635
87821 제 눈에는~~~ 2 ~~ 2012/03/29 413
87820 옥탑방 왕세자...왜 박하는 갑자기 존대를 하죠?? 2 드라마 이야.. 2012/03/29 2,151
87819 이놈의 돈이 뭔지........ 3 돈이 웬쑤.. 2012/03/29 1,431
87818 고장난 향수는 어째야 할까요? 3 향수향수. 2012/03/29 3,254
87817 서울의 초등이나 유치원 체험학습도 딸기따는 체험 있나요? 2 딸기 2012/03/29 915
87816 로레알 로션 수분크림 이름 좀 알려주세요 3 로레알 2012/03/29 1,881
87815 숫자카드 5장 중에서 .. 2 수학규칙알려.. 2012/03/29 2,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