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재테크 알려주세요

재테크 조회수 : 2,042
작성일 : 2012-03-13 03:50:07

항상 보험

그리고 적금은 하나만 들었던 사람인데요.

책도 보고.. 어떤 프로를 보다가..

짠돌이 하면서 돈 많이 모은 사람 보니.

통장이 정말 여러개더라구요.

통장마다 이름이 붙었던데( 통장에 이름을 적어놨더라구요.)
예를 들면.. 어머니 칠순잔치통장, 무슨 어떤 행사 통장 이렇게 만든게 7-8개는 있더라구요

목표를 가지고 단기 중기 장기로 돈을 모으고 하라고 하던데요..

저렇게 통장이 여러개면 관리가 되는건지 궁금해요

여러개 개설해서 안쓰면 하나씩 다 해지해야 하는데

그게 더 귀찮은게 아닌건지

저렇게 하는게 더 효율적인지 알고 싶어요..

 

 

추가)

저도 소비 지출 이런통장에 대해선 네개의 통장을 봐서 알고 있었구요.

그것보다..

목표에 맞게 윗글에도 언급했듯이..

그리 여러개 통장을 만드는게 효율적인지 그걸 여쭤본거랍니다.

만약 그 목표를 지나면 그 통장들은 다시 정리해야 하잖아요

그래서 여쭤본거에요

IP : 58.226.xxx.218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민트커피
    '12.3.13 5:55 AM (211.178.xxx.130)

    통장이 여러 개여야 하는 건 들어오는 돈과 나가는 돈을 구분하고
    안 써야 할 돈은 절대 안 쓰기 위해서죠.

    예를 들어 월급 들어오는 통장에 나가는 돈까지 다 연계시키면
    내 수입이 한 눈에 안 들어와요.
    그러니까 월급 들어오는 통장엔 주구장창 월급만 들어오게 하고,
    보너스 모으는 통장을 따로 만들어서 보너스는 별개의 돈으로 치고 잊어버리는 거죠.

    또 지출 통장 중에서도 '고정지출' 통장은 따로 만들어서
    핸드폰비나 집세, 전기요금 같은 고정지출 돈을 미리 넣어야
    카드 대금으로 빠져나가서 전기요금 밀리는 꼴을 안 당하거든요.

    물론 너무 많이 이것저것 만들면 관리가 안 되겠지만
    지출과 수입 통장이 하나가 되면 진짜 정신 하나도 없어져요.

  • 2. 저도..
    '12.3.13 9:00 AM (163.152.xxx.40)

    통장 하나에 올인하다가
    몇년전부터, 아이들 교육비, 엄마 환갑.. 이런 식으로 나눴어요
    나누게 되면, 그 돈들은 절대 건들지 않게 되고,
    내 돈에서 몇 백 빠지는 것과는 다른 느낌이더라구요
    인터넷뱅킹으로 들고, 1년에 한 번씩 엑셀로 정리해 두어요
    돈 정리, 계산이 세상에서 제일 행복한지라.. 불편함은 없어요 ^^;;

  • 3. 민트커피
    '12.3.13 9:18 AM (211.178.xxx.130)

    추가 말씀에 대해서...

    재테크 관련 서적에서 그런 말이 나오더라구요.
    돈을 '그냥' 모으는 건 성공하기 어렵다.
    애초에 돈을 '왜' 모으는지 구체적인 목표를 마련해라.
    '10억 만들어 노후 대비하겠다' 이런 식의 너무 장기적이고 무리한 건 성공하기 힘들다.
    단기로 빨리 이룰 수 있는 목표를 만들면 참기도 쉽고, 그걸 하기도 쉽다.
    대개의 사람들이 너무 무리하게 먼 장기적 목표를 세웠다가 대부분 중간에 포기한다................ 등.

    어떤 목표가 생기거나 별개의 지출이 눈앞에 보이면
    별도의 통장에 그거 이름을 콱 써서 붙여서 관리하면 '보여서' 관리가 쉽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4746 FTA 운명’은 총선·대선에 달렸다 1 잘찍자 2012/03/15 790
84745 초등2학년 딸아이 사물놀이 시키면 좋은점이 무엇이 있을까요? 3 초등맘 2012/03/15 1,733
84744 과천경마장.... 7 기혼남 2012/03/15 1,395
84743 전세와 집구입 중에 고민이 많네요 어째야할지...ㅜㅜ ... 2012/03/15 1,058
84742 포항 덕실마을엔 이명박 대통령 고향집이 3개? 3 참맛 2012/03/15 1,207
84741 아이 늦게 낳으면 많이 힘든가요? 24 아이 2012/03/15 4,651
84740 FTA 발효되었지만, 희망은 있습니다! 8 오늘 2012/03/15 1,265
84739 나이 30후반, 이혼하면 보통 어느 루트로 재혼 자리 알아보나요.. 1 ---- 2012/03/15 3,189
84738 간병인 고민.. 4 Tasha~.. 2012/03/15 1,561
84737 판도라백 2 지방시 2012/03/15 1,753
84736 임팩타민파나요? 2 코스트코 2012/03/15 1,823
84735 자기 아이만 소중한 학부모 경험.. 56 ... 2012/03/15 10,268
84734 두유만드는법 그냥 지나치지 마시고 한마디라도 조그마한 정보라도 .. 12 알켜주세요 2012/03/15 4,290
84733 정말 레드불이란 음료수가 날개를 펼쳐주나요? 17 궁금 2012/03/15 4,476
84732 비타민c 추천해 주세요 2 niko 2012/03/15 1,870
84731 가방 좀 골라주세요 5 2012/03/15 1,553
84730 클래식 이해해 도움이 된 책 있으시면 추천해주세요~ 5 .... 2012/03/15 1,207
84729 아파트 배관교체 공사 해보신분 계신가요?? 4 .... 2012/03/15 10,144
84728 선진국중에 영어공부 시키는 나라가 있나요?? 6 명란젓코난 2012/03/15 1,766
84727 아이키우면서 잘시켰다 하는거 있나요? 74 아이 2012/03/15 12,135
84726 FTA는 발효되었고, 저는 진보신당 당원이 되었습니다. 7 나거티브 2012/03/15 1,181
84725 연예인 중에서 결혼한다면? 연애한다면? 38 만약에 2012/03/15 3,437
84724 짝 농촌총각 특집 보셨나요? 재밌네요^^ 16 바람이분다 2012/03/15 5,537
84723 드디어 헬게이트가 열렸군요........... fta 9 fta 절대.. 2012/03/15 2,263
84722 바둑은 언제부터 가르쳐야 되나요? 1 궁금이 2012/03/15 1,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