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반찬 사드시는분 계세요?

^^ 조회수 : 3,647
작성일 : 2012-03-07 00:50:39

저희는 세식구가 삽니다. 남편이랑 초등 딸아이,저.

남편은 아침을 꼬박 먹고다니고 그외 점심 저녁은 밖에서 해결하고와요.

초딩딸은 입이짧아서 두번이상 나온 반찬은 잘 안먹구요.저랑 둘이 먹는날이 많아요.

 저도 그닥 많이 먹는편도 아니고 그래서 반찬해놓으면 몇번먹다 버리게 되요.

처음엔 여름에 반찬하기도싫고 해놔도 너무 금방상해버리니까

여름에만 가끔 반찬가게를 이용했는데

이제는 편하니까 습관이 되어서 반찬가게 두세개 정해놓고 돌아가면서 사먹게되네요.

어떤날은 상차려놓으면 집에서한거라곤 김치와 밥뿐.

그나마 조미료 안쓴다는 곳을 골라서 주로 사먹는데

어느날 시장을 잔뜩봐서( 잔뜩이라지만 십만원어치 장봐도 집에오면 먹을게 별로없죠) 반찬을 좀하면

왜이리 맛이 없는지.나름 예전에 요리도 꽤나 배우고, 손님초대도 즐겨하던 아짐이었는데 말이죠.

장봐서 반찬 몇가지하면 반찬가게에서 사는것보다 훨씬 많이 들어요.

정말 저희같이 식구없고 입짧은 사람들에겐 딱인듯싶은데

고기종류는 잘 안사먹고 밑반찬 위주로 사먹어도 아무래도 재료는 좋지 않겠죠?

이제 40초반인데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 직접해먹어야할까요?

IP : 121.168.xxx.198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3.7 12:55 AM (121.50.xxx.209)

    왠만하면 해드세요
    간장 고추장 이런것도 혹 gmo들어갈까봐
    생협 한 살림 이런데서 산 거 쓰는데..
    아무래도 집밥이..

  • 2. 84
    '12.3.7 12:55 AM (121.172.xxx.83)

    가끔먹는거야 뭐 큰탈있겠나 싶어요
    전 국은 자주 사먹네요

  • 3. ~~~
    '12.3.7 12:56 AM (119.192.xxx.98)

    어디서 사드시는지..반찬 사드시는거 정말 비추에요..
    백화점은 잘 모르겠지만..일반 반찬가게나 재래시장은 정말 재료나 위생 최악..
    쓰이는 고춧가루나 재료들도 거의다 중국산..--;
    반찬가게에서 맛볼때랑 집에 가져와서 냉장고에 넣고 먹으면 맛이 확 이상하지 않나요
    알아보니 거기다 빨리 상하지 말라고 방부제같은거 넣는다고 하더라구요..

  • 4. 행복한하루
    '12.3.7 12:57 AM (119.70.xxx.21)

    가끔 사 먹는건 뭐 그럴 수 있지만 늘 사먹는지 비추입니다.
    중국산 재료쓰고 그럴텐데 워워워 초등학생 딸을 위해서라도 좋은재료 쓰시고 가족 건강생각해서 잘 생각해보세요 ^^

  • 5. 식구 적을수록
    '12.3.7 1:01 AM (180.231.xxx.147)

    사먹는게 경제적으로도 나은 것 같아요
    남편이랑 겨우 한끼 집에서 먹는데
    입까지 짧으니 음식하는 보람도 없네요
    다행히 친정엄마가 반찬가게 하셔서 갖다먹는 축복을 누리고 있어요 ㅎ
    가보면 요새 사먹는 분들도 엄청많구요
    친구들도 많이들 사먹던데요
    저희엄마가게 소개해드리고 싶네요
    조미료 거의 안쓰는데 ㅋㅋ 막 홍보하구 막이래

  • 6. ..
    '12.3.7 1:11 AM (125.182.xxx.131)

    일단 너무 맛이 없어서.. 여러가지 반찬 안하고 한 두가지 먹고 치울만큼만 해 먹는게 낫더군요. 이것 저것 요리법대로 따라하니 재미도 있구요.

  • 7. ^^
    '12.3.7 1:13 AM (125.141.xxx.79)

    한 일년전쯤 저도 한동안 반찬가게서 사다먹었어요.
    인터넷 검색하시면 많은데.. 그중에 위생 상태 좋고 조미료 안 쓰고 국내산 쓰는 곳
    후기 좋은 데 골라서 여러군데 다 시켜먹었어요.
    처음 몇번은 신세계더라고요. 가짓수도 많고 가격도 저렴한 편이고 (지금 가격은 모르겠네요 워낙 물가가올라서)
    근데 그것도 질려요. 아무리 여러군데 시켜먹어봐도 계속 먹다보면 가장 젓가락 많이 가는 반찬은 직접만든거더라고요.
    시켜드셔보세요. 괜찮으면 계속 드시는 거고 한번 먹어서 아니다 싶으면 내가 한 반찬의 소중함도 알게되고. ^^

  • 8. 일품요리로 드세요
    '12.3.7 1:23 AM (119.149.xxx.229)

    반찬남을일 없고 하루 음식 한가지니 수고도 덜하구요
    이상한 재료로 막 사먹느니 믿을만한 재료 듬뿍 넣고 건강하게 드세요

  • 9. 건강 생각해야죠..
    '12.3.7 1:29 AM (174.118.xxx.116)

    집에서 내 아이 먹이는 음식 만드는 거랑, 이익 남기기 위해서 파는 거랑은
    마인드가 틀린데요...돈이 물론 더 들어도, 좋은 재료 좋은 식기로 만들어 먹는걸 어떻게
    한가지로 생각하나요?
    아이 어릴때 제대로 해서 먹이시면 원글님도 보람되고 좋을텐데요..
    남편도 마찬가지구요. 무엇보다도 본인에게 득이 되는거죠.

  • 10. 만두
    '12.3.7 1:58 AM (122.35.xxx.59)

    집에서 해 먹는게 맞죠... 반찬집 아무리 조미료 안 넣고 한다 해도 재료나 그런거 집에서 한 것 못따라오죠...

    하지만 집식구 단촐하고, 열심히 해서 차려주면 정성 몰라주고 아이는 맛없다고 끄적끄적대고... 그럼 김빠져 하고 싶지 않고....

    전 기본적으로 집에서 해먹는걸 원칙으로 하고 정 힘든날은 가끔 사먹기도 해요. 정말 이것저것 생각해 정성들여 해주면 애들은 유치원 밥이 더 맛있다고 하네요. 엄마가 한 밥 맛 없다고.... 나쁜 시키들.... 그래도 그냥 밀고 나가야하는데 자꾸 저러니 힘이 점점 빠져요. 그래서 가끔 사먹으면 아무리 유명한데서 사 먹어도 짜서 물이 많이 먹히고 그렇더라구요.

    집밥이 맞긴 맞아요. 요즘 물가가 얼마나 비싼데, 그 단가에 맞춰 수지 맞추려면 어떤 재료를 쓸까? 이 생각하면 반찬을 욜심히 하게 돼요 ;;;;

  • 11. 우리집도
    '12.3.7 2:50 AM (122.34.xxx.11)

    비슷해서 남편은 저녁 회사에서 먹고 딸아이랑 둘이 주로 저녁 먹게 되요.물론 주말에는 세식구 같이 먹게 되지만요.국이나 찌개는 집에서 하고 주 1회 정도는 집앞 반찬가게 밑반찬 두세가지 사오게 되더라구요.맛 보면 조미료 안들어가는거 같고 나름 깔끔해서 괜찮더군요.근데 한팩에 2천원짜리 두세개 그것도 주 1회 정도 사가니 눈치는 좀 보이네요;;그 이상은 질리기도 하고 돈도 아깝고 해서 웬만하면 집에서 해먹어요.1식3찬이나 일품요리 또는 국이나 찌개 있으면 김치만 추가 하고 먹으니 그냥 할만하더라구요.몇 년전 만 해도 외식 무지 자주 했는데 작년부터 물가 비싸지면서 음식점들 값 올리고 맛은 후져지고 해서 못사먹다보니 집에서 해먹는게 습관 들더라구요.

  • 12. ,,
    '12.3.7 6:22 AM (112.72.xxx.62)

    소비자고발인가에보니 눈으로보고는 못먹겠던데요
    수입고추에 시커먼먼지때가 덕지덕지 --
    내손으로 해먹는거면 다 닦겠지만 고추가루나 다른양념도 믿을수가있어야지요

  • 13. ...
    '12.3.7 9:12 AM (211.208.xxx.43)

    이익 남기고 팔려면 업소에서 아무리 좋은걸 쓴다고 해도
    집에서 한것만 못한게 당연한거예요.
    저도 조미료 거의 안쓰지만 어떻게 해도 안될 때는 콩알만큼 씁니다.
    그래도 밖에서 사먹는것보다 낫다..하면서요.
    믿을수 있는 재료에, 씻어도 한번을 더 씻고, 정성 들어간 음식은
    절대 사먹는 것과 같을 수 없다고 생각해요.

  • 14. ~~~~~~
    '12.3.7 9:42 AM (218.158.xxx.108)

    방부제가 많이 들어갈거 같아서 못사먹겠어요
    뿐인가요..조미료에 중국산,위생상태 등등 생각하면 더욱.
    그런문제만 없다면
    사먹는거 정말 편하고 경제적이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6081 남편이 마주보고 대화중에 자꾸만 얼굴을 찡그립니다~ 3 평범녀 2012/03/18 2,160
86080 잠이 너무 많아요.. 어떻게 해야 덜 잘까요?ㅠ.ㅠ 4 얘들아 미안.. 2012/03/18 2,464
86079 개그맨들이 얘기하는 한국인 경직되어있는 사람들 너무 많다는거 6 ... 2012/03/18 1,823
86078 중문 공사할때 집에있어야할까요? 2 기관지나쁜아.. 2012/03/18 1,634
86077 손발이 오그라드는 현상 ,,, 2012/03/18 1,560
86076 다이어트 할때 2 뚜떼이 2012/03/18 1,197
86075 쉐라톤 디큐브에서하는 딸기뷔페어떤가요?? 4 딸기좋아요 2012/03/18 3,561
86074 드라마 신들의 만찬에서..악녀가 여주보다 더 이뻐 보여요 3 ..... 2012/03/18 3,260
86073 전여옥 박근혜 카퍼레이드 비판한거 보셨세요? ㅋㅋㅋㅋ 11 트윗펌 2012/03/18 2,672
86072 단군이래최대호황이니, 세계최빈국에서 경제강국으로 운운하는 기사 .. 13 푸른F 2012/03/18 1,593
86071 결혼하면 안한사람 볼때 우월감이 느껴 지세요? 47 ... 2012/03/18 11,607
86070 케이팝스타 이하이와 학예회인가요 26 ... 2012/03/18 10,445
86069 새똥님 글이 어떤건가요?????? 1 r 2012/03/18 1,409
86068 영어 교육에 대해 몇마디 써봅니다. 24 통번역사 선.. 2012/03/18 3,863
86067 어떻게 상대해야될까요... 사람 괴롭히.. 2012/03/18 807
86066 린찐탕수육맛나나요? 3 탕슉 2012/03/18 2,614
86065 나꼼수 김용민을 보니 26 ,,, 2012/03/18 3,283
86064 장식품 스노우볼이 영어로 뭘까요? 2 .. 2012/03/18 6,133
86063 이게 말로만듣던 사춘기현상인가요? 어떻게 대처해야하나요? 3 푸르른물결 2012/03/18 1,872
86062 치킨 먹고싶은 분 1 ..... 2012/03/18 1,306
86061 영어 4 jjjj 2012/03/18 1,280
86060 영화 화차를 보았습니다 6 정신이 나갔.. 2012/03/18 4,467
86059 미국 소비자가 뽑은 최고의 자동차브랜드 6 헌대는 안 .. 2012/03/18 2,133
86058 마돈나 몸매보고 밥 굶으려구요ㅋㅋ 12 쿠앤쿠 2012/03/18 5,270
86057 남성 운동화말고 신고다니기 편한 구두 같은걸 뭐라고 부르나요^^.. 3 아지아지 2012/03/18 1,563